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템플릿/지역]][[분류:템플릿/지구과학]] ##주의:자연지명을 표제어로 하는 문서는 나무위키:편집지침/표제어 - 자연 지명의 규정을 적용받습니다. 단, 이는 표제어 규정으로서 프로필의 지역・지형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매뉴얼:본 템플릿에는 "육상지역", "산맥", "하천지역", "해양지역"에 관한 프로필이 모두 존재하므로, 실제 사용할 경우에는 4개 가운데 하나만 복사하여 쓰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본 템플릿의 구성은 사용시 경우에 따라 적절하게 바꾸거나 항목 등을 추가, 삭제하여 활용하셔도 됩니다. ##본 템플릿의 프로필 사이에 끼인 가이드라인을 위한 주석(##)은 삭제하여도 무방합니다. ##---- ##육상지역에 관한 지리 프로필 ||<-2> {{{#fff {{{+1 '''지역・지형명(한글)'''}}}[br]지역・지형명(한문) | 지역・지형명(영문)}}} || ##한문을 사용하지 않는 지역의 경우 하단의 이름을 (영문) - (원어명 표기)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100%]]}}}|| ##이미지가 없을 경우 생략,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000,#ddd {{{-1 사진이나 산맥 이미지에 대한 간략한 설명(생략 가능).}}}}}} || ##이미지가 없을 경우 생략, 삭제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에 대한 적합한 설명이 없을 경우 생략, 삭제할 수 있습니다.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Seoul, 너비=100%, 높이=200)]}}}|| || '''위치''' ||북위 38° 7′ 10″ 동경 128° 27′ 56″ || || '''소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 '''높이/(또는 최고점)''' ||(해발고도)50m || || '''면적''' ||약 7,890㎢ || ##면적이 중요하지 않은 지형의 경우 생략, 삭제할 수 있습니다. || '''분류''' ||(지리학적 분류)활화산 || || '''형태''' ||(형태에 관한 하위 분류)종성 화산 || || '''형성 시기''' ||신생대 신제3기 마이오세 || || '''쾨펜의 기후 구분''' ||[[냉대동계건조기후]] (Dwb) || ##분류 및 형태가 명확하지 않을 경우 생략, 삭제 혹은 통합할 수 있습니다. ##산이 아닌 경우 삭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고도가 중요하지 않은 지형의 경우 생략, 삭제할 수 있습니다. [목차][clearfix] == 개요(산) == ##---- ##산에 관한 지리 프로필 ||<-2> {{{#fff {{{+1 '''산명(한글)'''}}}[br]산명(한문) | 산명(영문)}}} || ##한문을 사용하지 않는 지역의 경우 하단의 이름을 (영문) - (원어명 표기)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100%]]}}}|| ##이미지가 없을 경우 생략,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000,#ddd {{{-1 사진이나 산맥 이미지에 대한 간략한 설명(생략 가능).}}}}}} || ##이미지에 대한 적합한 설명이 없을 경우 생략, 삭제할 수 있습니다.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Seoul, 너비=100%, 높이=200)]}}}|| || '''소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 || '''면적''' ||약 7,890㎢ || || '''분류''' ||신기습곡산지 || || '''지질학적 형성''' ||신생대 신제3기 마이오세 || ||<-2> ''' 최고봉''' || || '''이름''' ||대청봉 || || '''위치''' ||북위 38° 7′ 10″ 동경 128° 27′ 56″ || || '''높이''' ||(해발고도) 1,708 m (5,604 ft) || ||<-2> '''주요 봉우리''' || ||<-2>인수봉, 백운대 등 || [목차][clearfix] == 개요(산맥) == ##---- ##산맥에 관한 지리 프로필 ||<-2> {{{#fff {{{+1 '''산맥명(한글)'''}}}[br]산맥명(한문) | 산맥명(영문)}}} || ##한문을 사용하지 않는 지역의 경우 하단의 이름을 (영문) - (원어명 표기)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100%]]}}}|| ##이미지가 없을 경우 생략,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000,#ddd {{{-1 사진이나 산맥 이미지에 대한 간략한 설명(생략 가능).}}}}}} || ##이미지에 대한 적합한 설명이 없을 경우 생략, 삭제할 수 있습니다.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Seoul, 너비=100%, 높이=200)]}}}|| || '''소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 || '''길이''' ||500km || || '''분류''' ||신기습곡산지 || || '''지질학적 형성''' ||신생대 신제3기 마이오세 || ||<-2> ''' 최고봉''' || || '''이름''' ||설악산 대청봉 || || '''위치''' ||북위 38° 7′ 10″ 동경 128° 27′ 56″ || || '''높이''' ||(해발고도) 1,708 m (5,604 ft) || ||<-2> '''주요 산·고개''' || ||<-2>금강산, 설악산, 오대산, 계방산, 함백산, 태백산, 일월산, 주앙산, 보현산, 팔공산 || [목차][clearfix] == 개요(하천) == ##---- ##하천지역에 관한 지리 프로필 ||<-2> {{{#fff '''{{{-1 국가하천}}}[br]{{{+1 지역・지형명(한글)}}}'''[br]지역・지형명(한문) | 지역・지형명(영문)}}} || ##'국가하천' 'n급하천' 등의 표기는 생략, 삭제할 수 있습니다. ##한문을 사용하지 않는 지역의 경우 하단의 이름을 (영문) - (원어명 표기)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100%]]}}}|| ##이미지가 없을 경우 생략,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000,#ddd {{{-1 사진이나 지역 이미지에 대한 간략한 설명(생략 가능).}}}}}} || ##이미지에 대한 적합한 설명이 없을 경우 생략, 삭제할 수 있습니다.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Seoul, 너비=100%, 높이=200)]}}}|| || '''소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강 자체가 다수의 국가를 통과하는 경우(ex:나일 강) '위치' 대신 '국가'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수계''' ||한강 수계 || || '''발원''' ||(발원지의 주소)강원도 태백시 창죽동 || || '''하구''' ||(하구의 주소)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보구곶리 || ##문서 자체가 지류를 다루는 등, '발원' '하구' 개념을 쓸 수 없는 경우 '유입', '유출' 로만 항목명을 정하는 등 유기적 편집이 가능합니다. || '''유입''' ||(유입되는 본류 및 지류의 명칭)[br]'''본류'''[br]└골지천, 남한강[br]'''지류'''[br]└경안천, 달천 || ##유입을 본류와 지류로 구분할 수도 있습니다. || '''유출''' ||(유출되는 하천 또는 바다의 명칭)황해 || || '''길이''' ||6,650 km || || '''유역면적''' ||3,400,000 ㎢ (1,312,747 sq mi) || || '''유량''' ||평균 2,830 m³/s (99,941 cu ft/s)[br](하구에서의 유량) || || '''하천코드''' ||1010010 || ##하중도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없음)' 표시하거나 혹은 항목 자체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목차][clearfix] == 개요(해양지역) == ##---- ##해양지역에 관한 지리 프로필 ||<-2> {{{#fff {{{+1 '''지역・지형명(한글)'''}}}[br]지역・지형명(한문) | 지역・지형명(영문)}}} || ##한문을 사용하지 않는 지역의 경우 하단의 이름을 (영문) - (원어명 표기)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여러 지역에 걸친 해역의 경우 원어명 표기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100%]]}}}|| ##이미지가 없을 경우 생략,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000,#ddd {{{-1 사진이나 지역 이미지에 대한 간략한 설명(생략 가능).}}}}}} || ##이미지에 대한 적합한 설명이 없을 경우 생략, 삭제할 수 있습니다.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Seoul, 너비=100%, 높이=200)]}}}|| || '''분류''' ||(지리학적 분류)내해, 대양, 해협, 만 등 || || '''위치''' ||[[동아시아]] || || '''상위 바다''' ||[[태평양]] || || '''인접국''' ||(해역을 영해로 갖는 국가) || || '''유입''' ||(하구로부터 해역으로 유입되는 강의 명칭)한강[br]양쯔강 || ##하천을 기재할 수 없는 경우(ex:대양 등) 생략, 삭제할 수 있습니다. || '''길이''' ||1,700km (동서)[br]1,110 km (남북) || || '''수면적''' ||1,007,300㎢ || || '''수심''' ||1,684m (평균)[br]3,762m (최대) || ##항목을 '평균수심'과 '최대수심'으로 나눌 수도 있습니다. || '''염도''' ||33.9‰ - 34.3‰ (동계) || || '''수온''' ||25–27 °C(최고)[br]0 °C(최저) || ##항목을 '최고수온'과 '최저수온'으로 나눌 수도 있습니다. [목차][clearfix] == 개요 == == 역사(또는 자연사) == == 기후 == == 식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