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테르잔 목록|{{{#FFFFFF '''테르잔 천체'''}}}]] || || ||<:> {{{#000000 {{{+1 '''Ter 1'''}}}[br]전갈자리의 구상성단 }}} ||<:> {{{+1 →}}} ||<:> [[Ter 2|{{{+1 '''Ter 2'''}}}]][br]전갈자리의 구상성단 || ||||<-3><:> {{{#FFFFFF {{{+3 '''테르잔 1'''}}}[br] Terzan 1}}} || ||<-3> [[파일:Terzan_1,_Take_2_(potw2241a).jpg|width=100%]] [br]{{{#FFFFFF {{{-3 촬영: [[허블 우주 망원경|{{{#LightBlue Hubble Space Telescope}}}]] ([[NASA|{{{#FFFFFF NASA}}}]], 2022)}}}}}}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17h 37m 18.3s || || {{{#FFFFFF 적위}}} || -30°29' 10.2" || || {{{#FFFFFF 별자리}}} || [[전갈자리| {{{#3366aa 전갈자리}}}]]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Unknown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구상성단|{{{#3366aa 구상성단}}}]] || ||<-2> {{{#FFFFFF '''거리'''}}} || 약 22,000 [[광년|{{{#3366aa 광년}}}]] || ||<-3> {{{#FFFFFF '''규모'''}}} || ||<-2> {{{#FFFFFF '''겉보기 크기'''}}} || Unkown || ||<-3> {{{#FFFFFF '''명칭'''}}} || ||<-3> Ter 1, Haute-Provence 2, VDBH 235, ESO 455-23, GCl 69, || [목차] == 개요 == {{{+1 테르잔 1/Terzan 1}}} 테르잔 1은 [[전갈자리]] 방향으로 약 22,000 광년 떨어져 있는 구상성단이다. == 상세 == 해당 천체는 약 반세기 전에 터키-아르메니아 천문학자 아고프 테르잔(Agop Terzan)이 은하수의 가스와 먼지들로 인해 가려진 회피대 구역에서 발견한 11개[* 이중 테르잔 11은 테르잔 5의 중복관측이다.]의 구상 성단 중 하나다. 테르잔 1 성단에서는 총 12개의 X선 소스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같은 크기의 구상성단중에서는 가장 많은 축에 속한다. 이는 테르잔 1이 과거엔 현재보다 훨씬 더 큰 구상성단이었지만 항성들이 자연적으로 빠져나가거나 은하수 평면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많은 항성들이 유출되어 크기가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한, 1980년에 천문학자들은 Terzan 1에 위치한 광원에서 X선 폭발을 감지했는데, 몇 년 후, X1732-304 광원은 NASA의 Spacelab 2 및 ESA의 EXOSAT 임무를 통해 성단 내에서 감지되었다. 참고로 테르잔 1은 알려진 모든 구상성단중 은하수 중심까지의 거리가 4,200 광년으로 가장 짧은 성단이라고 한다. == 관련 문서 == *[[전갈자리]] *[[구상성단]] *[[테르잔 목록]] [[분류:성단]][[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