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테슬라)] [include(틀:테슬라의 차량)] ||<-2>
'''{{{+1 {{{#white Supercharger}}} }}}''' [br] '''{{{#white 수퍼차저}}}''' || || '''운영''' || '''[[테슬라]]''' || || '''공개일''' || 2012년 9월 24일 (미국) 2019년 (V3 수퍼차저 첫 개시) || || '''최대 충전 속도''' || 250kW (V3, 스탠다드 모델은 170kW) 120kW (V2) || || '''홈 페이지''' || [[https://www.tesla.com/ko_KR/supercharger|테슬라 수퍼차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upercharger_pic.png|width=100%]]}}} || || '''테슬라 수퍼차저(Supercharger)[* 왼쪽부터 [[테슬라 모델 S]], [[테슬라 모델 3]], [[테슬라 모델 X]], [[테슬라 모델 Y]]이다.--S3XY--]'''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기업 [[테슬라]]에서 운영 중인 자사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이다. 원래는 테슬라 차량 전용으로 운영되었으나 2021년 말 부터 시범적으로 유럽 일부 수퍼차저 스톨에 한정해 다른 전기차량에도 충전 할 수 있게[* [[https://www.autoblog.com/2021/11/02/tesla-superchargers-open-to-other-evs/|출처]]] 하였다. 상세한 계약 조건은 공개된 바 없지만 설치 부지를 땅/건물 주인에게 무상으로 제공받는 대신 설치 비용, 운영 비용(전기요금 등)은 모두 테슬라가 부담하는 방식으로 설치/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테슬라 수퍼차저를 도입한 땅/건물 주인은 주변에 복합시설을 설치한다거나 주차료를 받는 방식 등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이와 반대로 테슬라 데스티네이션 차저의 경우 부지, 설치비용, 전기요금 등을 모두 땅/건물 주인이 부담해야 한다. == 충전 == 수퍼차저는 테슬라 차량을 충전기에 주차시키고 충전 단자를 꽂으면 차량 VIN[*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차대번호]을 테슬라 계정과 매칭시켜 계정에 등록된 카드로 요금을 자동 부과 하는 시스템이다. 카드 등록은 테슬라 앱에서 할 수 있으며 국내 전용 카드는 등록이 불가능하고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디스코버, JCB, 마스터카드, 비자, 다이너스클럽 브랜드가 들어간 것만 등록이 가능하다. 2023년 현재는 V3 충전기로 최대 250 kW 속도로 충전 할 수 있으며 최대 [[https://www.tesla.com/supercharger|15분 충전으로 200 마일]] (320 km)을 충전 할 수 있다. 다만 이건 2019년 이후에 출시/생산 된 차량에 한정이고 그전에 출시 된 테슬라 차량은 150 kW 혹은 그 이하로 충전이 제한 된다. 향후 250kW V3 충전기를 300kW로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라고 한다. [[https://twitter.com/elonmusk/status/1415615795112120321|#]] 최초의 V4 수퍼차저가 [[애리조나]] 주 유마 카운티에 설치될 계획이다. [[https://twitter.com/MarcoRPTesla/status/1568998731407654915|#]] === 충전 요금 === ==== 현재 ==== * V3 수퍼차저 * 423원/분 (인상 전 대비 +45원/분) * 346원/kWh (일부 신규 설치 수퍼차저) * V2 수퍼차저: 346원/kWh (인상 전 대비 +37원/kWh) * 점거 수수료 [*! 충전 완료 후 5분 내 차량을 이동하지 않은 경우 부과] * 500원/분 (스테이션이 50% 이상 사용 중인 점거 수수료) * 1,000원/분 (스테이션이 100% 사용 중인 점거 수수료) [[https://www.tesla.com/ko_KR/support/supercharger-idle-fee]] ====# 2022년 9월 27일 이전 #==== * V3 수퍼차저: 378원/분 (인상 전 대비 +18원/분) * V2 수퍼차저: 309원/kWh (인상 없음) * 점거 수수료[*!]: 500원/분, 1000원/분(스테이션이 100% 사용 중일 때의 점거 수수료) [[https://www.tesla.com/ko_KR/support/supercharger-idle-fee|#]] ====# 2022년 8월 31일 이전 #==== * V3 수퍼차저: 360원/분 (인상 전 대비 +33원/분) * V2 수퍼차저: 309원/kWh (인상 전 대비 +29원/kWh) * 점거 수수료[*!]: 500원/분, 1000원/분(스테이션이 100% 사용 중일 때의 점거 수수료) [[https://www.tesla.com/ko_KR/support/supercharger-idle-fee|#]] [[파일:수퍼차저 충전요금 인상 고지.png|width=300]] 8월 31일부로 추후 고지 없이 변동 가능하다고 공지사항이 떴다. ====# 2022년 5월 23일 이전 #==== * V3 수퍼차저: 327원/분 * V2 수퍼차저: 280원/kWh * 점거 수수료[*!]: 500원/분, 1000원/분(스테이션이 100% 사용 중일 때의 점거 수수료) [[https://www.tesla.com/ko_KR/support/supercharger-idle-fee|#]] === 충전 속도 === [[파일:Tesla-Model-3-LR-on-Supercharger-V3-June-2019-Data.png]] V3 수처파저 기준으로 250kW 충전 속도[* 배터리 온도, 충전소 내 ESS SoC 등의 영향으로 차량 SoC가 낮음에도 250kW 피크 속도가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음]는 약 20% 수준까지만 유지된다. 이후로는 충전 속도가 서서히 떨어지게 된다. 모델3, 모델Y 기준으로 롱 레인지, 퍼포먼스가 아닌 스탠다드 모델의 경우 최대 충전 속도가 170kW로 제한된다. [[파일:img-tesla-model-s-plaid-2021-dcfc-power-20210622.png]] 2021년 출시된 신형 모델 S/X의 경우 기존(모델 3/Y 및 구형 모델 S/X = 360V)보다 공칭전압이 약 50V 높아진 410V 배터리가 들어가는데[* 참고로 V3 수퍼차저 기준 수퍼차저 충전기의 rated voltage(정격 전압)은 500V이다. 500V까지 충분히 대응이 가능하다는 이야기.] 이 영향인지 충전 속도도 모델 3/Y에 비해 상당히 개선이 되었다. 위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 충전 커브(특히 250kW 피크 구간 범위)가 3/Y에 비해 상당히 개선되었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충전 방식 === 충전 방식은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아래와 같이 Type 2와 TPC[* Tesla Proprietary Connector, 테슬라 전용 커넥터.]. 타입 2는 유럽, 대만과 그 외 국가들, 그리고 테슬라 전용은 북미와 한국에서 사용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sla charger type.jpg|width=100%]]}}} || || '''수퍼차저 타입''' || === 충전소 구조 === ==== V3 수퍼차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utside-v3-cabinet_650.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side-v3-cabinet_650-1.jpg|width=100%]]}}} || || '''V3 수퍼차저 파워 캐비넷 (외부)''' || '''V3 수퍼차저 파워 캐비넷 (내부)''' || 하나의 수퍼차저 파워 캐비넷은 최대 4개 스톨에 250kW를 공급할 수 있다. V3 수퍼차저 파워 캐비넷은 전력망(한전 등)으로부터 350kW의 전력을 받아오고 캐비넷 내부에 575kW 까지의 출력을 지원하는 배터리가 있어 총합 925kW의 출력을 낼 수 있다. 변환 손실이 5%라고 가정했을 때 4개 스톨에 878kW를 공급할 수 있는 셈. 변환 손실이 5%, 파워 캐비넷 배터리가 차있다는 가정 하에 4대 스톨을 모두 사용할 경우 3대는 250kW, 1대는 128kW까지 공급할 수 있지만 위 충전 커브에서 확인할 수 있듯 피크 충전이 가능한 SoC 범위(5~20%)가 넓지 않기 때문에 4대가 동시에 충전하는 경우에도 큰 문제가 없다. [[https://teslatap.com/articles/supercharger-superguide/|#]] 간혹 피크타임에 수퍼차저 파워 캐비넷 내 배터리가 고갈되어 최대 피크 속도가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다. === 충전소 위치 === [[https://www.tesla.com/ko_KR/findus/list/superchargers/South%20Korea|위치 목록]] == 메가차저 (Megacharger) == 2017년 [[테슬라 세미]]와 같이 공개 된 세미 전용 수퍼차저이다. 더 큰 배터리 용량을 지닌 세미를 위해 고용량 충전소 건설을 기획하였고 현재 미국 한정으로 네바다 기가팩토리에서 시범 생산 중 이다. 메가와트(MW)급 전력을 공급 할 예정이기 때문에 이름이 메가차저가 되었다. 2021년 10월 13일 기가 [[네바다]]에 [[테슬라 세미]] 메가차저가 설치 중이라는 소식이 올라왔다. [[https://twitter.com/SawyerMerritt/status/1448002082292867098|#]] 2021년 11월 16일 기가 [[네바다]]에서 [[테슬라 세미]]가 메가차저를 이용해 충전하고 있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https://twitter.com/hwfeinstein/status/1460365764754436097|#]] 2021년 11월 23일 [[펩시코]]가 [[테슬라 세미]]용 메가차저 설치를 승인받았다. [[https://www.teslarati.com/pepsico-tesla-megacharger-semi-installation-permit/|#]] 2022년 1월 7일 [[펩시코]]에 설치된 메가차저 설치가 거의 완료되었다는 소식이 올라왔다. [[https://twitter.com/SawyerMerritt/status/1479308125303939074|#]] 새로운 수랭 기법을 이용해 1.5MW(= 1500kW, 풍력발전기 1기 수준)의 충전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1월에 15대의 [[테슬라 세미]]를 펩시코에 인도할 예정이라고 한다. [[분류:테슬라/제품]][[분류:전기차 충전소]][[분류:독자규격]] == 슈퍼차저 사용 가능 자동차 회사 == === 테슬라 전용 커넥터 === [[테슬라]] [[포드]][* 2023년 5월 테슬라와 계약] [[GM]][* 2023년 6윌 테슬라와 계약] === 공용규격 === 23년 3분기부터 국내에 DC콤보 수퍼차저가 생기기 시작하면서 현대/기아 자동차등 타사 자동차 사용 가능[[https://www.impacton.net/news/articleView.html?idxno=6569|#]][[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22713544781988|#]][[https://www.fnnews.com/news/2023050113480720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