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템플턴상 로고_01.png|width=100%]] || ||<-2><#ce2026> [[템플턴상|{{{#white '''템플턴상'''}}}]] || || '''제정''' || [[1972년]] || || '''첫 시상''' || [[1973년]] || || '''링크''' || [[https://www.templetonprize.org/|[[파일:템플턴상 아이콘.png|width=20]] {{{#black,#white '''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월스트리트]]의 전설이라 불린 [[영국]]출신의 사업가이자 [[펀드매니저]]인 존 템플턴(John Templeton,1912~2008)이 [[노벨상]]에 [[종교]] 부문이 없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1972년 템플턴 [[재단]]을 설립하고 3만 4000파운드의 기금을 상금으로 내 놓으면서 제정되었다. 매년 '''종교 분야에서 인류를 위해 크게 이바지한 인물'''들에게 시상한다. 존 템플턴 재단에서 주관하며, 심사위원은 9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명 종교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며 약 140만 달러 이상의 상금이 주어진다. 이는 노벨상과 더불어 '''세계 최대 규모'''이다. 시상식 행사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해당 연도 수상자의 연설을 듣는 공식 행사는 매년 장소를 바꾸어 가며 거행되고, 수상패와 수상금 수여식만은 항상 영국의 [[버킹엄 궁전]]에서 이루어진다. 1회 수상은 1973년 [[마더 테레사]]가 받았다. 3년마다 세계 150개의 종교단체의 대표자가 수상하며 대한민국에서는 1992년 [[한경직]] 목사가 처음이자 현재까지 유일하게 수상자가 되었다. 2021년에는 기독교인인 [[제인 구달]]이 받았고 2022년에는 [[노벨 물리학상]] 2004년 수상자인 물리학자 프랭크 앤서니 윌첵(Frank Anthony Wilczek, 1951년생)이 받았다. 특이한 것은 폴란드계로 가톨릭 집안 태생이지만 [[범신론]]인 월첵에게 준 것. == 기독교 위주 수상 논란 == '종교계의 [[노벨상]]'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상이지만 기독교인이 아니라면 이런 상이 있는지도 모르는 사람이 많을 정도로 인지도는 노벨상보다 매우 떨어진다. 그도 그럴 것이 수상자 대부분이 기독교([[가톨릭]], [[성공회]], [[개신교]]) 신자다. 비기독교인 수상은 1975년 3회 시상식에서 [[힌두교]]인이자 인도 독립운동가이자 2대 대통령을 역임한 사르베팔리 라다크리슈난(1888~1975)이 수상(상받기 전에 사망)한 것이 처음이다.[* 그런데 이 사람은 종교는 힌두교지만 인도 마드라스 기독교대학교 대학원 철학박사인 철학자로서 기독교적인 방식에 긍정적인 모습을 보인 종교 연구가였기에 시상 측에서 순수한 힌두교인으로서의 업적을 인정해 수상했다고 하기에는 애매하다.] [[불교]]인로서는 1979년에 입정교성회(立正佼成会)라는 일본 불교계 신흥 종교 설립 교주인 니와노 닛쿄(庭野日敬,1906–1999)가 받은 것(1970년 세계 종교평화회의에 참가하고 지지했음)이 처음이고, [[무슬림]]으로서는 여성 차별 및 폭력보호 법안을 냈다는 업적으로 1988년 [[파키스탄]] 사회복지부 장관이던 히샴 이나물라 칸(Hisham Inamullah Khan)이 수상한 것이 처음이다. 그 외에 힌두교인 바바 암테(한센병환자와 장애인들의 자활공동체 마을인 아난다완 설립으로 1990년 공동수상), 힌두교인 판더랑 샤스리 아프타벨(1920~2003/종교 개혁 업적으로 1997년 수상), [[달라이 라마 14세]](2012년 수상), [[요르단]] [[국왕]] [[압둘라 2세]](2018년 수상) 등이 상을 받았다. 정리하면 [[힌두교]](3명)나 [[불교]](니와노 닛쿄까지 합쳐서 2명)나 [[이슬람]](2명) 측 인물에 상을 주기도 하지만 2021년까지 모두 49명(1990년은 2명 공동 수상)인 수상자들 중 비기독교 수상자는 7명 뿐이다. 범세계적 종교인이라면 종교 무관 받을 수 있다고는 하지만 상을 제정한 인물과 재단이 서구 기독교인, 수상자들 대부분도 기독교인이다 보니 결국은 기독교인 위주로 상을 준다는 비판이 늘 나올 수밖에 없다. == 상에 대한 무신론자들의 비판과 이로 인한 논쟁 == 강경 [[무신론자]]인 [[리처드 도킨스]], [[대니얼 데닛]] 등은 당연히 이 상을 맹렬하게 까고 있다. 도킨스는 자신의 저서에서 데닛의 발언을 인용해 "나중에 내가 경제적으로 어려우면 친 종교 성향으로 태도를 바꾸어서 이 상금이나 타먹어 볼까?"라고 조롱하기도 했다. 2011년에는 천문학자인 마틴 리스가 이 상을 받자 도킨스는 리스를 '비열한 배신자'라 욕하는 글을 쓰기도 했다. 여기서 '배신자(quisling)'라는 단어는 2차대전 당시 [[나치]] 정권에 부역했다가 사형당한 [[노르웨이]] 정치인인 [[비드쿤 크비슬링]]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한국어로 치면 '''[[이완용]] 같은 놈'''과 똑같다. 하지만 사실 과학적, 철학적 견해를 변경한 것을 [[배신]]으로 몰아붙인다는 것은 전혀 논리적이지 않은 감정적 주장에 불과하다. 아마 도킨스는 학문과 의리를 혼동한 듯하다. 이러한 공격에 리스는 자신이 [[예배]]에는 기꺼이 참석하지만 [[신]]의 존재는 믿지 않는 무신론자이자 [[회의주의]]자임을 밝힌뒤. 국소적인 문제에만 매달리느라 전체적인 시각에서 바라볼 줄 모르는 과학자들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그리고 [[찰스 다윈]]이 스위스계 미국인 생물학자 루이 아가시(Louis Agassiz)에게 보낸 편지 중 “[[개]]가 [[아이작 뉴턴]]의 머릿속을 짐작하는 일이 더 쉬울 정도로 인간의 [[지능]]에 비해 너무나 심오한 문제들이 많으니 모두가 각자의 신념대로 살아가게 두자”는 문장을 인용하면서 “종교를 인정하는 다윈의 태도는 오늘날 다윈주의자들의 주장과 상충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리스는 [[진화론]]의 창시자인 다윈도 종교를 인정했는데 오늘날 다윈주의자들은 오히려 다윈의 생각을 인정하지 않는다면서, [[과학]]과 종교가 서로를 헐뜯지 말고 '평화로운 공존'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과학시간에 종교와 진화론이 서로 [[모순]]된다는 완고한 입장을 제시한다면, 많은 젊은이들이 오히려 종교에 집착하거나 과학을 거부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하였다. 그리고 파괴와 학대를 일삼는 '종교적 [[근본주의]]자'들에게 대항하기 위해서라도 주류 종교와는 대화를 지속해야 한다는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이런 종류의 쟁점에 대해서는 [[과학과 종교의 관계]] 항목 참고. == 역대 수상자 == [include(틀:역대 템플턴상 수상자)] [[분류:템플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