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이란]] [[수도(행정구역)|수도]] [[테헤란]]시에 있는 [[도시철도]]. [[1999년]] 첫 노선이 개통되었으며, [[2022년]] [[5월 3일]] 기준 7개 노선, 253.7km을 운영하고 있다. == 스펙 == * 궤간: 1,435mm [[표준궤]] * 급전방식: [[제3궤조집전식]] == 역사 == [[이란]] [[수도(행정구역)|수도]] [[테헤란]]에 [[도시철도]] 계획은 [[팔라비 왕조]] 시절인 [[1961년]] 처음 계획됐으나 [[1974 테헤란 아시안 게임]] 개최를 위해 팔라비 왕조는 지하철 건설 계획을 연기하였다. 그리고 [[아시안 게임]]이 끝나고 지하철을 추진했으나 [[1978년]] 지하철 공사 시작이 무섭게 [[1979년]] [[이란 혁명]]으로 팔라비 왕조가 무너지고 [[이란 이슬람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지하철 계획은 다시 무산되었다. 이란 혁명 직후 [[이란-콘트라 사건]] 및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인해 [[호메이니]]의 혁명 정부는 테헤란 지하철 계획을 접었다. [[이란-이라크 전쟁]]이 마무리 된 [[1980년대]] 후반 집권한 [[하메네이]] 정권에서 테헤란 지하철 계획이 다시 수립되었다. 일단 1990년대는 이란에 여유가 부족했기에 테헤란 교외를 잇는 통근 노선을 [[도시철도]]망에 편입하였다. 이것이 바로 [[1999년]] 개통한 [[테헤란 지하철 5호선]]. [[2000년]] [[테헤란 지하철 2호선]] 개통이 본격적인 테헤란 지하철 개통이었다. [[2001년]] [[테헤란 지하철 1호선]], [[2007년]] [[테헤란 지하철 4호선]], [[2012년]] [[테헤란 지하철 3호선]], [[2017년]] [[테헤란 지하철 7호선]], [[2019년]] [[테헤란 지하철 6호선]]이 개통되며 [[2022년]] [[5월 3일]] 기준 7개 노선이 운행하고 있다. [[2020년]] [[테헤란 지하철 10호선]]을 착공하였다. 8호선, 9호선, 11호선은 [[2025년]]까지 차례로 착공 예정이다. [[이란]]은 [[이란의 핵개발]]로 인해 [[미국]]과 사이가 매우 좋지 않고 여러가지 경제제재를 받고 있어 건설 기술 및 차량 기술은 [[중국]]에서 도입하고 있다. [[2023년]]에는 테헤란 근교의 대도시 [[카라지]]에 [[카라지 지하철]]이 개통되었다. [[https://urbanrail.net/as/ir/karaj/karaj.htm|#]] 다만 아직 [[카라지 지하철|2호선]]의 일부 구간만 잠정 개통된 상태이며, 완전 개통되면 테헤란 지하철 5호선과 직접 환승이 가능해진다. == 노선 목록 == 테헤란 지하철 1호선 테헤란 지하철 2호선 테헤란 지하철 3호선 테헤란 지하철 4호선 테헤란 지하철 5호선 테헤란 지하철 6호선 테헤란 지하철 7호선 [[분류:이란의 도시철도]][[분류:테헤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