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닌텐도에서 직접 제작한 패미컴용 테트리스, rd1=닌텐도 테트리스)] [[분류:NES 게임]][[분류:테트리스]][[분류:아타리]][[분류:북미 전용 게임]][[분류:미국 게임]][[분류:1989년 게임]] [[파일:TengenTetris.jpg]] '''THE SOVIET MIND GAME : TENGEN TETЯIS ((C) 1988 TENGEN)''' [목차] == 소개 == [[파일:external/satoshimatrix.files.wordpress.com/tet-nes2.gif]] [[아타리 게임즈]]의 자회사 [[텐겐]]에서 만든 테트리스이다.[* 왜 자회사를 통해 출시되었냐면 당시 아타리 게임즈는 기존 아타리의 오락실 아케이드 게임 부문이 분리되어 탄생했는데, 분리되면서 아케이드 게임 부문의 상표권만 가져가는 바람에 가정용 게임에는 아타리 상표를 쓸 수 없기 때문이었다.] 아타리 아케이드 보드와 [[NES]] 버전으로 제작되었다. 기존 [[아타리 테트리스]]를 패미컴으로 포팅하는 데 주안점이 있었으며 아케이드 및 [[NES]](패미컴)용으로 [[1989년]] 출시되었다. 참고로 [[닌텐도 VS. 시스템]] 기반의 아케이드 기판인 VS. 테트리스라는 작품도 있었다. 아타리 테트리스와 같은 시기인 1988년경에 가동. [[아타리 테트리스]]와 마찬가지로 타이틀의 [[R]]이 [[키릴 문자]] [[Я]]로 뒤집혀 있다. 하지만 아타리 테트리스의 가독성 문제 때문인지, 본문의 R은 모두 제대로 쓰여 있다. 합본팩에 단골로 이식되었다. === 몰락 === 원래 이 게임은 아타리가 로버트 스타인의 안드로메다 소프트에게 라이선스를 받아 만들었는데, 로버트 스타인은 아케이드 기기 및 PC 플랫폼에 한정된 라이선스만 보유하고 있었다. 텐겐 테트리스는 가정용 게임기인 [[패미컴]]을 통해 발매되었는데, 게임기용 라이선스를 받지 않았는 데도 발매한 것이 문제가 되었던 것이다. 이후 [[닌텐도]]에서 [[소련]] 정부에 가정용 게임기 라이선스를 얻어 패미컴용으로 [[닌텐도 테트리스]]를 출시, [[아타리 게임즈]]는 이에 대해 반독점법 위반이라며 소송을 걸었지만 닌텐도도 상표권 침해라고 반소했다. 법원은 1심에서 [[닌텐도]]의 손을 들어 주었다. 아타리는 “'''[[패미컴]]은 패밀리 __컴퓨터__의 약자이므로 결국 PC 아닌가?'''”라는 주장을 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조금 문제가 복잡했는데, 로버트 스타인과 소련의 테트리스 제작사가 계약을 맺고 판매권을 받아올 당시에는 '각종 컴퓨터'라는 식으로 서술되어 있었던지라(물론 Elorg 입장에선 당연히 Personal Computer 즉 PC를 의미했지만 로버트 스타인은 그걸 게임기를 포함했다고 생각해 가지지도 않은 라이선스를 여기저기 팔고 다녔다.)먹힐 여지가 있었다. 하지만 그 수년 뒤 로버트 스타인과 소련 원작사의 계약이 갱신될 때 '''프로세서, 모니터, 하드 드라이브, 키보드 및 운영 체제가 있는 장치'''라는 조건이 들어가면서 자동적으로 패미컴은 라이선스 효력이 있는 장치에서 제외되며 판매권을 상실했다.] 이후 1993년 소송은 닌텐도의 최종 승리로 끝나게 된다. 결국 [[아타리 게임즈]]는 시장에 팔린 NES용 카트리지를 회수하여 전부 폐기 처분하게 된다. 한편 이 게임은 패미컴 합팩에 많이 들어가 있다. 물론 [[합팩]]의 문제점을 고려하면 당연히 합법일 리 없다. 또한 합팩에서는 [[BPS#s-5]] 테트리스 때문인지 'Tetris 2'라는 넘버링이 붙여진 것도 있다. 자세한 내막 및 전개는 [[테트리스 저작권 분쟁]] 문서 참조. == 게임성 == [youtube(videoseries?list=PLF98CC5A36A807B34)] BGM 플레이리스트. 게임 플레이성 위주로만 본다면, [[아타리 테트리스]]와 난이도는 비슷하다. 하지만 놓은 테트로미노의 색이 단일색[* 하늘색, 빨간색, 분홍색, 연갈색 등. 이마저도 레벨이 바뀌면 다른색으로 바뀐다.]으로 바뀌는지라 체감 상 그래픽의 발전은 그렇게 느껴지지는 않는다. 오히려 더 퇴보한 것 같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을 정도. 이는 하드웨어 한계상 어쩔 수 없는 것 같기도 하다. 당시 콘솔과 아케이드 원판의 스펙 차이는 후자 쪽이 보통 높은 편이었으니까. BGM은 [[아타리 테트리스]]와 거의 전체적으로 똑같지만 조금 다른 부분도 있다. 다만 댄서들이 추는 춤의 음악이 다르고 하나로 단일화되었으며,[* 플레이리스트 4번째 음악. 러시아의 대중가요이자 군가 [[카츄샤(노래)|카츄샤]]를 장조로 만들었다.] 댄서도 1명만 나온 아타리 테트리스와는 달리 여기서는 최대 6명이 나온다.[* 어쩌다가 1명도 나온다.] --근데 개성이 없다.-- 그리고 기타 소소한 변경점은 스테이지 클리어 사운드가 다른 사운드로 바뀌었다는 것.[* [[아타리 테트리스]]에서 스테이지가 바뀔 때 나오는 사운드로 바뀌었다. 원래 있었던 스테이지 클리어 사운드는 삭제된 듯하다.] 즉 이 게임은 패미컴 콘솔 이식을 위한 다운그레이드가 이뤄진 [[아타리 테트리스]]로 요약이 가능하다. 게임 플레이 난도는 상술했듯 아타리 테트리스와 똑같다. 다운그레이드의 와중에도 난도가 유지된 것은 칭찬할 만한 범작. == 관련 문서 == * [[아타리 테트리스]] * [[닌텐도 테트리스]] * [[테트리스 저작권 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