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000,#dddddd '''{{{+1 테이크오프: 파도위에 서다}}}''' (2022)}}} || ||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드라마}}} || ||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강대희}}} || ||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강대희, 배채윤}}} || || '''프로듀서'''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원정, 도영훈}}} || ||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강대희}}} || || '''주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박서진(1994)|박서진]], [[조재윤(배우)|조재윤]] 외}}} || ||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황기석, 김양수, 홍수일}}} || || '''조명'''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욱, 강지현}}} || ||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문인대}}} || ||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리상우, 이동탁}}} || || '''의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조희란}}} || || '''동시녹음''' ||{{{#!wiki style="margin: 0px 10px" 배채윤}}} || || '''음향'''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정환}}} || || '''시각효과''' ||{{{#!wiki style="margin: 0px 10px" 문병용}}} || || '''조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배채윤}}} || || '''색보정''' ||{{{#!wiki style="margin: 0px 10px" 정혜리}}} || ||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데이나이트컴퍼니, 프레임픽쳐스 (공동제작)}}} || ||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아우라픽처스}}} || ||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8월 25일}}} || ||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94분}}}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259명 }}} || ||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2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2022년 드라마 영화. 감독은 강대희이고, [[박서진#s-2]], [[조재윤(배우)|조재윤]] 등이 출연하였다. == 예고편 == [youtube(7PNKGyKQm7g)] == 시놉시스 == >얼떨결에 오게 된 [[양양군|양양]], 얼떨결에 도전해본 [[서핑]]. >꿈은 많고, 되는 건 없는 20대 청춘 세진에게 파도는 말한다. >“일단 넘어져!” 뭐든 한번 해보면, 다음은 [[서핑#서핑 보드|보드]] 위에 올라설 수 있다고. >세진은 시원하게 넘어지기 위한 발걸음을 떼기 시작한다. == 등장인물 == * [[박서진(1994)|박서진]], 임시현[*아역] - 세진 역 친구와 서핑을 하기 위해 부산에서 만나서 양양으로 가기로 했는데, 친구가 약속을 지키지 못해서, 양양에 있는 서핑하는 민박집에 혼자 간 여성. 민박집에서 서핑 매니아들을 만나 서핑을 배운다. * [[조재윤(배우)|조재윤]] - 윤재 역[* 배우가 직접 밝힌 바에 따르면, 배우의 이름을 뒤집은 작명이라고 한다.] 딸을 찾기 위해 양양을 헤맨 아버지.[* 사실 그는 세진의 아버지이고, 그가 찾던 딸은 [[가출]]한 세진이다.] * 이지현 - 은채 역 * 홍금단 - 세진 엄마 역 * 송찬미 - 현지 코디네이터 역 * [[김남길]] - 세진 남자친구 역 (특별출연) 세진에게 이별을 통보한다.[* 정확히는 박서진과 김남길 둘이 만나서 이별을 통보하는 장면 하나에서만 출연한다.] * [[장윤주]] - 슈퍼모델 역 (특별출연) * [[류현경]] - 현서 역 (특별출연) == 촬영지 == 작품의 주요 공간적 배경은 [[부산광역시]], 강원도 [[양양군]], [[강릉시]] [[주문진읍]],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 등이고, 실제 촬영도 그곳에서 이루어졌다. 첫 장면에 [[남포역(부산)|남포역]]과 [[영도대교]]가 나온다. 영도대교에서는 [[영도대교#도개교|도개]] 상태인 장면을 볼 수 있다. 또한 주문진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빨간색과 파란색 슬레이트 지붕을 작품의 개그 소재로 사용했다. == 줄거리 == == 주제곡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69Wy63I7Izc)]}}}|| || '''{{{#000 주제곡(엔딩곡): 이어스(Ears) - Yangyang}}}'''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영화코드, critic=메타스코어 점수, user=유저스코어 점수)]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영화코드, tomato=토마토미터 퍼센티지, popcorn=오디언스 스코어 퍼센티지)] [include(틀:평가/IMDb,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IMDb, code=영화코드, user=평점, list=IMDb Top 250 등의 리스트명, rank=순위)]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영화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영화코드, user=별점, rank=순위)]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영화코드, presse=전문가 별점, spectateurs=관람객 별점)]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영화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영화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영화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영화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영화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왓챠, code=영화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영화코드, light=지수)]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영화코드, expert=전문가평점, audience=관람객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영화코드,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CGV, code=영화코드, egg=지수)] [include(틀:평가/롯데시네마,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메가박스,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MRQE,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스코어)] [include(틀:평가/TMDB, code=영화코드, user=점수)]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영화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RogerEbert.com, code=영화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MyDramaList, code=영화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영화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영화코드, user=평점)] == 흥행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7> 1주차 ||2022-08-25. 1일차(목) || 61명 ||<|7> 169명 || 44위 || 610,000원 ||<|7> 1,701,000원 || ||2022-08-26. 2일차(금) || 51명 || 50위 || 509,000원 || ||2022-08-27. 3일차(토) || 32명 || 71위 || 330,000원 || ||2022-08-28. 4일차(일) || 3명 || 102위 || 33,000원 || ||2022-08-29. 5일차(월) || -명 || -위 || -원 || ||2022-08-30. 6일차(화) || 17명 || 74위 || 169,000원 || ||2022-08-31. 7일차(수) || 5명 || 103위 || 50,000원 || ||<|7> 2주차 ||2022-09-01. 8일차(목) || 10명 ||<|7> 62명 || 79위 || 100,000원 ||<|7> 621,000원 || ||2022-09-02. 9일차(금) || 6명 || 74위 || 60,000원 || ||2022-09-03. 10일차(토) || 15명 || 74위 || 151,000원 || ||2022-09-04. 11일차(일) || 28명 || 59위 || 280,000원 || ||2022-09-05. 12일차(월) || 1명 || 77위 || 10,000원 || ||2022-09-06. 13일차(화) || 2명 || 74위 || 20,000원 || ||2022-09-07. 14일차(수) || -명 || -위 || -원 || ||<|7> 3주차 ||2022-09-08. 15일차(목) || 2명 ||<|7> 11명 || 88위 || 20,000원 ||<|7> 112,000원 || ||2022-09-09. 16일차(금) || 4명 || 90위 || 40,000원 || ||2022-09-10. 17일차(토) || -명 || -위 || -원 || ||2022-09-11. 18일차(일) || 2명 || 88위 || 22,000원 || ||2022-09-12. 19일차(월) || -명 || -위 || -원 || ||2022-09-13. 20일차(화) || 3명 || 86위 || 30,000원 || ||2022-09-14. 21일차(수) || -명 || -위 || -원 || ||<|7> 4주차 ||2022-09-15. 22일차(목) || 3명 ||<|7> 16명 || 109위 || 30,000원 ||<|7> 160,000원 || ||2022-09-16. 23일차(금) || -명 || -위 || -원 || ||2022-09-17. 24일차(토) || 6명 || 115위 || 60,000원 || ||2022-09-18. 25일차(일) || 2명 || 118위 || 20,000원 || ||2022-09-19. 26일차(월) || -명 || -위 || -원 || ||2022-09-20. 27일차(화) || -명 || -위 || -원 || ||2022-09-21. 28일차(수) || 5명 || 86위 || 50,000원 || || '''합계''' ||<-6> '''누적 관객수 259명, 누적 매출액 2,604,000원'''[* ~ 2022/09/27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를 적용해 주세요. ## 날짜는 개봉 일정에 맞게 변경해 주세요. [[분류:2022년 영화]][[분류:한국의 드라마 영화]][[분류:서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