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파이널 판타지 14/등장인물]] ||<-2> '''{{{#fff {{{+2 테미스}}} [br] Themis [br] テミス}}}'''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테미스.png|width=100%]]}}} || || '''종족''' ||[[파이널 판타지 14/종족#s-4.12|고대인]]|| || '''성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최승훈(성우)|최승훈]][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이시다 아키라]]||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이널 판타지 14]]의 [[파이널 판타지 14/등장인물|등장인물]]. 정체는 고대인 시절의 [[엘리디부스]]. == 작중 행적 == === [[효월의 종언]] === >언제 와도 여긴 변함이 없군. 충만한 생명은 빛나고, 흔들리는 시간을 살아 나가지. >하지만⋯⋯ 무언가가 꿈틀대는 느낌이야⋯⋯⋯⋯. >땅속보다 깊고, 별이 없는 밤보다 어두운 곳⋯⋯⋯⋯ 수많은 마수들이 도사리는 마의 전당.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당장 알아보고 싶지만⋯⋯⋯⋯ [[모험가(파이널 판타지 14)#s-4|그]][* 모험가의 성별이 여성이면 그녀로 바뀐다.]가 예언한 '[[모험가(파이널 판타지 14)|별]]'과 만난 후에 본격적으로 움직여야겠지. >마의 소굴⋯⋯⋯⋯ 판데모니움. 나와 함께 도전할 '[[모험가(파이널 판타지 14)|별]]'은 과연 어떤 존재일지⋯⋯⋯⋯. >낯선 너를 만나게 되는 그때가 기대되는구나. 메인 퀘스트 엔딩 크레딧 이후에 엘피스에서 짧막하게 등장. 추후 나올 레이드 '마의 전당 판데모니움'에 대해 암시한다. [[모험가(파이널 판타지 14)|모험가]]가 샬레이안의 연구 조직으로부터 [[라하브레아]]의 기억 크리스탈을 건네받은 후, 크리스탈의 부름을 듣고 제 1세계 성견의 방의 거울을 통해 다시 엘피스로 가게 되면서 재등장. 본래 아젬과 같이 판데모니움을 조사할 예정이었으나, 아젬이 이를 거부했다. 같은 조직[* 당시 테미스가 14인 위원회가 아니었다면 아젬과 같이 속해있는 별개의 조직이라 생각할 수 있으나, 테미스가 신분을 숨기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의 사람이 2명이나 가는건 의심을 살 수 있으니, 자신 대신에 새로 만날 '[[모험가(파이널 판타지 14)|별]]'이 테미스를 도와줄 것이라고. 아젬의 예언대로 하늘에서 떨어진 미래의 모험가, 즉 새로운 별과 조우하여 함께 판데모니움을 조사하기 시작한다. 테미스는 모험가를 처음 보는 순간 아젬을 떠올리고, 모험가의 행동에 아젬의 모습을 겹쳐본다.[* 아젬과는 친구사이라고 한다.] 아젬에게 모험가 같은 사역마가 있었냐며 놀라기도. 판데모니움에선 7인의 분신을 생성하여 모험가를 서포트해주며, 생물의 봉인술식은 알지만 마력이 부족한 에리크토니오스에게 마력을 공급해주는 등 다양한 방면으로 활약한다. 연옥편에서는 자신이 라하브레아라 주장한 가짜의 정체를 간파했으며[* 라하브레아는 테미스를 직책명인 엘리디부스로만 부른다.] 진짜 라하브레아가 연옥 아래의 모든 생물을 초기화시키려 하자 에리크토니오스, 모험가가 판단해달라는 부탁에 모험가측 제안을 받아들인다. 천옥편에선 현대에 나타나는데 원초세계의 별바다에 온 엘리디부스의 혼[* 동료들과 재회하기 위해 일부러 1세계에서 고생해서 원초세계의 별바다로 왔다. ]을 아테나가 테미스로 재현한 뒤 영혼주박을 걸어 조종당해서 모험가의 힘을 측정하라는 명령을 받고 모험가와 싸우게 된다.판데모니엄이 사라진 후 아직 별바다에 머물던 엘리디부스와 이야기를 나누게 된다. == 기타 == * 테미스의 정체가 [[아씨엔 엘리디부스|엘리디부스]]로 추측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성우가 [[이시다 아키라]], [[최승훈(성우)|최승훈]]으로 같다. * 이름의 유래인 [[테미스]]는 질서, 공정함, 법 등을 담당하는 신인데, 이는 '조정자'인 엘리디부스에 어울리는 요소들이다. * 엘리디부스가 엘피스에서 모험가를 본 기억이 있다고 말하지만 본편의 엘피스에서 엘리디부스는 등장하지 않았다. * 고대인 사회에서 백색 로브는 조율자, 즉 엘리디부스의 자리와 은퇴한 14인 위원회만 착용할 수 있는데 작중 행적을 생각하면 전자일 가능성이 높다. * 위의 추측대로 연옥편에서 엘리디부스로 확정났다. * 어쩌다보니 달을 보는 컷씬이 [[나기사 카오루]]를 떠오르게 하지만(심지어 일본어판은 카오루와 동일한 [[이시다 아키라]]가 배역을 담당한다.) 정작 컷씬 담당자는 [[신세기 에반게리온]]을 본 적 없다고 한다. 단 이시다가 담당했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기에 [[이시다 아키라#CV 이시다 아키라|그에 대한 임팩트]]를 노렸던것도 사실인듯.[[https://twitter.com/isdakr_info/status/1581230037243953154|#]][* 같이 나오는 에리크토니오스는 어머니가 안 계시고, 아버지와 사이가 안 좋다는 점에서 [[이카리 신지]]와 비슷하다는 밈이 있었다.] * [[베네스]]와 테미스가 [[모자#s-11|모자]] 내지 [[남매]]의 가족관계라는 가설이 있다. 둘 다 [[백발]]에 [[벽안]]으로 머리 색과 눈 색이 같으며 외형도 상당히 흡사하다. 작중에서 이 둘처럼 비슷한 생김새를 가진 고대인은 볼 수 없기 때문에 베네스와 테미스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추측. 둘의 관계는 뒤에 나올 판데모니움 천옥편에서 밝혀지길 기대해야 할 듯 하다.[* 또한 작중에서 이 둘은 각각 조디아크와 하이델린의 핵이라는 역할을 맡았다. 둘 모두 해당 야만신의 핵으로서 가장 적합하다는 말이 있었으므로 이 또한 어떠한 관계가 있을지 모른다.] * 중원 휴런 남성의 체격이지만, 얼굴이나 헤어스타일은 비에라 남성한테서 가져왔다. 이 때문에 NPC 코스프레를 할때는 주로 남비에라로 코스프레 하는 편. *외형이 홍련의 해방자 24인 레이드 리턴 투 이발리스의 람자 렉센테일과 매우 유사하다. 눈 색상은 고대인이라는 설정에 맞춰 푸른색으로 빛나게 하고, 헤어는 람자 헤어에서 흰색 비에라 헤어로 교체해서 재사용 한 듯.--모델링 하기엔 시간이 빠듯했던걸까-- [[파일:비교샷.png]]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아씨엔 엘리디부스, version=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