[include(틀:상위 문서, top1=테라리아/아이템/설치)][include(틀:테라리아)][목차] == 개요 == 전기 도구를 포함한 대부분의 아이템은 [[테라리아/NPC#기계공|기계공 NPC]]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테라리아/지형#던전|던전]]에서 기계공을 구출하고 나서부터 본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다. 그렇지만 자연 함정엔 전선과 전기 장치가 생성되고, 전기 장치는 곡괭이로 캘 수 있기 때문에 단순한 형태의 회로는 기계공을 구출하지 않아도 만들 수 있다. 테라리아에서는 [[#전선|전선]]이나 전기 장치에 전기가 지속적으로 흐른다는 개념이 없다. 전기는 순간적으로 발생되며 한 번 흐를 때마다 전기 장치를 껐다 켠다. 예를 들어 스위치와 횃불을 연결해 횃불을 끈 후 전선을 끊어도 횃불은 꺼진 채로 있다. 다시 전선을 연결하고 한 번 더 스위치를 누르면 횃불이 켜지게 된다.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1.3.1]] 버전 업데이트로 전기 장치가 더욱 발전되었다. == 목록 == {{{#!folding 전기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테라리아/아이템/설치/전기)]}}} === 전기 도구 ===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렌치)][anchor(빨간색 렌치)][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Red Wrench, 한=빨간색 렌치, v=1.1, ID=509, 희소=blue, 자동=↻, 유형=도구\, 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파란색 렌치)][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lue Wrench, 한=파란색 렌치, v=1.2, ID=850, 희소=blue, 자동=↻, 유형=도구\, 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초록색 렌치)][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reen Wrench, 한=초록색 렌치, v=1.2, ID=851, 희소=blue, 자동=↻, 유형=도구\, 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노란색 렌치)][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Yellow Wrench, 한=노란색 렌치, v=1.3.1, ID=3612, 희소=blue, 자동=↻, 유형=도구\, 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 [[#전선|전선]]을 설치하는 가장 기본적인 도구. 들고 빈 공간을 클릭하면 해당하는 색의 전선이 설치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전선 절단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ire Cutter, 한=전선 절단기, v=1.1, ID=510, 희소=blue, 자동=↻, 유형=도구\, 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전선|전선]]과 [[#작동기|작동기]]를 제거하는 가장 기본적인 도구. 전선이나 작동기를 클릭하면 제거된다.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3]] 버전 업데이트로 범위가 20칸 증가하였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다채색 렌치)][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ulticolor Wrench, 한=다채색 렌치, v=1.3.1, ID=3625, 희소=blue, 자동=↻, 유형=도구\, 재료)][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빨간색 렌치,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초록색 렌치,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파란색 렌치,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노란색 렌치,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전선 절단기,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땜장이의 작업장,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우클릭으로 어떤 색의 전선을 설치하거나 제거할지 정할 수 있다. 그리고 네 가지 색을 한 번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조합되어 설치된 [[#전선|전선]]을 [[#타이머|타이머]] 등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한 번에 최대 4번의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네 가지 색을 전부 선택한 다음 전선 절단 모드로 변환하여 사용하면 귀찮게 색을 바꿀 필요 없이 모든 전선을 한 번에 제거할 수 있다. 추가로 20칸의 범위 증가 보너스가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위대한 설계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he Grand Design, 한=위대한 설계도, v=1.3.1, ID=3611, 희소=green, 유형=도구)][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다채색 렌치,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식 렌즈, 문서=아이템/장비/장신구,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식 자, 문서=아이템/장비/장신구, h=24px)][br]+ [include(틀:t캡션, 이름=전선,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 (60) @ [include(틀:t캡션, 이름=땜장이의 작업장,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전기 도구의 최종 단계.''' 총 재료 구입 비용은 금화 15닢이다. 우클릭으로 4색의 전선과 작동기의 배선/제거 여부를 선택하며, 설치 범위에 구애받지 않고 플레이어의 모니터에 보이는 범위 내라면 아무 곳에나 작업이 가능하다. 마우스 드래그로 전선을 길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만 있으면 번거롭게 전선 도구들을 따로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어진다. 하지만 가장 큰 장점은 역시 맵에 보이는 모든 함정의 위치를 알 수 있다는 것. 물론 함정 자체는 볼 수 없지만, 일반 스위치는 조명이 없으면 전선을 볼 수 없으나, 이 아이템은 조명 상관없이 화면 내의 모든 전선의 위치를 보여주기 때문에 하드코어부터는 무조건 가지고 다녀야 하는 필수 아이템이다. 이 아이템만으로도 폭발물 함정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 다만 입수 시점이 파밍한 후 스켈레트론을 잡은 이후에서나 조합이 가능하니, 그 전까지는 어떻게든 버텨야 한다는 문제. 또한 화면 좌측에 몇 가지 버튼들이 생기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위대한 설계도가 인벤토리에만 있어도 전선이 보이게 하거나, 자의 기능을 켜고 끌 수 있다. 전선을 보이게 하므로 [[#바위|바위]]나 [[#다트 트랩|다트 트랩]]에 연결된 전선을 즉각 확인할 수가 있으므로 웬만한 상황에서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위기감지 포션|위기감지 포션]]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만든다. 단 1.4.4 패치 이후 골렘 처치 이전의 리자드 사원의 전선은 어떠한 방식으로 볼 수 없게 숨겨져 있으므로 위기 감지 포션을 사용하게 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작동봉)][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Actuation Rod, 한=작동봉, 사진=Terraria/ActuationRod.png, v=1.3.1, ID=3620, 희소=blue, 유형=도구)][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작동기,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철/납]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전선,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 (10)[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작동기를 놓은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블록|블록]]을 클릭하면 블록의 활성화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 전선 ===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전선)][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ire, 한=전선, v=1.1, ID=530, 희소=white, 스택=9999, 유형=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5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 [[테라리아/지형#던전|던전]], [[테라리아/지형#리자드 사원|리자드 사원]]}}} 전기 장치의 기본이 되는 아이템으로, 각종 전기 장치를 이어 주는 역할을 한다. 평소에는 보이지 않지만 전기 장치 계통의 아이템을 들고 있으면 보이게 된다. 전선은 전선 도구인 [[#렌치|렌치]]/[[#전선 절단기|전선 절단기]]가 있어야만 각각 설치/제거가 가능하다.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의 [[#트랩|트랩]]이나 [[테라리아/지형#던전|던전]]에서 뜯어내면 전선 값을 아낄 수 있다.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1|1.1]] 버전에는 전선의 최대 길이가 1,000블록이었으며,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2|1.2]] 버전에서 2000블록으로 늘어났고, 마침내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2.3|1.2.3]] 버전에서 전선의 길이 제한이 없어졌다. 이 때문에 지금은 대형 맵에서 왼쪽 끝과 오른쪽 끝에 텔레포터를 놓고 전선 한 줄로 이어서 작동시킬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교차 상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Junction Box, 한=교차 상자, v=1.3.1, ID=3616, 희소=blue, 스택=9999, 자동=↻, 유형=가구)][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같은 색상의 전선이 서로 연결되지 않고 십자 배선이 가능하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십자로 교차하는 모양으로 배치되며 망치로 두드려서 우-하 / 상-좌 혹은 우-상 / 하-좌 모양으로 바꿀 수 있다. 다만 전선은 기본적으로 4개 색상중 하나를 골라 설치할 수 있으므로, 매우 복잡한 형태의 작업이 아니라면 일반적인 상황에선 사용할 일이 없다. 교차 상자는 통과 가능한 블록으로 취급되므로 [[#작동기|작동기]]처럼 블록 위에 놓을 수는 없다. 따라서 전기 장치를 들고 있지 않아도 눈에 띄게 된다. 감추고 싶다면 [[테라리아/아이템/도구#페인트|페인트]]를 이용하여 감추는 것이 좋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픽셀 박스)][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ixel Box, 한=픽셀 박스, v=1.3.1, ID=3725, 희소=blue, 스택=9999, 자동=↻, 유형=가구)][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전선 경로를 분리시키며 활성화되면 어두운 상태에서 빛이 들어온 상태로 변한다. 다만 빛이 들어온 것처럼 보일 뿐 빛을 내지는 않는다. === 트리거 ===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스위치)][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witch, 한=스위치, v=1.1, ID=538, 희소=white, 스택=9999, 유형=가구\, 재료, 자동=↻)][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20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던전|던전]]}}} 작동시킬 때마다 전기를 보낸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레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ever, 한=레버, v=1.1, ID=513, 희소=white, 스택=9999, 유형=가구\, 재료, 자동=↻)][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30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스위치|스위치]]와 동작이 같으며 크기가 2배 크다. 그런 만큼 [[#스위치|스위치]]보다 클릭하기 쉽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압력판)][anchor(아무 압력판)][anchor(회색 압력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ray Pressure Plate, 한=회색 압력판, 스택=9999, v=1.1, ID=542, 희소=white, 유형=가구\, 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50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 [[테라리아/지형#던전|던전]]}}}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갈색 압력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rown Pressure Plate, 한=갈색 압력판, 스택=9999, v=1.1, ID=543, 희소=white, 유형=가구\, 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50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 [[테라리아/지형#던전|던전]]}}}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파란색 압력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lue Pressure Plate, 한=파란색 압력판, 스택=9999, v=1.2, ID=852, 희소=white, 유형=가구\, 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50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리자드 압력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ihzahrd Pressure Plate, 한=리자드 압력판, 스택=9999, v=1.2, ID=1151, 희소=white, 과정=ⓗ, 유형=가구\, 재료)][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리자드 사원|리자드 사원]]}}}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빨간색 압력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Red Pressure Plate, 한=빨간색 압력판, 스택=9999, v=1.1, ID=529, 희소=white, 유형=가구\, 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50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 [[테라리아/지형#던전|던전]]}}}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초록색 압력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reen Pressure Plate, 한=초록색 압력판, 스택=9999, v=1.1, ID=541, 희소=white, 유형=가구\, 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50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노란색 압력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Yellow Pressure Plate, 한=노란색 압력판, 스택=9999, v=1.2, ID=853, 희소=white, 유형=가구\, 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50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주황색 압력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Orange Pressure Plate, 한=주황색 압력판, 스택=9999, v=1.4.0.1, ID=4261, 희소=white, 유형=가구\, 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50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암록색 압력 패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eal Pressure Pad, 한=암록색 압력 패드, 스택=9999, v=1.3.1, ID=3707,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플레이어나 [[테라리아/몬스터|몬스터]], [[#바위|바위]]에 눌리면 신호를 보낸다.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나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에서 자연 함정의 일부로 생성된다. 기계식 렌즈나 위대한 설계도가 없어도 이걸 캐서 손에 들면 설치된 [[#전선|전선]]이 보이기 때문에 함정을 피하기 매우 쉬워진다. 따라서 하드코어 캐릭터라면 가장 먼저 본 압력 패드는 캐서 들고 다니는 것이 좋다. 암록색 압력 패드는 다른 압력판들과 달리 천장과 블록 옆면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분홍색 가중 압력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ink Weighted Pressure Plate, 한=분홍색 가중 압력판, 스택=9999, v=1.3.1, ID=3626, 희소=blue, 유형=가구)][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압력판, 문서=아이템/설치/전기, 확장자=gif)] + [include(틀:t캡션, 이름=[철/납]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전선,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땜장이의 작업장,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주황색 가중 압력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Orange Weighted Pressure Plate, 한=주황색 가중 압력판, 스택=9999, v=1.3.1, ID=3630, 희소=blue, 유형=가구)][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압력판, 문서=아이템/설치/전기, 확장자=gif)] + [include(틀:t캡션, 이름=[철/납]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전선,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땜장이의 작업장,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라색 가중 압력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urple Weighted Pressure Plate, 한=보라색 가중 압력판, 스택=9999, v=1.3.1, ID=3631, 희소=blue, 유형=가구)][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압력판, 문서=아이템/설치/전기, 확장자=gif)] + [include(틀:t캡션, 이름=[철/납]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전선,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땜장이의 작업장,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청록색 가중 압력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yan Weighted Pressure Plate, 한=청록색 가중 압력판, 스택=9999, v=1.3.1, ID=3632, 희소=blue, 유형=가구)][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압력판, 문서=아이템/설치/전기, 확장자=gif)] + [include(틀:t캡션, 이름=[철/납]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전선,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땜장이의 작업장,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뗄 때는 전기를 보내지 않는 일반 스위치와 다르게, 플레이어가 압력판을 밟고 뗄 때 모두 전기를 보낸다. 협동 퍼즐 맵 등에서, 누르는 동안에만 열려 있는 문 같은 것을 만들 수가 있다. 압력판의 유형에 따라 반응하는 대상이 달라진다. 표로 나눠 보면 다음과 같다. || '''압력판''' || '''반응하는 대상''' || ||[[파일:Terraria/회색 압력판.png]] 회색 압력판[br][[파일:Terraria/갈색 압력판.png]] 갈색 압력판[br][[파일:Terraria/파란색 압력판.png]] 파란색 압력판 [br][[파일:Terraria/리자드 압력판.png]] 리자드 압력판|| 플레이어만 반응 || ||[[파일:Terraria/빨간색 압력판.png]] 빨간색 압력판[br][[파일:Terraria/초록색 압력판.png]] 초록색 압력판|| 플레이어, NPC, 몬스터만 반응 || ||[[파일:Terraria/노란색 압력판.png]] 노란색 압력판|| NPC, 몬스터만 반응 || ||[[파일:Terraria/주황색 압력판.png]] 주황색 압력판|| 플레이어만 반응하고 반응한 뒤 부서짐 || ||[[파일:Terraria/분홍색 가중 압력판.png]] 분홍색 가중 압력판[br][[파일:Terraria/주황색 가중 압력판.png]] 주황색 가중 압력판[br][[파일:Terraria/보라색 가중 압력판.png]] 보라색 가중 압력판[br][[파일:Terraria/청록색 가중 압력판.png]] 청록색 가중 압력판|| 플레이어가 압력판을 밟고 뗄 때 반응 || ||[[파일:Terraria/암록색 압력 패드.png]] 암록색 압력 패드|| 투사체, 펫만 반응 ||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타이머)][anchor(1초 타이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1 Second Timer, 한=1초 타이머, 스택=9999, v=1.1, ID=583, 희소=white,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금 시계, 문서=아이템/장비/장신구,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백금 시계, 문서=아이템/장비/장신구,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전선,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3초 타이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3 Second Timer, 한=3초 타이머, 스택=9999, v=1.1, ID=584, 희소=white,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은 시계, 문서=아이템/장비/장신구,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텅스텐 시계, 문서=아이템/장비/장신구,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전선,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5초 타이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5 Second Timer, 한=5초 타이머, 스택=9999, v=1.1, ID=585, 희소=white,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구리 시계, 문서=아이템/장비/장신구,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주석 시계, 문서=아이템/장비/장신구,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전선,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1/2초 타이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1/2 Second Timer, 한=1/2초 타이머, 스택=9999, v=1.4.0.1, ID=4484, 희소=white,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1/4초 타이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1/4 Second Timer, 한=1/4초 타이머, 스택=9999, v=1.4.0.1, ID=4485, 희소=white,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오른쪽 클릭하거나 전기를 보내서 켜고 끌 수 있고, 켜져 있는 동안에는 각각 1/4, 1/2, 1, 3, 5초마다 전기를 반복해 보낸다. 과거에는 1, 3, 5초 타이머만 존재해 더 빠른 전기 공급을 위해서 엔진이 필수적이였고, 획득법도 오직 조합만 존재해 얻기 어려웠지만 현재는 돈만 있다면 기계공에게서 대량 구매가 가능해졌기 때문에 조합법들은 유명무실해졌다. 1/4초 타이머만 있어도 웬만한 엔진은 필요없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골프 컵)][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olf Cup, 한=골프 컵, v=1.4.0.1, ID=4040, 희소=green, 스택=9999, 유형=블록, 자동=↻)][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골프 선수,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골프에서 사용되는 블록. 골프 공이 골프 컵에 들어가면 골프 공 발사체가 사라지며, 컵이 전기 신호를 방출하여 플레이어가 공을 놓고 컵에 도달하기까지 얼마나 공을 쳤는지 상태 메세지로 출력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기폭 장치)][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etonator, 한=기폭 장치, 스택=9999, v=1.3.0.1, ID=3545, 희소=blue,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가끔 [[#폭발물|폭발물]]에 [[#압력판|압력판]] 대신 연결되어 있는 트랩 장치. 점프해서 밟거나 우클릭을 하면 전기를 보내어 연결된 폭발물을 바로 폭파시킨다. 크기가 커서 눈에 띄고 아래에는 [[테라리아/아이템/재료#광물|광물]] 뭉텅이가 무조건 박혀 있어서 쉽게 찾을 수 있다. 기폭 장치는 항상 폭발물의 폭발 범위 내에 자리잡고 있으므로 광물 캐기 귀찮다고 눌러 버리면 툴팁에 적혀 있는 것처럼 유혈과 내장이 난무하게 되니 우클릭으로 겨우 작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거리에서 작동시켜야 한다. 전선이나 폭발물을 멀리서 폭발시키거나 정리하고 곡괭이로 광물을 얻을 수도 있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석 자물쇠)][anchor(자수정 보석 자물쇠)][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Amethyst Gem Lock, 한=자수정 보석 자물쇠, 스택=9999, v=1.3.1, ID=3648, 희소=white, 유형=아이템)][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자수정, 문서=아이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토파즈 보석 자물쇠)][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opaz Gem Lock, 한=토파즈 보석 자물쇠, 스택=9999, v=1.3.1, ID=3647, 희소=white, 유형=아이템)][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토파즈, 문서=아이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사파이어 보석 자물쇠)][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apphire Gem Lock, 한=사파이어 보석 자물쇠, 스택=9999, v=1.3.1, ID=3645, 희소=white, 유형=아이템)][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사파이어, 문서=아이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에메랄드 보석 자물쇠)][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Emerald Gem Lock, 한=에메랄드 보석 자물쇠, 스택=9999, v=1.3.1, ID=3646, 희소=white, 유형=아이템)][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에메랄드, 문서=아이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루비 보석 자물쇠)][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Ruby Gem Lock, 한=루비 보석 자물쇠, 스택=9999, v=1.3.1, ID=3644, 희소=white, 유형=아이템)][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루비, 문서=아이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다이아몬드 보석 자물쇠)][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iamond Gem Lock, 한=다이아몬드 보석 자물쇠, 스택=9999, v=1.3.1, ID=3649, 희소=white, 유형=아이템)][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다이아몬드, 문서=아이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호박 보석 자물쇠)][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Amber Gem Lock, 한=호박 보석 자물쇠, 스택=9999, v=1.3.1, ID=3650, 희소=white, 유형=아이템)][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호박, 문서=아이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Largegem131.gif|width=180px]] 거대한 보석을 해당하는 틀에 끼우면 전기를 보낸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거대한 보석)][anchor(거대한 자수정)][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arge Amethyst, 한=거대한 자수정, 사진=Terraria/LargeAmethyst.png, 스택=1, v=1.2, ID=1522,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자수정, 문서=아이템/재료, h=16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거대한 토파즈)][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arge Topaz, 한=거대한 토파즈, 사진=Terraria/LargeTopaz.png, 스택=1, v=1.2, ID=1523,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토파즈, 문서=아이템/재료, h=16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거대한 사파이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arge Sapphire, 한=거대한 사파이어, 사진=Terraria/LargeSapphire.png, 스택=1, v=1.2, ID=1524,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사파이어, 문서=아이템/재료, h=16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거대한 에메랄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arge Emerald, 한=거대한 에메랄드, 사진=Terraria/LargeEmerald.png, 스택=1, v=1.2, ID=1525,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에메랄드, 문서=아이템/재료, h=16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거대한 루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arge Ruby, 한=거대한 루비, 사진=Terraria/LargeRuby.png, 스택=1, v=1.2, ID=1526,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루비, 문서=아이템/재료, h=16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거대한 다이아몬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arge Diamond, 한=거대한 다이아몬드, 스택=1, v=1.2, ID=1527,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다이아몬드, 문서=아이템/재료, h=16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거대한 호박)][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arge Amber, 한=거대한 호박, 사진=Terraria/LargeAmber.png, 스택=1, v=1.3.1, ID=3643,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호박, 문서=아이템/재료, h=16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소지한 플레이어의 머리 위에 보석이 떠다닌다. 소지한 플레이어가 거대한 보석을 소지한 상태로 죽을 경우 현재 캐릭터의 난이도와 관계없이 항상 거대한 보석을 떨군다. 죽은 즉시 떨어뜨린다는 것을 이용하여 [[테라리아/시스템#멀티플레이|멀티플레이]]에서는 깃발 뺏기처럼 보석 뺏기가 가능하다. PC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1.3.1]] 버전 업데이트로 거대한 호박이 추가되고 스프라이트가 개선되었다. 또한 단순 장식용 아이템에서 상단의 보석 자물쇠의 추가로 전기 기구가 되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덫 상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apped Chests, 한=덫 상자, 스택=9999, v=1.3.1, ID=,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상자, 사진=Chest.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전선,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겉으로는 일반 상자와 차이가 없기에 평상시처럼 상자를 열려고 하는 순간 그것을 감지하고 전기를 보내는 상자이다. [[마인크래프트]]의 덫 상자와의 차이점이라면 순수한 전기 신호 전달체의 역할만 있기에 저장 공간이 아예 없으며 약간의 외관 차이[* 마인크래프트의 덫 상자는 자물쇠 주변이 빨갛다.]조차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 가지 예로 그럴싸한 곳에 더욱 그럴싸하게 호화로워 보이는 상자(특히 [[테라리아/지형#던전|던전]]의 지형 상자)를 놓은 다음 상자 바로 주변 바닥에 활성화 장치를 놓고 [[#전선|전선]]을 연결하면 여는 순간 바닥이 뻥 뚫리는 함정을 만들 수 있다[* 모험 맵 테일 오브 더 테라리안에서 사용된 예시이다.]. 반대로 책을 당기면 문이 열리는 비밀 책장처럼 일반 상자들 사이에 놓은 뒤에 열면 열리는 비밀의 문도 만들 수 있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센서)][anchor(논리 센서)][anchor(논리 센서 (낮))][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ogic Sensor (Day), 한=논리 센서 (낮), 스택=9999, v=1.3.1, ID=3613, 희소=blue, 과정=ⓗ,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빛의 영혼, 문서=아이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철/납]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전선,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논리 센서 (밤))][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ogic Sensor (Night), 한=논리 센서 (밤), 스택=9999, v=1.3.1, ID=3614, 희소=blue, 과정=ⓗ,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밤의 영혼, 문서=아이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철/납]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전선,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논리 센서 (플레이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ogic Sensor (Player Above), 한=논리 센서 (플레이어), 스택=9999, v=1.3.1, ID=3615, 희소=blue, 과정=ⓗ,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시야의 영혼, 문서=아이템/재료,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철/납]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전선,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낮과 밤 센서는 각각 [[테라리아/시스템#낮|낮]]과 [[테라리아/시스템#밤|밤]]이 서로 시작할 때(오전 4:30 / 오후 7:30) 전기를 한 번 보낸다. 기억해야 할 점은, 낮에서 다시 밤, 밤에서 다시 낮이 되었다고 한 번 더 전기를 보내지는 않으므로 낮에 꺼지고 밤에 켜지는 가로등을 만들기 위해서는 낮 센서와 밤 센서가 둘 다 필요하다. 플레이어 센서는 그 센서 바로 위로 가로 5 x 세로 10 범위의 영역[* 정확히는, 블록 칸 기준 5x10의 영역에서 사방으로 대략 2픽셀씩 더 넓어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는 범위는 7 x 12이다.]에 플레이어가 들어올 때 전기를 공급한다. 물론 적을 포함한 모든 NPC는 인지하지 않으며 플레이어가 범위에서 사라지면 다시 한 번 더 전기를 보낸다. 가중 압력판의 범위형. 플레이어만을 감지하면서 범위가 넓으므로 플레이어는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지만 적과 NPC는 절대 드나들 수 없는 문을 만들 수 있으며, 또한 두 개 이상의 센서를 문 밑에 묻고, 논리 회로를 잘 이용한다면 들어오는 것은 가능하지만 나가는 것은 불가능한 문도 만들 수가 있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액체 센서)][anchor(액체 센서 (물))][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iquid Sensor (Water), 한=액체 센서 (물), 스택=9999, v=1.3.1, ID=3726, 희소=blue, 과정=ⓗ,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톱니,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마법의 물 스포이드, 문서=아이템/도구,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전선,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액체 센서 (용암))][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iquid Sensor (Lava), 한=액체 센서 (용암), 스택=9999, v=1.3.1, ID=3727, 희소=blue, 과정=ⓗ,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톱니,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마법의 용암 스포이드, 문서=아이템/도구,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전선,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액체 센서 (꿀)))][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iquid Sensor (Honey), 한=액체 센서 (꿀), 스택=9999, v=1.3.1, ID=3728, 희소=blue, 과정=ⓗ,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톱니,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마법의 꿀 스포이드, 문서=아이템/도구,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전선,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액체 센서 (아무 액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iquid Sensor (Any), 한=액체 센서 (아무 액체), 스택=9999, v=1.3.1, ID=3729, 희소=blue, 과정=ⓗ,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톱니,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마법의 물 스포이드, 문서=아이템/도구,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마법의 용암 스포이드, 문서=아이템/도구,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마법의 꿀 스포이드, 문서=아이템/도구,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전선,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각각 해당하는 액체가 그 위에 닿을 경우 전기를 보내며 닿았던 액체가 사라질 때도 다시 전기를 보낸다. 액체를 옮기는 [[#펌프|펌프]]를 동원하여 중간에 센서를 두면 물이 중간을 거칠 때 아래에 있는 물은 올라가고 다시 내려가는 무한한 순환을 거친다. 이를 잘 활용한다면 수중 도시 건축을 위해 복도에서 들어오는 물을 감지해 다시 밖으로 내보내는 것도 가능하다. 공통적으로, 센서 자체는 다른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블록|블록]]이나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벽면|벽면]]에 붙여 배치할 필요 없이 즉시 허공에 배치할 수 있지만 통과 가능한 블록으로 처리되므로 전기 장치를 들고 있지 않더라도 눈에 띈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논리 회로)][anchor(논리 회로 (AND))][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ogic Gate (AND), 한=논리 회로 (AND), 스택=9999, v=1.3.1, ID=3603, 희소=blue, 과정=ⓗ,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스팀펑커, 사진=Steampunker.png,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논리 회로 (NAND))][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ogic Gate (NAND), 한=논리 회로 (NAND), 스택=9999, v=1.3.1, ID=3605, 희소=blue, 과정=ⓗ,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스팀펑커, 사진=Steampunker.png,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논리 회로 (OR))][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ogic Gate (OR), 한=논리 회로 (OR), 스택=9999, v=1.3.1, ID=3604, 희소=blue, 과정=ⓗ,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스팀펑커, 사진=Steampunker.png,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논리 회로 (NOR))][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ogic Gate (NOR), 한=논리 회로 (NOR), 스택=9999, v=1.3.1, ID=3606, 희소=blue, 과정=ⓗ,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스팀펑커, 사진=Steampunker.png,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논리 회로 (XOR))][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ogic Gate (XOR), 한=논리 회로 (XOR), 스택=9999, v=1.3.1, ID=3607, 희소=blue, 과정=ⓗ,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스팀펑커, 사진=Steampunker.png,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논리 회로 (XNOR))][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ogic Gate (XNOR), 한=논리 회로 (XNOR), 스택=9999, v=1.3.1, ID=3608, 희소=blue, 과정=ⓗ,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스팀펑커, 사진=Steampunker.png,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위에 논리 회로 램프를 둘 이상 쌓아 사용한다. 논리 회로 램프들을 입력으로 삼아서 그 결과를 계산하고, 결과의 참 거짓이 바뀔 때마다 전기를 보낸다. 논리 회로의 종류에는 AND, NAND, OR, NOR, XOR, XNOR가 있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논리 회로 램프)][anchor(논리 회로 램프 (꺼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ogic Gate Lamp (Off), 한=논리 회로 램프 (꺼짐), 스택=9999, v=1.3.1, ID=3602, 희소=blue, 과정=ⓗ,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스팀펑커, 사진=Steampunker.png, 문서=NPC, h=24px)] (10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논리 회로 램프 (켜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ogic Gate Lamp (On), 한=논리 회로 램프 (켜짐), 스택=9999, v=1.3.1, ID=3618, 희소=blue, 과정=ⓗ,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스팀펑커, 사진=Steampunker.png, 문서=NPC, h=24px)] (10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논리 회로 램프 (결함))][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ogic Gate Lamp (Faulty), 한=논리 회로 램프 (결함), 스택=9999, v=1.3.1, ID=3663, 희소=blue, 과정=ⓗ,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스팀펑커, 사진=Steampunker.png,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논리 회로 위에 설치하여 함께 사용한다. 전기를 공급할 때마다 껐다 켜진다. 꺼진 상태는 거짓, 켜진 상태는 참을 의미한다. 논리 회로 램프 (결함)는 논리 회로 램프 가장 위에 배치하며 이때 맨 밑의 논리 회로는 종류에 무관하게 확률적으로 동작하는 확률 회로가 된다. 이때 결함 램프에 전기를 공급하면 (현재 켜진 램프 수/전체 램프 수)의 확률로 논리 회로가 전기를 보낸다. 예로, 램프 세 개가 있으며 셋 중 하나가 켜져 있는 상태에서 결함 램프에 신호를 공급하면, 1/3의 확률로 논리 회로가 전기를 보낸다. 램프가 하나뿐일 경우, 켜져 있다면 100%의 확률로, 꺼져 있다면 0%의 확률로 전기를 보내는 점을 이용해 램프가 하나인 확률 회로를 두 개 이어 붙여서 플립플롭을 구성할 수가 있다. [[https://youtu.be/88xQptTtjGY|예시]] === 전기 가구 ===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펌프)][anchor(흡입 펌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Inlet Pump, 한=흡입 펌프, 스택=9999, v=1.1, ID=581, 희소=white,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철/납]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전선,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배출 펌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Outlet Pump, 한=배출 펌프, 스택=9999, v=1.1, ID=582, 희소=white,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철/납]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전선,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두 펌프를 전선으로 연결한 후 신호를 줄 때마다 흡입 펌프에 위치한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액체|액체]]를 배출 펌프 쪽으로 한 번에 최대 4블록만큼 보낸다. 배출 펌프가 액체에 완전히 잠기면 펌프가 작동하지 않는다. 그래픽상으로는 따로 방향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양쪽으로 액체를 뿜어내므로 한 쪽으로만 액체를 보내고 싶다면 펌프 뒤쪽에 벽을 만들어주는 게 좋다. 흡입 펌프가 액체에 완전히 잠겨 있으면 배출 펌프에서 나오는 액체가 조금 늘어나는 버그가 있어서 이를 활용해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액체|액체]] 생성기를 만들 수 있다. 하지만 1.4 버전 업데이트 이후 펌프를 이용한 액체 증식이 막혀 더 이상 이러한 용도로는 활용할 수 없게 되었다. 대신 새로 추가된 탄환 아이템인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마른 로켓|마른 로켓]]을 각각의 액체(물, 용암, 꿀)와 조합하여 3가지 액체 로켓을 만들 수 있다. 로켓 발사기를 이용해 발사하여 타일이나 적에게 부딪히면 폭발범위에 해당하는 양의 액체가 생성되는데, 아마 펌프 무한증식 꼼수를 보완, 대체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쇠격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rate, 한=쇠격자, 스택=9999, v=1.4.0.1, ID=4422, 희소=white, 유형=블록, 자동=↻)][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철/납]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거품|거품]]의 반대 역할을 수행하는 블록으로, 전기를 통해 열고 닫을 수 있다. 열려 있을 때에는 오직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액체|액체]]만을 통과시키며 플레이어, 몬스터, NPC는 모두 통과시키지 않고 가둘 수 있다. 반대로 닫혀 있을 때에는 액체조차 통과하지 못하는 완전한 고체 블록이 된다. 일반적인 플레이에서는 활용도가 높지 않지만, 본격적인 맵 제작의 영역으로 넘어가면 이를 활용한 각종 퍼즐 장치 제작이 가능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알림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Announcement Box, 한=알림판, 사진=Terraria/AnnouncementBox.png, 스택=9999, v=1.3.1, ID=3617, 희소=white,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표지판,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철/납]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4) + [include(틀:t캡션, 이름=전선,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 (4)[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표지판과 기본적 특징은 같으나 전기를 받으면 해당 알림판의 메시지를 채팅 창에 띄운다. 메시지뿐만이 아니라 아이템, 도전 과제, 그리고 게임 패드 버튼 아이콘도 채팅 창에 띄울 수 있다. * {{{[c/(color code):text]}}}: color code에는 HEX로 표기한 색상 값을, text에는 원하는 메시지를 쓰면 색상이 입혀진 메시지가 뜬다. 간단히 {{{[c/66FF66:파멸이 임박했다...]}}}라는 텍스트를 넣으면 {{{#66FF66 파멸이 임박했다...}}}가 뜬다. * {{{[i/xXX:ID]}}}: /xXX에는 아이템의 속성(생략할 수 있다), ID에는 아이템의 내부 ID를 넣으면 된다. 아이템 속성 부분에는, 개수를 정하려면 sXX, 수식어를 붙이려면 pXX를 넣으면 된다. {{{[i/s24:2]}}}는 ID 2인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흙 블록|흙 블록]] 24개를 띄운다. 그리고 {{{[i/p81:2786]}}}은 '전설적인(Legendary)' [[테라리아/아이템/도구/기본#태양 플레어 곡괭이|태양 플레어 곡괭이]]를 띄운다. 아이템의 내부 ID는 [[http://terraria.wiki.gg/wiki/Item_IDs|공식 위키의 Item IDs]]를, 수식어의 내부 ID는 [[http://terraria.wiki.gg/wiki/Prefix_IDs|Prefix IDs]]를 참고. * {{{[a:NAME]}}}: NAME 부분에 [[테라리아/도전 과제|도전 과제]]의 이름을 넣으면 도전 과제가 뜬다. 이름에는 띄어쓰기 대신 언더바(_)를 사용해야 하며, 무조건 대문자를 써야 한다. 그리고 특수문자는 제외한다. 그 도전 과제 이름을 클릭하면 도전 과제 정보를 볼 수 있다. * {{{[g:#]}}}: #에 0부터 25까지의 숫자를 넣으면 해당하는 게임 패드 버튼을 보여 준다. 버튼에 해당하는 숫자는 [[https://terraria.wiki.gg/wiki/Announcement_Box#Glyphs|공식 위키 알림판 문서의 Glyph 문단]]을 참고.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활성 돌 블록)][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Active Stone Block, 한=활성 돌 블록, 스택=9999, v=1.1, ID=511, 희소=white, 유형=블록, 자동=↻)][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전선,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 @ 손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바위 함정}}}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비활성 돌 블록)][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Inactive Stone Block, 한=비활성 돌 블록, 스택=9999, v=1.1, ID=512, 희소=white, 유형=블록, 자동=↻)][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벽면,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24px)] (4) + [include(틀:t캡션, 이름=전선,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 @ 손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바위 함정}}}|| 전기를 받을 때마다 블록 상태와 벽지 상태가 바뀌는 블록이다. 함정이나 도개교, 비밀 통로와 같은 여러 가지 장치들을 만들 수 있다. [[#작동기|작동기]]의 구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활성 돌 블록의 경우 아래 트랩 문단에서 서술할 바위 함정을 비롯한 몇 가지 함정에 사용되기 때문에 지하(대동굴)에서도 자연 생성된다. 바위가 떨어진, 전선과 연결된 위쪽의 돌을 파면 일반 돌이 아닌 활성 돌 블럭인 것을 알 수 있다. 압력판을 누르면 해당 돌의 블럭 판정이 사라지면서 바위가 떨어지는 형식의 트랩인데 이 함정이 처음 추가되었을 때에는 작동기가 없었기 때문. 실제로 작동기 추가 이후 천장에서 무언가가 떨어지는 형식의 트랩들은 전부 작동기로 만들어져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작동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Actuator, 한=작동기, 스택=9999, v=1.2, ID=849, 희소=white, 유형=재료, 자동=↻)][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10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함정}}}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블록]]이나 가구 등에 놓고 전기를 주면 블록 상태와 벽지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테라리아/지형#리자드 사원|리자드 사원]]의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리자드 벽돌|리자드 벽돌]]은 [[테라리아/보스#플랜테라|플랜테라]]를 격파할 때까지 보호받으므로 벽지 상태로 만들 수 없다. 블록 위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전선처럼 숨겨져 있으므로 제거하려면 [[#전선 절단기|전선 절단기]]나 [[#위대한 설계도|위대한 설계도]]를 사용해야만 한다. 이 도구를 리자드 제단 아래에 설치한뒤 전기를 보내면 픽소우 없이 제단을 뜯을수 있기 때문에, 만약 좁은 공간에서 골렘을 처리하기 불편하겠다 싶을때 가져가서 써보자. 작동기 추가 이후 기존 지하 지형에도 작동기를 이용한 함정이 많이 생겼다. [[테라리아/아이템/설치#용암|용암]]이 고인 공동 아래에 일렬로 작동기를 깔아놓고 그 밑의 압력판을 밟으면 용암을 부어넣는 트랩, 가로로 죽 이어진 작동기 위에서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모래|모래]]를 대량으로 쏟아부어 압사시키는 트랩 등.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전선 전구)][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ire Bulb, 한=전선 전구, 스택=9999, v=1.3.1, ID=3629, 희소=green,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각각의 모서리는 해당되는 색상의 [[#전선|전선]]으로부터 전기를 받을 때마다 껐다 켜진다. 빛을 발하므로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횃불|횃불]] 같은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광원 가구]]를 대체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텔레포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eleporter, 한=텔레포터, 스택=9999, v=1.2, ID=1263, 희소=white,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50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텔레포터 2개를 [[#전선|전선]]으로 이은 다음, 전선에 전기를 주면 각 텔레포터 위에 있는 생물들을 상대편으로 전송한다. 텔레포터를 이루는 3블록 중 왼쪽, 오른쪽에 4가지 색의 전선을 두어서 최대 8개의 다른 텔레포터와 연결할 수 있다. 만약 하나의 전선에 3개 이상의 텔레포터가 연결되어있을 경우 텔레포터를 작동시키면 연결된 전선에서 가장 멀리 연결된 텔레포터로 이동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포탈건 기구)][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ortal Gun Station, 한=포탈건 기구, 스택=9999, v=1.3.1, ID=3664, 희소=orange, 유형=가구, 자동=↻)][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사이보그, 문서=NPC, h=24px)] (10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테라리아/아이템/도구#포탈건|포탈건]]을 소지하고 있을 때)}}} 4x3블록을 차지하지만, 블록 2개의 위에도 설치할 수 있다. ||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Capture_2016-05-22_16_08_55.png]] || ||빨간색: 왼쪽으로 기울이기[br]초록색: 오른쪽으로 기울이기[br]파란색: 색상 변경[br]노란색: 포탈 발사|| 포탈건의 설치할 수 있는 버전이다. 포탈건 기구의 왼쪽과 오른쪽 부분을 클릭해 그 방향으로 총구를 회전시킬 수 있고, 위쪽을 클릭해 색상을 변경, 아래쪽을 클릭해 포탈을 발사한다. 각 부분은 전기를 받아도 작동한다. 그러나 포탈의 주인을 추적할 수 없는 방식으로 전기를 공급한다면 포탈을 발사하지 않는다. 즉 플레이어가 작동시키는 스위치와 바로 연결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다른 전기 기구가 내보낸 전기로는 작동하지 않는다. 포탈건은 물론 포탈건 기구에서 발사되는 포탈 형성 입자는 엄연히 발사체에 속한다. 또한 다시 발사하는 데에 딜레이가 아주 짧고 발사 시 소리도 안 나고 테라리아 내 발사체 중에서는 굉장히 빠르게 날아가므로 전기 공급용으로 사용될 다트 트랩 대신 이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대신 아래로는 향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 조각상 ==== || [[파일:attachment/테라리아/기구/Statuefarm.png|width=200]] || 기능이 있는 조각상들로, [[#전선|전선]]으로 연결해 전기를 보내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모든 조각상은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나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에서 자연적으로 발견할 수 있으며, [[테라리아/아이템/도구/기본#곡괭이|곡괭이]]로 캐거나 조각상 바로 밑의 블록을 제거해서 얻을 수 있다. 조각상을 이용하여 아이템이나 몬스터 등을 생성하는 데에는 다음와 같은 조건이 있다. * 300픽셀(37.5블록) 안에서는 최대 3개까지 생성할 수 있다. * 800픽셀(100블록) 안에서는 최대 6개까지 생성할 수 있다. * 거리에 상관없이 전체 맵에서 최대 10개까지 생성할 수 있다. 다시 생성하기 위해서는, 그 생성된 아이템을 얻어서 필드에서 없애거나 몬스터를 잡아서 생성 조건을 다시 갖추면 된다. PC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1.3.1]] 버전 업데이트로 종류가 대폭 늘어나고 그래픽이 좀 더 밝게 변하였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버섯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ushroom Statue, 한=버섯 조각상, 사진=Terraria/MushroomStatue.png, 스택=9999, v=1.1, ID=470,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전기를 보내어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발광 버섯|발광 버섯]]처럼 빛나게 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바위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oulder Statue, 한=바위 조각상, 스택=9999, v=1.4.0.1, ID=4355,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바위, 사진=Boulder.png,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전기를 보내어 해당 자리에 바위 트랩의 바위를 떨어뜨린다. 기능의 특성상 이 조각상만 거꾸로 천장에만 설치할 수 있고 쿨타임이 15초 정도로 꽤 길다. ===== [anchor(아이템 조각상)][anchor(아이템 생성)]아이템 생성 ===== 아이템을 생성하는 조각상으로, 대기 시간은 10초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폭탄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omb Statue, 한=폭탄 조각상, 스택=9999, v=1.1, ID=453,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테라리아/아이템/무기#폭탄|폭탄]] 아이템을 소환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하트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Heart Statue, 한=하트 조각상, 사진=Terraria/HeartStatue.png, 스택=9999, v=1.1, ID=473,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체력 20을 회복하는 하트를 소환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별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tar Statue, 한=별 조각상, 사진=Terraria/StarStatue.png, 스택=9999, v=1.1, ID=438,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마나 100을 회복하는 별을 소환한다. ===== [anchor(소동물 조각상)][anchor(소동물 생성)]소동물 생성 ===== [[테라리아/소동물|소동물]]을 생성하는 조각상.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3]] 버전 패치로 [[테라리아/아이템/도구#잠자리채|잠자리채]]로 잡은 소동물에게 판매가가 생김에 따라,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1.3.1]] 버전에서 조각상에서 나온 소동물을 잠자리채로 잡으려고 하면 사라져 버리도록 패치되었다. 그나마도 특정 소동물은 아이템 드롭조차 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장식용 소품에 불과하게 되었다. 소동물을 생성하는 조각상들은 모두 [[테라리아/지형#묘지|묘지]] 지형에 있는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고중량 작업대|고중량 작업대]]에서 해당 [[테라리아/소동물|소동물]] 5마리와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돌|돌]] 50개로 직접 제작할 수도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토끼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unny Statue, 한=토끼 조각상, 사진=Terraria/BunnyStatue.png, 스택=9999, v=1.1, ID=445,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토끼, 문서=소동물,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테라리아/몬스터#토끼|토끼]]를 소환한다. 전리품은 토끼 배너. [[테라리아/이벤트#블러드 문|블러드 문]]이 떴을 때 소환하면 [[테라리아/몬스터#오염된 토끼|오염된 토끼]] 혹은 [[테라리아/몬스터#크림테인 토끼|크림테인 토끼]]로 바뀐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금붕어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ish Statue, 한=금붕어 조각상, 사진=Terraria/FishStatue.png, 스택=9999, v=1.1, ID=444,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금붕어, 문서=소동물,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테라리아/몬스터#금붕어|금붕어]]를 소환한다. 전리품은 금붕어 배너. [[테라리아/몬스터#토끼|토끼]]처럼 [[테라리아/이벤트#블러드 문|블러드 문]]이 떴을 때 소환하면 [[테라리아/몬스터#오염된 금붕어|오염된 금붕어]] 혹은 [[테라리아/몬스터#크림테인 금붕어|크림테인 금붕어]]로 바뀐다. 이 때문에 무한으로 금붕어 소환이 가능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새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ird Statue, 한=새 조각상, 사진=Terraria/BirdStatue.png, 스택=9999, v=1.1, ID=464,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새, 확장자=gif, 문서=소동물,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테라리아/몬스터#새|새]]를 소환한다. 전리품은 새 배너. 새의 특징을 이용하여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새 엔진이 있다. 아래의 회로 문단 참조.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쥐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ouse Statue, 한=쥐 조각상, 사진=Terraria/MouseStatue.png, 스택=9999, v=1.3.1, ID=3658,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쥐, 문서=소동물,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테라리아/몬스터#쥐|쥐]]를 소환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펭귄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enguin Statue, 한=펭귄 조각상, 사진=Terraria/PenguinStatue.png, 스택=9999, v=1.3.1, ID=3660,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펭귄, 문서=소동물,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테라리아/몬스터#펭귄|펭귄]]을 소환한다. 전리품은 펭귄 배너. [[테라리아/몬스터#토끼|토끼]], [[테라리아/몬스터#금붕어|금붕어]]와 마찬가지로 [[테라리아/이벤트#블러드 문|블러드 문]]이 떴을 때 소환하면 [[테라리아/몬스터#오염된 펭귄|오염된 펭귄]] 혹은 [[테라리아/몬스터#지독한 펭귄|지독한 펭귄]]으로 바뀐다. 이 때문에 무한으로 펭귄 소환이 가능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개구리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rog Statue, 한=개구리 조각상, 사진=Terraria/FrogStatue.png, 스택=9999, v=1.3.1, ID=3661,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개구리, 문서=소동물,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테라리아/몬스터#개구리|개구리]]를 소환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다람쥐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quirrel Statue, 한=다람쥐 조각상, 사진=Terraria/SquirrelStatue.png, 스택=9999, v=1.3.1, ID=3651,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다람쥐, 확장자=gif, 문서=소동물,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테라리아/몬스터#다람쥐|다람쥐]]를 소환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오리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uck Statue, 한=오리 조각상, 사진=Terraria/DuckStatue.png, 스택=9999, v=1.3.1, ID=3659,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오리, 확장자=gif, 문서=소동물,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테라리아/몬스터#오리|오리]]나 [[테라리아/몬스터#청둥오리|청둥오리]]를 소환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나비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utterfly Statue, 한=나비 조각상, 사진=Terraria/ButterflyStatue.png, 스택=9999, v=1.3.1, ID=3652,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나비, 확장자=gif, 문서=소동물,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테라리아/몬스터#나비|나비]] 중 아무 종류나 1마리를 소환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메뚜기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rasshopper Statue, 한=메뚜기 조각상, 사진=Terraria/GrasshopperStatue.png, 스택=9999, v=1.3.1, ID=3657,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메뚜기, 문서=소동물,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테라리아/몬스터#메뚜기|메뚜기]]를 소환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전갈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corpion Statue, 한=전갈 조각상, 사진=Terraria/ScorpionStatue.png, 스택=9999, v=1.3.1, ID=3655,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전갈, 확장자=gif, 문서=소동물,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테라리아/몬스터#전갈|전갈]]이나 [[테라리아/몬스터#검은 전갈|검은 전갈]]을 소환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달팽이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nail Statue, 한=달팽이 조각상, 사진=Terraria/SnailStatue.png, 스택=9999, v=1.3.1, ID=3656,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달팽이, 확장자=gif, 문서=소동물,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테라리아/몬스터#달팽이|일반 달팽이]]나 [[테라리아/몬스터#발광 달팽이|발광 달팽이]]를 소환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딱정벌레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uggy Statue, 한=딱정벌레 조각상, 사진=Terraria/BuggyStatue.png, 스택=9999, v=1.3.1, ID=3662,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정글 벌레, 확장자=gif, 문서=소동물,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테라리아/지형#정글|정글]]에서 출현하는 생물인 [[테라리아/몬스터#구더기|구더기]], [[테라리아/몬스터#민달팽이|민달팽이]], [[테라리아/몬스터#딱정벌레|딱정벌레]] 중 하나를 소환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지렁이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orm Statue, 한=지렁이 조각상, 사진=Terraria/WormStatue.png, 스택=9999, v=1.3.1, ID=3653,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지렁이, 문서=소동물,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테라리아/몬스터#지렁이|지렁이]]를 소환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개똥벌레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irefly Statue, 한=개똥벌레 조각상, 사진=Terraria/FireflyStatue.png, 스택=9999, v=1.3.1, ID=3654,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개똥벌레, 확장자=gif, 문서=소동물,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테라리아/몬스터#개똥벌레|개똥벌레]]나 [[테라리아/몬스터#반딧불이|반딧불이]]를 소환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잠자리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ragonfly Statue, 한=잠자리 조각상, 스택=9999, v=1.4.0.1, ID=4342,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잠자리, 확장자=gif, 문서=소동물,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테라리아/몬스터#잠자리|잠자리]]를 소환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부엉이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Owl Statue, 한=부엉이 조각상, 스택=9999, v=1.4.0.1, ID=4397,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부엉이, 문서=소동물,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테라리아/몬스터#부엉이|부엉이]]를 소환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갈매기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eagull Statue, 한=갈매기 조각상, 스택=9999, v=1.4.0.1, ID=4360,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갈매기, 문서=소동물,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테라리아/몬스터#갈매기|갈매기]]를 소환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거북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urtle Statue, 한=거북 조각상, 스택=9999, v=1.4.0.1, ID=4466,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거북, 확장자=gif, 문서=소동물,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테라리아/몬스터#거북|거북]]이나 [[테라리아/몬스터#정글 거북|정글 거북]]을 소환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마코앵무새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acaw Statue, 한=마코앵무새 조각상, 스택=9999, v=1.4.4, ID=5317,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마코앵무새, 확장자=gif, 문서=소동물,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테라리아/몬스터#마코앵무새|마코앵무새]]를 소환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큰부리새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oucan Statue, 한=큰부리새 조각상, 스택=9999, v=1.4.4, ID=5318,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큰부리새, 문서=소동물,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테라리아/몬스터#큰부리새|큰부리새]]를 소환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왕관앵무새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ockatiel Statue, 한=왕관앵무새 조각상, 스택=9999, v=1.4.4, ID=5319,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왕관앵무새, 확장자=gif, 문서=소동물,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테라리아/몬스터#왕관앵무새|왕관앵무새]]를 소환한다. ===== [anchor(몬스터 조각상)][anchor(몬스터 생성)]몬스터 생성 ===== 몬스터를 생성하는 조각상. 조각상으로 소환된 몬스터는 돈, 범용 아이템[* [[테라리아/아이템/재료#영혼|빛의/밤의 영혼]], [[테라리아/아이템/소비#지형 열쇠|지형 열쇠]], 크리스마스 [[테라리아/아이템/소비#선물 상자|선물]] 등.], [[테라리아/아이템/소비#s-2.2|음식]]을 떨구지 않고, 고유 아이템도 드롭 확률이 자연 생성 몬스터에 비해 낮으며, 하드모드 몬스터를 소환하는 조각상을 하드모드 이전에 작동시킬 경우 배너 이외의 어떤 아이템도 획득할 수 없다. 또한 조각상 몬스터들은 함정이나 용암에 의해 죽을 경우[* 플레이어 때리다가 막타를 용암이 쳤을때도 포함.] 드롭률과 무관하게 아무 아이템도 떨구지 않으므로 [[테라리아/공략#AFK|AFK 작업장]]을 차리려면 [[테라리아/아이템/무기/소환|소환 무기]]를 이용해야 한다.[* 슬라임 석상은 예외. 서머너 플레이를 위한 것으로 추정.] 이 때 몬스터가 아이템을 떨어뜨릴 확률이 얼마만큼 감소하는가는 조각상마다 전부 다르다. 가령 배율이 0.2인 [[#해파리 조각상|해파리 조각상]]에서 나온 [[테라리아/몬스터#푸른 해파리|푸른 해파리]]는 100% 확률로 반드시 드랍하는 [[테라리아/아이템/도구#형광봉|형광봉]]을 100 * 0.2 = 20% 확률로 드랍하게 된다. 킬 카운트는 일반적인 몹과 동일하기에 조각상에서 나타나는 몹을 지속적으로 죽이면 역시 배너를 얻을 수가 있다. 간혹 근처에 있는 전선과 이어져서 플레이어가 트랩을 밟으면 몬스터를 소환하는 함정 형태로 존재할 때도 있다. 지하를 내려가다가 거기서 나타날 이유가 없는 다른 지형의 몬스터가 뜬금없이 나타난다면(+돈도 떨구지 않는다면) 근처에 몬스터 조각상이 있지 않은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박쥐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at Statue, 한=박쥐 조각상, 사진=Terraria/BatStatue.png, 스택=9999, v=1.1, ID=443,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테라리아/몬스터#동굴 박쥐|동굴 박쥐]]를 소환한다. 드랍 배율은 0.2. 전리품은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쇠사슬 단검|쇠사슬 단검]],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깊이 측정기|깊이 측정기]].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상자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hest Statue, 한=상자 조각상, 사진=Terraria/ChestStatue.png, 스택=9999, v=1.1, ID=463,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테라리아/몬스터#미믹|미믹]]을 소환한다. 드랍 배율은 0. 즉 아이템을 드롭하지 않는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게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rab Statue, 한=게 조각상, 사진=Terraria/CrabStatue.png, 스택=9999, v=1.1, ID=454,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테라리아/지형#바다|바다]]의 [[테라리아/몬스터#게|게]]를 소환한다. [[#새 조각상|새 조각상]]과 마찬가지로 이것도 [[https://www.youtube.com/watch?v=OQlSQSa84s4|게 엔진]]이라는 장치가 존재한다. 새 엔진보단 관리하기도 까다롭고 속도도 느려서 잘 안 쓰이는 느낌. 또 다른 장치인 게 리피터는 아래의 회로 문단 참조.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해파리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Jellyfish Statue, 한=해파리 조각상, 사진=Terraria/JellyfishStatue.png, 스택=9999, v=1.1, ID=459,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테라리아/몬스터#|파란 해파리]]를 소환한다. 드랍 배율은 0.2. 전리품은 [[테라리아/아이템/도구#형광봉|형광봉]].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2|1.2]] 버전부터는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해파리 목걸이|해파리 목걸이]]도 드롭하는데 장비인 만큼 겹치지는 않지만 판매가가 금화 1닢이라서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조각상이기도 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피라냐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iranha Statue, 한=피라냐 조각상, 사진=Terraria/PiranhaStatue.png, 스택=9999, v=1.1, ID=478,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테라리아/몬스터#피라냐|피라냐]]를 소환한다. 드랍 배율은 0.2. 전리품은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나침반|나침반]], [[테라리아/아이템/재료#갈고리|갈고리]], [[테라리아/아이템/장비/치장#로봇 모자|로봇 모자]]. 이 중 로봇 모자는 피라냐를 잡으면 0.2%의 확률로 드롭하기 때문에 피라냐 조각상을 얻으면 로봇 모자를 얻는 난이도가 확 줄어든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스켈레톤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keleton Statue, 한=스켈레톤 조각상, 사진=Terraria/SkeletonStatue.png, 스택=9999, v=1.1, ID=446,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테라리아/몬스터#스켈레톤|스켈레톤]]을 소환한다. 드랍 배율은 0.2. 전리품은 [[테라리아/아이템/재료#갈고리|갈고리]], [[테라리아/아이템/장비/치장#두개골|두개골]],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뼈다귀 검|뼈다귀 검]], [[테라리아/아이템/장비/갑옷#고대의 철 헬멧|고대의 철 헬멧]] 및 [[테라리아/아이템/장비/갑옷#고대의 금 헬멧|금 헬멧]]. [[http://www.youtube.com/watch?v=WYUBfe9DXGU|스켈레톤과 텔레포트를 이용한 엔진도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슬라임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lime Statue, 한=슬라임 조각상, 사진=Terraria/SlimeStatue.png, 스택=9999, v=1.1, ID=440,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테라리아/몬스터#슬라임|파랑 슬라임]]을 소환한다. 순수 서머너 플레이를 지원하려는 목적인지 드랍 배율이 지정되어 있지 않다. 전리품은 [[테라리아/아이템/재료#젤|젤]]. 이 젤을 무한으로 드롭하기 때문에 [[테라리아/아이템/설치#용암|용암]] 등을 이용해 젤 공장을 만들어서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화염방사기|화염방사기]]의 탄약으로 안정적으로 수급할 수 있다. 또한 0.2%의 극악한 확률로 [[테라리아/아이템/무기/소환#슬라임 스태프|슬라임 스태프]]를 드롭한다. [[테라리아/이벤트#슬라임 장마|슬라임 장마]] 이벤트 때에 조각상으로 소환된 슬라임을 죽이는 것도 [[테라리아/보스#왕 슬라임|왕 슬라임]] 스폰의 조건에 해당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상어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hark Statue, 한=상어 조각상, 사진=Terraria/SharkStatue.png, 스택=9999, v=1.2.4, ID=2672,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PC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2.4|1.2.4]] 버전 업데이트로 추가된 조각상. [[테라리아/지형#바다|바다]]의 상어를 소환한다. 드랍 배율은 0.2. 전리품은 [[테라리아/아이템/재료#상어 지느러미|상어 지느러미]]와 잠수모. 조각상 배치 자체는 다른 조각상과 동일하나 상어의 크기 자체가 큰 만큼 소환 시에는 넓이 6 높이 4 이상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테라리아/갑옷#잠수모|잠수모]]가 평소에 얻기 힘드므로 상어 조각상을 얻었다면 해파리 목걸이처럼 대량으로 얻을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본 스켈레톤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one Skeleton Statue, 한=본 스켈레톤 조각상, 사진=Terraria/BoneSkeletonStatue.png, 스택=9999, v=1.3.1, ID=3712,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PC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1.3.1]] 버전 업데이트로 추가된 조각상. 전문가 모드의 변종 [[테라리아/몬스터#스켈레톤|스켈레톤]]을 소환한다. 전문가 모드의 변종이므로 뼈를 던진다. 드랍 배율은 0.2. 전리품은 스켈레톤과 동일.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무기를 든 좀비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Armed Zombie Statue, 한=무기를 든 좀비 조각상, 사진=Terraria/ArmedZombieStatue.png, 스택=9999, v=1.3.1, ID=3719,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PC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1.3.1]] 버전 업데이트로 추가된 조각상. 전문가 모드의 변종 [[테라리아/몬스터#좀비|좀비]]를 소환한다. 전문가 모드의 변종이므로 좀비 팔을 들고 휘두른다. 드랍 배율은 0.2. 전리품은 좀비와 동일.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드리플러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rippler Statue, 한=드리플러 조각상, 사진=Terraria/DripplerStatue.png, 스택=9999, v=1.3.1, ID=3710,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PC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1.3.1]] 버전 업데이트로 추가된 조각상. [[테라리아/이벤트#블러드 문|블러드 문]]의 [[테라리아/이벤트#드리플러|드리플러]]를 소환한다. 드랍 배율은 0.05. 전리품은 [[테라리아/아이템/도구#돈 여물통|돈 여물통]],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상어 이빨 목걸이|상어 이빨 목걸이]].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블러드 좀비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lood Zombie Statue, 한=블러드 좀비 조각상, 사진=Terraria/BloodZombieStatue.png, 스택=9999, v=1.3.1, ID=3720,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PC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1.3.1]] 버전 업데이트로 추가된 조각상. [[테라리아/이벤트#블러드 문|블러드 문]]의 [[테라리아/이벤트#블러드 좀비|블러드 좀비]]를 소환한다. 드랍 배율은 0.05. 전리품은 [[테라리아/아이템/도구#돈 여물통|돈 여물통]],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상어 이빨 목걸이|상어 이빨 목걸이]].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월 크리퍼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all Creeper Statue, 한=월 크리퍼 조각상, 사진=Terraria/WallCreeperStatue.png, 스택=9999, v=1.3.1, ID=3708,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PC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1.3.1]] 버전 업데이트로 추가된 조각상. [[테라리아/지형#거미 굴|거미 굴]]에 나오는 [[테라리아/몬스터#월 크리퍼|월 크리퍼]]를 소환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메두사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edusa Statue, 한=메두사 조각상, 사진=Terraria/MedusaStatue.png, 스택=9999, v=1.3.1, ID=3714,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PC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1.3.1]] 버전 업데이트로 추가된 조각상. [[테라리아/지형#대리석 동굴|대리석 동굴]]의 [[테라리아/몬스터#메두사|메두사]]를 소환한다. 드랍 배율은 0.05. 전리품은 [[테라리아/아이템/무기/마법#메두사의 머리|메두사의 머리]]와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소형 거울|소형 거울]].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장갑 보병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Hoplite Statue, 한=장갑 보병 조각상, 사진=Terraria/HopliteStatue.png, 스택=9999, v=1.3.1, ID=3717,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PC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1.3.1]] 버전 업데이트로 추가된 조각상. [[테라리아/지형#대리석 동굴|대리석 동굴]]의 [[테라리아/몬스터#장갑 보병|장갑 보병]]을 소환한다. 드랍 배율은 0.05. 전리품은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재블린|재블린]],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글라디우스|글라디우스]], [[테라리아/아이템/장비/갑옷#검투사 갑옷|검투사 갑옷]].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화강암 골렘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ranite Golem Statue, 한=화강암 골렘 조각상, 사진=Terraria/GraniteGolemStatue.png, 스택=9999, v=1.3.1, ID=3718,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PC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1.3.1]] 버전 업데이트로 추가된 조각상. [[테라리아/지형#화강암 동굴|화강암 동굴]]의 [[테라리아/몬스터#화강암 골렘|화강암 골렘]]을 소환한다. 드랍 배율은 0.2. 전리품은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화강암 블록|화강암 블록]], [[테라리아/아이템/장비/갑옷#야시경 헬멧|야시경 헬멧]], [[테라리아/아이템/소비#정동석|정동석]]. 정동석을 던지면 보석 또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화강암 골렘 조각상을 얻는다면 보석을 무한대로 뽑아낼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언데드 바이킹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Undead Viking Statue, 한=언데드 바이킹 조각상, 사진=Terraria/UndeadVikingStatue.png, 스택=9999, v=1.3.1, ID=3713,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PC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1.3.1]] 버전 업데이트로 추가된 조각상. [[테라리아/지형#설원 지하|설원 지하]]의 [[테라리아/몬스터#언데드 바이킹|언데드 바이킹]]을 소환한다. 드랍 배율은 0.25. 전리품은 [[테라리아/아이템/재료#갈고리|갈고리]], [[테라리아/아이템/장비/갑옷#바이킹 헬멧|바이킹 헬멧]],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나침반|나침반]].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하피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Harpy Statue, 한=하피 조각상, 사진=Terraria/HarpyStatue.png, 스택=9999, v=1.3.1, ID=3715,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PC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1.3.1]] 버전 업데이트로 추가된 조각상. [[테라리아/지형#상공|상공]]의 하피를 소환한다. 드랍 배율은 0.05. 전리품은 [[테라리아/아이템/재료#깃털|깃털]].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망령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raith Statue, 한=망령 조각상, 사진=Terraria/WraithStatue.png, 스택=9999, v=1.3.1, ID=3711,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PC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1.3.1]] 버전 업데이트로 추가된 조각상. [[테라리아/시스템#밤|밤]]일 때 나타나는 지상의 [[테라리아/몬스터#망령|망령]]을 소환한다. 드랍 배율은 0.05. 전리품은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고속 시계|고속 시계]].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유니콘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Unicorn Statue, 한=유니콘 조각상, 사진=Terraria/UnicornStatue.png, 스택=9999, v=1.3.1, ID=3709,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PC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1.3.1]] 버전 업데이트로 추가된 조각상. [[테라리아/지형#신성지대|신성지대 지상]]의 유니콘을 소환한다. 드랍 배율은 0.05. 전리품은 [[테라리아/아이템/재료#유니콘의 뿔|유니콘의 뿔]], [[테라리아/아이템/도구#유니콘 꼬챙이|유니콘 꼬챙이]], [[테라리아/아이템/도구#보조 장비|축복받은 사과]], [[테라리아/아이템/도구#유니콘 연|유니콘 연]]. 특히 축복받은 사과의 상점 판매가는 약 금화 5개 값을 하고 유니콘의 뿔 같은 경우도 일반 재료템 치고는 값이 나가기 때문에 AFK 파밍용 조각상으로 쓰기 좋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피그론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igron Statue, 한=피그론 조각상, 사진=Terraria/PigronStatue.png, 스택=9999, v=1.3.1, ID=3716,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PC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1.3.1]] 버전 업데이트로 추가된 조각상. [[테라리아/지형#오염지대|오염지대]]/[[테라리아/지형#진홍지대|진홍지대]]/[[테라리아/지형#신성지대|신성지대]] [[테라리아/지형#설원 지하|설원 지하]]의 [[테라리아/몬스터#피그론|피그론]]을 소환한다. 소환되는 피그론의 종류는 랜덤이다. 드랍 배율은 0.05.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베이컨|베이컨]]을 제외한 모든 전리품을 드랍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임프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Imp Statue, 한=임프 조각상, 사진=Terraria/ImpStatue.png, 스택=9999, v=1.1, ID=449,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테라리아/지형#지하세계|지하세계]]의 임프를 소환한다. 드랍 배율은 0.05. 전리품은 [[테라리아/아이템/장비/치장#배관공의 옷|배관공의 모자]],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흑요석 장미|흑요석 장미]]. 임프 조각상과 아래의 조각상 4개는 아이템 자체는 1.1 버전에 추가되었지만 몬스터 소환 기능은 1.4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타락한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orrupt Statue, 한=타락한 조각상, 스택=9999, v=1.1, ID=466,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테라리아/지형#오염지대|오염지대]]의 [[테라리아/몬스터#영혼을 먹는 자|영혼을 먹는 자]]를 소환한다. 드랍 배율은 0.05.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햄버거|햄버거]]를 제외한 모든 전리품을 드랍한다. 1.1 버전에 추가된 석상이다 보니 [[테라리아/지형#진홍지대|진홍지대]]에 대응되는 [[테라리아/몬스터#크리메라|크리메라]] 소환 석상이 없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눈알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Eyeball Statue, 한=눈알 조각상, 스택=9999, v=1.1, ID=471,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테라리아/몬스터#악마의 눈|악마의 눈]]을 소환한다. 드랍 배율은 0.05. 전리품은 [[테라리아/아이템/재료#수정체|수정체]]와 [[테라리아/아이템/재료#검은 수정체|검은 수정체]].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고블린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oblin Statue, 한=고블린 조각상, 스택=9999, v=1.1, ID=441,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테라리아/몬스터#고블린 정찰병|고블린 정찰병]]을 소환한다. 드랍 배율은 0.01. 전리품은 [[테라리아/아이템/재료#망가진 천|망가진 천]]. 고블린 정찰병이 보기 어려운 몬스터이다 보니 [[테라리아/이벤트#고블린 부대|고블린 부대]] 소환에 도움이 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말벌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Hornet Statue, 한=말벌 조각상, 스택=9999, v=1.1, ID=452,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테라리아/지형#정글 지하|정글 지하]]의 [[테라리아/몬스터#말벌|말벌]]을 소환한다. 드랍 배율은 0.05. 전리품은 [[테라리아/아이템/재료#독침|독침]],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위석|위석]], [[테라리아/아이템/장비/갑옷#고대의 코발트 갑옷|고대의 코발트 갑옷]]. ===== [anchor(NPC 조각상)][anchor(NPC 소환)]NPC 소환 ===== NPC를 소환하는 조각상이다. 정확히는 전기를 보내면 조각상이 있는 자리에 현재 입주중인 NPC를 불러오는 식이다.[* 소환된 NPC에게 행복도 관련 대화를 걸어보면 해당 NPC의 현재 거주지에 따른 행복도 대사를 그대로 말한다. 단, 행복도 대사만 그대로 나올 뿐 거래시 행복도는 대화하는 해당 위치에 따라 계산된다.] 따라서 새롭게 스폰시키지는 않는다. 보스 레이드를 위해 NPC들을 한 곳에 집결시킬 때나 특정 지형에서만 판매하는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해 쓸 수 있다. 조각상으로 소환한 NPC가 소환된 자리에 머무르는 데는 따로 지속 시간은 없으며, 다만 밤이 되거나 날씨 이벤트가 발동 중일 때 플레이어의 시야 내에 없다면 자동으로 기존 거주지로 돌아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왕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King Statue, 한=왕 조각상, 사진=Terraria/KingStatue.png, 스택=9999, v=1.1, ID=476,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남성 NPC 중 1명을 랜덤하게 소환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여왕 조각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Queen Statue, 한=여왕 조각상, 사진=Terraria/QueenStatue.png, 스택=9999, v=1.1, ID=477,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지하|지하]], [[#대동굴|대동굴]]}}} 여성 NPC 중 1명을 랜덤하게 소환한다. ==== 트랩 ====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바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oulder, 한=바위, 사진=Terraria/Boulder.png, 스택=9999, v=1.1, ID=540, 자동=↻, 희소=white, 유형=가구\, 재료)][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6) @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초반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탐험의 가장 큰 적이자 아래의 폭발물과 함께 [[테라리아/시스템#하드코어|하드코어]] 유저를 멘붕시키는 주범 중 하나'''로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에서 압력판을 밟으면 떨어지는 함정. 한 번 설치하면 다시 회수할 수 없으니 곡괭이로 회수하려다 잘못 건드리고 죽지 말자. 떨어질 구멍이 생기면 왼쪽으로 구르며, 만약 곡괭이나 드릴로 건드린다면 가장 오래 구를 수 있는 쪽으로 구른다. 구르는 바위는 60~80 데미지이며 플레이어는 두배의 데미지가 들어가고 전문가 월드에선 '''4배'''의 데미지가 들어가는 큰 피해를 입는다. 반응 속도가 빠르다면 재빨리 점프하거나 오른쪽으로 피할 수 있다. 초반에 지하 탐사를 나설때 아무런 대책없이 다니는 테린이에게 돌연사를 선사해주는 최악의 존재중 하나로, 특히 전문가 모드에서는 기본적으로 '''240~360'''의 대미지로 오르기 때문에 사실상 후반전까지는 맞으면 즉사나 다름없다. 기본적으로 [[#압력판|압력판]]을 밟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으므로, 바닥을 유심히 들여다보며 탐험하는 것이 좋다. [[#다트 트랩|다트 트랩]]이나 압력판 등 전기장치를 손에 들거나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위기감지 포션|위기감지 포션]]을 먹으면 [[#전선|전선]]이나 압력판이 보이는 것을 이용하여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그나마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1.3.1]] 버전부터는 [[테라리아/보스#스켈레트론|스켈레트론]] 격파, [[테라리아/이벤트#고블린 부대|고블린 부대]] 이벤트 완수, [[테라리아/NPC#고블린 땜장이|고블린 땜장이]] 구조가 된 상태에서 금화 15닢만 있으면 인벤토리에 넣고만 있어도 전선이 보이게 하는 '[[#위대한 설계도|위대한 설계도]]'를 제작할 수 있고, 그전에도 압력판 하나만 들고다녀도 어느정도 예방이 되고, 실수로 눌렀더라도 피지컬로 어느정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그나마 폭발물보다는 위험이 덜한 편이다. 1.4버전 이후 사막 지하에서 나오는 바리에이션으로 둥근 선인장이 새로 생겼는데, 바위처럼 천장에 설치되어 떨어지는 함정 형태가 아니라 여기저기 흩뿌려져 있는 데다 지상의 선인장과 달리 블록처럼 자리를 차지해 가구처럼 지나갈 수 없다. 또한 바위와 다르게 바닥에 떨어지거나 벽에 부딪혀서 파괴될 때 가시 슬라임처럼 사방에 가시를 뿌린다. 사막 지하의 난이도를 올리는 원흉.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3]] 버전 패치 후, 피해량이 방어력에 약간 영향을 받되 일부 방어력은 무시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테라리아/아이템/장비/갑옷#태양 플레어 갑옷|태양 플레어 갑옷]] 풀세트를 입고 방어력을 109 정도 맞춰 두면 피해량이 20 정도 들어온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굴러가는 선인장)][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oulder, 한=굴러가는 선인장, 스택=9999, v=1.4.0.1, ID=4390, 자동=↻,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선인장,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6) @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바위와 비슷한 함정. 사막 지하에 자연적으로 생성된다. 기존 바위와 다른 점은 접촉만 해도 피해를 입히며, 바닥에 떨어질 시 선인장 가시를 방출한다. 구르지 않는 상태에서의 접촉 데미지는 미비한 수준이지만, 선인장 가시는 바위와 동급으로 대단히 위력적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튀는 바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ouncy Boulder, 한=튀는 바위, 스택=9999, v=1.4.4, ID=5383, 자동=↻, 희소=pink, 유형=가구)][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바위, 사진=Boulder.png,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분홍 젤, 문서=아이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바위의 튀는 버전. 말 그대로 지형에 튄다. 자연적으로 생성되지는 않는다.[* [[테라리아/세계/시드#CelebrationMK10|CelebrationMK10]], [[테라리아/세계/시드#No Traps|No Traps]], [[테라리아/세계/시드#Everything Seed|Everything Seed]] 시크릿 시드에서는 자연적으로 생성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생명 수정 바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ife Crystal Boulder, 한=생명 수정 바위, 스택=9999, v=1.4.4, ID=5384, 자동=↻, 희소=green, 유형=가구)][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바위, 사진=Boulder.png,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생명 수정, 문서=아이템/소비,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중량 작업대, 사진=HeavyWorkBench.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엑토 미스트}}} 생명 수정 모양의 바위. 겉보기에는 생명 수정처럼 설치되어 있지만, 건드리면 바위처럼 굴러가며 피해를 준다. 바위가 파괴되면 생명 수정 1개를 드롭한다. 자연적으로 생성되지는 않는다.[* [[테라리아/세계/시드#No Traps|No Traps]], [[테라리아/세계/시드#Everything Seed|Everything Seed]] 시크릿 시드에서는 자연적으로 생성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폭발물)][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Explosives, 한=폭발물, 스택=9999, v=1.1, ID=580, 자동=↻,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다이너마이트, 사진=Dynamite.png, 문서=아이템/무기, h=24px)] (3) + [include(틀:t캡션, 이름=전선,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 @ 손}}} [[파일:attachment/테라리아/기구/After_explosion.png|align=right&width=120]] 폭발물 통틀어서 가장 강력한 위력을 가진 설치물이자 최악의 함정 중 하나. 이름부터 '''폭발물'''이다. 전기 신호를 받으면 반경 10블록 내의 블록과 가구를 파괴하고[* 영향을 받는 총 타일은 폭발물 분의 타일까지 포함해 총 314타일이다.] 범위 내의 생물체들에게 대략 500의 피해를 준다. 주의해야 할 점은 이 폭발물은 신호를 받으면 곧바로 폭발한다. [[마인크래프트]]의 [[트라이나이트로톨루엔|TNT]]처럼 약간의 대기 시간조차도 없다. 누르는 순간 터지므로 밟았다고 생각한 순간 이미 캐릭터는 죽어 있다. 대미지도 무려 500이라서, [[테라리아/아이템/소비#생명 열매|생명 열매]]로 체력을 500까지 올려놓지 않는 이상 대부분 한방에 폭사하기에 매우 위험하다. 특히 이 폭발물의 무서움은 지하에서 드러난다. 지하에도 이 폭발물 함정이 있는데, 2가지 유형이 있다. 첫 번째는 [[#기폭 장치|기폭 장치]]가 연결된 폭발물로, 평소보다 많은 양의 [[테라리아/아이템/재료#광물|광물]]이 뭉텅이로 있고 기폭 장치가 근처에 연결되어 있으면 근처에 폭발물이 있다. 한 번에 많은 양의 광물을 획득할 수 있고 기폭 장치와 폭발물이 그냥 놓여져 있기 때문에 쉽게 눈에 띄지만, 기폭 장치가 폭발물의 폭발 범위 내에 있고 밟아서도 누를 수가 있으므로 실수로 낙하하는 도중에 밟거나 기폭 장치에 딱 붙어서 사용하면 그대로 끔살. 1.3 버전까지는 없었으나 추가되었다. 두 번째가 문제인데, 이건 [[#압력판|압력판]]에 연결되어 있는 폭발물이다. 테라리아 초기 버전부터 존재했던 유서 깊은 함정으로, 이런 경우에는 함정 존재를 눈치채기도 어려워서 위험감지 포션이나, 압력판, 위대한 설계도가 없는 이상 그냥 돌아다니다가는 그대로 당할 수밖에 없다는 게 큰 문제. 게다가 전문가 모드에서는 피해량이 기본으로 5~600을 넘어가기 때문에 극후반이 아닌 이상 거의 무조건 밟으면 사망한다. 소프트~미디움코어에서야 그냥 죽으면 좀 깜놀한 뒤 기분 나빠지고 끝이지만 하드코어로 가면 말이 완전히 달라진다. 그나마 극초반이면 그냥 새 캐릭 파고 다시 하면 되는데, 중반부부터 잘 키워놓은 캐릭터 하나가 이 함정에 죽으면 그 허망함은 이루 말할 수가 없을 정도다. 반드시 위험감지 포션은 무조건 먹고 다니고, 없으면 만들어서라도 먹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도 안 된다면 최소한 초반에 다트 함정에서 캐 놓은 압력판 하나라도 들고 다니면서 탐사를 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형광봉 없이는 절대 물 안으로 들어가지 말자. 물 지형 바닥에 폭발물 함정이 들어가 있는 경우가 제법 많다. 그리고 맵의 크기가 클수록, 이 폭발물 함정의 수도 많아지니 맵을 라지로 시작했다면 주의하도록 하자. 플레이어가 직접 설치할 수도 있기 때문에 폭발물을 일정 지점에 모아놓고 보스가 가까이 왔을 때 터뜨려서 극딜을 하면 어떨까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다수의 폭발물이 동시에 터진다고 하나의 적에게 대미지가 중첩되어 들어가진 않는다. 예를 들어 폭발물을 한 곳에 수십, 수백 개씩 밀집시켜놓고 [[테라리아/보스#크툴루의 눈|크툴루의 눈]]을 그 쪽으로 유인한 뒤 연결된 스위치를 건드려 터뜨린다고 해도 크툴루의 눈은 폭발물 하나분의 대미지만을 입는다. 따라서 폭발물을 한 번에 여러 개 터뜨리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니, 차라리 폭발물을 10타일 이상의 간격으로 여기저기 분산 배치시켜놓고 하나씩 터뜨리는 편이 같은 갯수로도 효율적인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다만 다관절형 보스인 [[테라리아/보스#세상을 먹는 자|세상을 먹는 자]]나 다수의 부속 몬스터를 몰고다니는 [[테라리아/보스#크툴루의 뇌|크툴루의 뇌]]처럼 피격 판정 자체가 여러 개인 보스에겐 폭발물의 위치가 적절히 분산 배치돼있다면 통한다. [[테라리아/보스#월 오브 플레시|월 오브 플레시]]와 싸울 때도 폭발물을 세로로 10칸 간격으로 두 개쯤 배치해놓은 뒤 적절한 타이밍마다 터뜨려주는 것으로 부속 몬스터인 헝그리를 죄다 날려버리거나 WoF 본체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간헐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eyser, 한=간헐천, 스택=9999, v=1.3.1, ID=3722, 자동=↻,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 [[테라리아/지형#지하세계|지하세계]]}}} [[테라리아/아이템/설치#용암|용암]]이 발견되는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 심층에 있는 용암 구덩이 아래에서 발견된다. 전기를 흘러보내면 [[#화염 트랩|화염 트랩]]과 유사한 20블록 길이의 화염을 위로 발사한다. 간헐천에서 올라오는 것이지만 블록을 무시하므로 땅속에 있다고 무시하면 안 된다. 불이므로 물에 역시 무효화되지만, 물이라고 화염을 완전히 막아 버리는 것은 아니다. 1.4 버전 부터 전선과 압력판 없이 생성되고, 플레이어가 이 위를 지나가게 되면 작동한다. 하지만 아직도 전기 신호엔 반응 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죽은 자의 상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ead Man's Chest, 한=죽은 자의 상자, 스택=9999, v=1.4.0.1, ID=3988, 자동=↻, 희소=white, 유형=가구)][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 겉보기엔 그냥 금상자로 보이지만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위기감지 포션|위기감지 포션]]을 쓰고 보면 [[:파일:Trap_Room_Dangersense.png|천장엔 바위, 땅속엔 폭발물이, 옆에는 다트 트랩]]이 다수 놓여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함정을 다 치우지 않고 작동하거나 뭣도 모르고 열었다간 이 세 함정이 전부 발동되어 [[https://youtu.be/xOCqZ3JdPfI?t=468|순식간에 황천 행]]이니 웬만하면 위기감지 포션을 쓰고나서 함정을 치워주거나 전선 절단기로 전선을 잘라주는 것이 좋다. 한 번 작동시키고나면 바위와 폭발물은 무력화되지만 다트 트랩은 여전히 작동하므로 따로 전선을 끊거나 무력화, 제거해줘야 한다. 이 상자는 덫 상자와는 달리 저장 공간이 있으며, 확률적으로 치장 아이템인 죽은자의 스웨터가 들어있다. 덫 상자와 달리 저장 공간과 내용물이 있다는 점 때문에 지하의 [[테라리아/몬스터#요정|요정]]이 안내해준 상자가 죽은 자의 상자일 때도 있다. 요정의 안내로 황금 상자를 찾아냈다면 반드시 주변을 살피자. 일단 상자 자체는 덫 상자와 비슷하게 상자를 여는 순간 연결된 전선으로 전기를 흘려보내는 평범한 매커니즘이므로 보통 스위치로 이용 가능하고, 저장 공간이 있다는 점에서 덫 상자보다 더 실용적인 면도 있다. 지하 탐색 중에 발견했다면 가져와서 보관해두는 것도 좋다.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4.1|1.4.1]] 업데이트로 추가된 도전과제 중 죽은 자의 상자와 연결된 함정에 의해 죽는 도전과제가 있는데, 플레이어가 직접 죽은 자의 상자를 설치하고 함정을 연결한 다음 죽어도 유효하다. ===== [anchor(블록 트랩)][anchor(발사형 블록 트랩)]발사형 블록 트랩 ===== 블록처럼 처리되면서, 바위와 다르게 무한히 사용 가능한 트랩들이다. 망치로 두드리면 방향을 바꿀 수 있다. NPC에게서 구입할 수 없고 직접 찾아서 캐야만 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다트 트랩)][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art Trap, 한=다트 트랩, 스택=9999, v=1.1, ID=539, 자동=↻, 희소=white, 유형=재료\, 블록)][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 [[테라리아/지형#던전|던전]]}}} 신호를 받으면 피해량 20의 관통성이 있는 독 다트를 발사한다. 함정 중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유형이다. 사거리는 무한대이지만 화면 바깥에서는 맞지 않는다. 3.33초의 쿨타임이 있다. 위력이 약하기는 하지만 독도 걸고 관통이 되는지라 야간 방어나 [[테라리아/이벤트#고블린 부대|고블린 부대]] 침공 때 쏠쏠히 써먹을 수 있다. 발사체의 속도가 느린 편이라서 발사체에 반응하는 암록색 감압판을 배치해서 일종의 전기신호로서도 활용할 수 있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피해량이 확 늘어서 초반에 잘못 밟으면 죽을수도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기본 피해량이 6~80으로 늘어난데다 독 피해 시간도 2배로 늘어 거의 사실상 100에 가까운 대미지가 나오고, 초반의 플레이어 시작 체력은 100이기 때문.] 마스터 모드는 데미지가 100을 넘어가기에 극 초반엔 즉사나 다름없는 함정.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맹독 다트 트랩)][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Venom Dart Trap, 한=맹독 다트 트랩, 스택=9999, v=1.4.4, ID=5135, 자동=↻, 희소=lightcoral, 과정=ⓗ, 유형=블록)][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다트 트랩, 문서=아이템/설치/전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거미의 독니, 문서=아이템/재료, h=24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다트 트랩|다트 트랩]]의 강화 버전. [[테라리아/버프 및 디버프#부식성 맹독|부식성 맹독]] 디버프를 부여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슈퍼 다트 트랩)][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uper Dart Trap, 한=슈퍼 다트 트랩, 스택=9999, v=1.2, ID=1146, 자동=↻, 희소=white, 과정=ⓗ, 유형=블록)][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리자드 사원|리자드 사원]]}}} [[#다트 트랩|다트 트랩]]보다 훨씬 강력한 독 다트를 발사한다. 피해량은 40. 다트가 날아가는 속도는 다트 트랩과 같으며 초당 46~47칸을 날아간다. 쿨타임은 첫 다트가 155칸(약 3초)을 지나가면 다시 쓸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창 트랩)][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pear Trap, 한=창 트랩, 스택=9999, v=1.2, ID=1149, 자동=↻, 희소=white, 과정=ⓗ, 유형=블록)][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리자드 사원|리자드 사원]]}}} 천장에 설치되기 때문에 운이 좋다면 사원 입구에서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 위에서 아래로 긴 창이 뻗어나온다. 피해량은 130. 창이 다다르는 거리는 트랩 블록 자체를 제외하고, 위아래 방향으로 21칸, 우로 19칸, 좌로 20칸까지 뻗는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가시 공 트랩)][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piky Ball Trap, 한=가시 공 트랩, 스택=9999, v=1.2, ID=1148, 자동=↻, 희소=white, 과정=ⓗ, 유형=블록)][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리자드 사원|리자드 사원]]}}} 천장에 설치되기 때문에 운이 좋다면 사원 입구에서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 위에서 아래로 가시 공을 떨어뜨린다. 피해량은 90으로 꽤 높다. 떨어지면 계속 튀어오르는데 꽤 오랫동안 남아있으며, 당연히 적 관통이 된다. 이 때문에 작업장이나 아레나를 만들 때의 [[필수요소]]이다. 보이는 족족 캐주자.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화염 트랩)][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lame Trap, 한=화염 트랩, 스택=9999, v=1.2, ID=1147, 자동=↻, 희소=white, 과정=ⓗ, 유형=블록)][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리자드 사원|리자드 사원]]}}} 옆으로 약 20블록 넓이의 화염을 3초 동안 발사한다. 다른 두 함정에 비해 잘 생성되지 않는다. 대략 대형 맵에서 2~4개 정도 생성된다. 소형 맵 또한 약 2개 정도 생성된다. ==== 전기 작용 가능한 가구들 ==== 이 문서에서 다루지 않은 가구들 중에서 전기와 상호작용하는 가구들이다. *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이동 관련 가구|이동 관련 가구]]에서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플랫폼|플랫폼]],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광산차량 선로|광산차량 선로]],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압력판 선로|압력판 선로]]를 제외한 모든 가구 *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버프용 가구|버프용 가구]]에서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하트 랜턴|하트 랜턴]],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병 속의 별|병 속의 별]]은 작동하지 않는다.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물 양초|물 양초]]나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평화 양초|평화 양초]]는 1.4버전부터 작동하도록 패치되었다. *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특수 효과 가구|특수 효과 가구]]에서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마법의 스포이드|마법의 스포이드]]를 제외한 모든 가구 *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조명 가구|조명 가구]]에서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병 속의 개똥벌레|병 속의 개똥벌레]],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병 속의 반딧불이|병 속의 반딧불이]],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두개골 랜턴|두개골 랜턴]],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해파리 병|해파리 병]]을 제외한 모든 가구 * [[테라리아/아이템/무기#설치형 무기|설치형 무기]]에서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지뢰|지뢰]]를 제외한 모든 무기. [[테라리아/아이템/무기#대포|대포]] 등은 전기로 토글해도 발사는 되나, 이렇게 발사된 탄환은 공격력이 없다. 다만 [[#암록색 압력판|암록색 압력판]]은 활성화시킬 수 있다. == 응용 회로 == === 엔진 === 과거에는 단일 아이템인 [[#타이머|1초 타이머]]보다 더 빠른 속도로 전기 신호를 연속적으로 보내는 장치로써 상당히 유용했지만 1.4에 1/2초 타이머, 1/4초 타이머가 생기며 사실상 사장되었다. ==== 새 엔진 ==== [[파일:새엔진.png]] || 이름 ||<-6> 새 엔진(Bird Engine) [[https://www.youtube.com/watch?v=0KNjVhOhh6w|#]] || || 재료 || 블록 || 전선 || 스위치 || 압력판 || 새 조각상 || 함정 || || 요구량 || 31 || 15 || 2 || 8~ || 1 || 1 || 사진을 기준으로 한 양이다. 새 엔진은 조각상으로 소환한 새가 압력판 사이를 날게 만들어서 버튼을 1/4초 보다 더 빠르게 작동시키는 엔진이다. 보통 조각상 공장 등을 빠르게 가동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위 사진과 같이, [[#새 조각상|새 조각상]] 하나를 설치하고 빨간색, 초록색, 노란색 계열 압력판을 일렬로 길게 설치하고, 모든 압력판에 전선을 설치해서 원하는 전기기구에 연결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끌 때에는 다트 블록 등을 내부에 설치해 죽이면 된다. 엔진 중에서 매우 보편적이고 실용성이 높고 편리한 엔진이다. ==== 게 리피터 ==== [[파일:게 리피터.png]] || 이름 ||<-7> 게 리피터(Crab Repeater) [[https://youtu.be/QVomiOD0P9c?t=1m4s|원본 영상]] || || 재료 || 블록 || 전선 || 스위치 || 버튼 || 게 조각상 || 함정 || 용암 || || 요구량 || 52~4 || 63~89 || 1~2 || 17 || 1 || 0~2 || 1 || 사진의 회로 모습은 위 영상의 회로를 변형시킨 것이다. 달라진 점은 함정 버튼의 위치 정도. 위 표의 요구량은 적은 쪽은 함정 미사용 시, 많은 쪽은 함정 사용 시의 예이다(단, 블록은 적은 쪽이 함정 사용 시의 예이다). [[테라리아/아이템/설치#용암|용암]]의 경우 꼭 필요하며 조각상은 게처럼 바로 떨어지는 종류의 몹이면 된다. 게를 이용한 리피터로 조각상에서 게를 소환하면 게가 떨어지면서 버튼을 눌러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의 회로이다. 끌 때에는 작동시켰던 버튼을 1번 누르고 함정 등을 이용해 게를 죽이면 된다. 소환수를 이용하면 재료를 아낄 수 있다. 그러나 위에 설명된 새 엔진과 다르게 재료도 많이 들고 까다로워서 잘 쓰이지는 않는 듯. ==== 더미 엔진 ==== || 이름 ||<-6> 더미 엔진 || || 재료 || 더미 || 텔레포트 장치 || 발판 || 블록 || 스위치 || 전선 || || 요구량 || 1 || 2 || 2 || 3~ || 1 || 8~ || 1.3에 추가된 더미를 이용한 버그성 엔진이다. 원래 한 텔레포트 장치위에 있던 더미가 텔레포트 장치에 전기를 흘렸을때 더미의 모습은 그대로지만 피격점은 다른 텔레포트 장치로 이동해 발판을 아주빠르게 누르는 원리다. 다른 텔레포트 장치 위쪽을 공격해보거나 원래 더미가 있었던 텔레포트 장치 위쪽을 공격해보면 더미의 피격점이 텔레포트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아레나 === 보스 몬스터 사냥이나 이벤트를 좀 더 쉽고 빠르게 하기 위해 만드는 전기장치이다. 대부분 함정을 많이 사용하며 보통 아래에는 [[테라리아/아이템/설치#용암|용암]]을 얇게 깔아둔다. ==== 반무적 아레나 ==== [[파일:Terraria/InvincibilityChamber.png]] || 이름 ||<-7> 반무적 아레나 || || 재료 || 블록 || 전선 || 1초 타이머 || 슬라임 조각상 || 하트 랜턴 || 모닥불 || 꿀 || || 요구량 || 35 || 3 || 1 || 1 || 1 || 1 || 2 || 이 장치는 안에 플레이어가 들어간 후 작동시키면 슬라임이 나와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하지만 이걸 만들 때쯤이면 방어력이 꽤 되어서 피해가 1 정도밖에 안 들어온다. 또한 피격 시 잠깐의 무적 시간을 이용해 1의 피해만 받고 다른 보스 또는 이벤트 몬스터, AFK 파밍을 할 때 몬스터의 공격 등을 회피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테라리아/이벤트#달의 군주|달의 군주]]와 같이 독자적인 무적 시간을 체크하는 몹에게는 통하지 않는다. 주의할 점은 소환수를 이용해 적을 사냥할 시 소성단의 드래곤 같은 소환수들은 몸이 닿기만 해도 슬라임을 죽이기 때문에 추천하지 않는다. 설상가상으로 관통까지 되므로 보스가 아니라 슬라임이 먼저 죽고 플레이어도 죽는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슬라임의 능력치가 체력과 공격력이 2배씩 오르는 데에 그치지 않고 하드모드 이후에도 능력치가 더 강화되기에 주의가 필요하며 마스터 모드에선 능력치가 3배나 뛰어오르기 때문에 반드시 슬라임 배너를 설치하는 것은 필수다. === 농장 === 회로를 이용하여 미끼나 재료 등을 한번에 많이 얻을 수 있는 장치이다. ==== 미끼 농장 ==== || 이름 ||<-3> 미끼 농장 || || 재료 || 전선 || [[#작동기|작동기]] || 잔디(정글 잔디)블록 || 스위치 || || 요구량 || 2~ || 1~ || 1~ || 1 || (위의 요구량은 장치를 가장 최소화 수치임) 잔디 블록 위에 자라는 잔디에서 가끔씩 미끼가 나오는 걸 활용한 장치이다. 만약 잔디 블록 위에 잔디가 자랄 경우 작동기에 전류를 흘려 잔디 블록을 비활성화시켜 잔디를 부수는 원리이다. 잔디 블록 밑에 잔디가 자라지 않는 다른 블록을 설치해 밑으로 덩굴이 자라 다른 잔디 블록에서 잔디가 자라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막거나, 밑에 추가로 구멍을 만들어 미끼가 들어가도록 하면 편하다. 미끼용 생물만을 본다면 메뚜기(10%), 지렁이(25%)가 나오는 일반 잔디/신성한 잔디보다는 3종류의 정글 벌레(각각 15%, 25%, 40%)가 나오는 정글 잔디의 효율이 더 높지만, 일반 잔디에서는 추가로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버섯|버섯]]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일장일단이 있다.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꽃 장화|꽃 장화]]가 1.4로 오면서 미끼 생산기능이 사라진 덕에 미끼 농장을 만들어낼 가치가 생겨났다. ==== 영혼 농장 ==== || 이름 ||<-999> 영혼 농장 || || 재료 || 블록 || 토끼 조각상 || 전선 || 함정 || 타이머 또는 엔진 || || 요구량 || 8~ || 1~ || 3~ || 3~ || 1 || 블러드문일 때 토끼가 오염토끼로 변하여 아이템을 드롭하고 무한정으로 소환된다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영혼을 얻으려면 오염/진홍 지대 지하나 신성지대 지하에 영혼 농장을 지어야 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테라리아/아이템/도구,version=491)][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version=262)][[분류:테라리아/아이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