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F0B10 0%, #FFFFFF 20%, #FFFFFF 80%, #DF0B10)" {{{#002664 '''토니 미올라의 기타 정보'''}}}}}} || || {{{#!folding ▼ [include(틀:미국의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ddddd 0%, #ffffff)" {{{+1 {{{#000000 '''미국의 前 축구선수'''}}}}}}}}}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eola_Profile.jpg|width=100%]]}}}|| ||<-2> {{{#000 ''' 이름 ''' }}} || {{{+1 '''토니 미올라'''}}}[br] '''Tony Meola''' || ||<-2> {{{#000 ''' 본명 ''' }}} ||안토니오 마이클 미올라 [br] Antonio Michael Meola || ||<-2> {{{#000 ''' 출생 ''' }}} ||[[1969년]] [[2월 21일]] ([age(1969-02-21)]세) / [br] [[미국]] [[뉴저지주]] [[벨빌]] || ||<-2> {{{#000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000 ''' 직업 ''' }}} ||[[축구선수]]([[골키퍼]] / ^^은퇴^^)[br][[축구 감독]] [br] 방송인 || ||<-2> {{{#000 ''' 신체 ''' }}} ||185cm || ||<|2> {{{#000 ''' 소속 ''' }}} || {{{#000 ''' 선수 ''' }}} ||버지니어 캐발리어 (1988~1989/ ^^대학^^)[br][[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1990)[br][[왓포드 FC]] (1990)[br] 포트 로더데일 스트라이커스 (1991)[br] 버팔로 블리자드 (1994~1995 / ^^실내^^)[br] 롱아일랜드 러프 라이더스 (1995) [br][[뉴욕 레드불스|메트로스타스]][* 2006년, [[레드불]]이 인수하기 전까지 메르토스타스로 불렸다.] (1996~1998)[br]'''[[캔자스시티 위저즈]] (1998~2004)''' [br] [[뉴욕 레드불스]] (2005~2006)[br]뉴저지 아이언맨 (2007~2008 / ^^실내^^) || || {{{#000 ''' 지도자 ''' }}} ||잭슨빌 아마다 FC (2015~2016) || ||<-2> {{{#000 ''' 국가대표 ''' }}} ||100경기^^([[미국 축구 국가대표팀|미국]] / 1988~2006)^^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eloa_National_1.jpg|width=100%]]}}} || 미국의 前 축구선수. [[케이시 켈러]], [[브래드 프리델]] 등이 대표팀 주전으로 발돋움하기 전까지 2차례 월드컵에서 주전으로 나섰던 미국의 명골키퍼였다. == 클럽 경력 == === 대학 생활 === [[뉴저지주]] [[벨빌]]에서 태어난 미올라는 이탈리아 2부리그에서 활약했던 아버지인 빈센조의 영향을 받아 축구에 흥미를 느끼며 시작했다. 자신이 재학한 케르니 고등학교에서 스트라이커와 골키퍼로 활약한 그는 41개의 클린시트와 42골(!!)을 기록하며 두 개의 포지션 모두 재능을 보이기도 했다. 이후 언론사 The Star-Ledger에 의해 1980년대 뉴저지주의 고등학교 축구 선수들 중 원탑으로 조명받게 됐다. 또한 미올라는 축구뿐만 아니라 야구, 농구에도 재능을 보여서 농구팀에서는 주장을 맡기도 했고 모두가 다 아는 야구 명문구단 [[뉴욕 양키스]]에서는 미올라를 드래프트하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축구를 더 사랑했던 미올라는 훗날 대표팀 감독이 되는 [[브루스 어리나]]의 러브콜로 [[버지니아 대학교]]에 입학했고 대학 축구팀인 버지니어 캐빌리어에 입단한다. 그리고 그는 캐빌리어에서 좋은 활약을 보이며 헤르만 트로피[* [[북미 사커 리그(1968~1984)|북미 사커 리그]]를 설립한 밥 헤르만을 기리는 상으로 매년 미국 최고의 남녀 대학 축구선수에게 수여한다.]를 수상하기도 했다. 또한 1987년 10월에는 [[FIFA U-20 월드컵|FIFA 월드 유스 챔피언십]]에 미국 대표팀으로 참가하기도 했다. 1989년,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뛰기 위해 그는 캐빌리어를 나가기로 결심한다. === 프로 생활 === 이후 미국 축구협회와 계약을 맺은 그는 잉글랜드의 축구팀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으로 이적하며 해외로 진출한다. 그러나 공식 경기는 단 2경기에 그치며 혹독한 프로세계를 경험해야했고 이어 [[왓포드 FC]]로 팀을 옮겼지만 마찬가지였다. 결국 1991년, 아메리칸 프로페셔널 사커 리그[* [[메이저리그 사커]]가 출범하기전 미국과 캐나다의 프로리그]의 포트 로더데일 스트라이커스에 입단한다. 이후 1994년에는 미국 실내축구리그의 버팔로 블리자드와 계약했으나 [[브로드웨이]] 무대에서 연극배우로 투잡을 뛰었던 그는 Tony n' Tina's Wedding의 공연을 위해 1995년 2월 팀을 나가야 했다. 그 해 중순 롱아일랜드 러프 라이더스에 입단하며 선수생활을 이어가다가 1년 뒤 [[메이저리그 사커]]가 출범하자 [[뉴욕 레드불스|메트로스타스]]의 원년멤버로 입단하여 2시즌간 주전으로 활약한다. 1999년, [[알렉시 랄라스]] 외 2명과 트레이드 형식으로 [[캔자스시티 위저즈]]로 팀을 옮긴 미올라는 첫 시즌에는 부상으로 대부분의 경기를 결정했으나 두번째 시즌부터는 경쟁에서 승리하여 팀의 넘버원으로 자리 잡았고 그 해에 16경기 클린시트로 최다 기록을 세우며 맹활약, 팀을 US 챔피언쉽으로 이끄는데 큰 공헌을 한다. 이와 같은 활약으로 그는 리그 MVP와 MLS컵 최우수 선수 그리고 MLS 올해의 골키퍼상 등을 수상하며 전성기를 보내게 된다. 만 35살이던 2004시즌, 미올라는 부상으로 서브 키퍼인 보 오쇼니에게 경쟁에서 밀리기도 했으나 [[US 오픈컵]] 결승전에서는 선발로 나서며 [[시카고 파이어]]를 이기고 우승을 도왔다. 그리고 이 시즌을 끝으로 미올라는 팀을 떠나게 된다. 다음 해인 2005년, 친정팀인 메트로스타스로 복귀한다. 2005시즌 MLS 올스타전에 출전하는 등 많은 나이에도 여전한 기량을 보여주었다. 2006시즌부터 오스트리아의 회사 [[레드불]]이 구단을 인수하면서 팀 명칭이 뉴욕 레드불스로 새롭게 바뀌게 됐다. 뉴욕 레드불스라는 이름으로 맞은 첫 시즌에서 리그 20경기에 출전하며 여전히 팀의 주전으로 뛰었고 시즌 종료 후 팀을 떠난다. 2007년 여름, 실내축구리그인 메이저 인도어 사커 리그의 뉴저지 아이언맨로 이적 후 주전으로서 팀의 플레이오프 진출을 이끌었다. 그리고 2008년, 미올라는 은퇴를 선언했다. == 국가대표 경력 == 1988년 6월 10일, 미올라는 [[에콰도르 축구 국가대표팀|에콰도르]]와의 친선경기에서 처음으로 A매치 무대를 밟았다. 이후 대표팀의 퍼스트 키퍼로 거듭나며 40년만에 출전한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90년 월드컵]]과 [[1994 FIFA 월드컵]]에 참가하여 모두 주전으로 활약했다. 그는 1990년 월드컵 본선에서 고군분투했지만 팀은 조별리그 3경기동안 전패를 당하며 세계의 벽을 실감해야만 했다. 그러나 4년 뒤 자국에서 열린 월드컵에서는 3경기동안 여러차례 선방으로 뛰어난 활약을 보이며 역사적인 첫 16강 토너먼트 진출을 이끄는 주역이 된다. 또한 당시 [[포니테일]] 머리 스타일로 많은 팬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던 것은 덤. 1995년부터는 [[케이시 켈러]], [[브래드 프리델]] 등이 유럽무대에서 경쟁력을 보이며 후보로 밀려났고 [[2002 FIFA 월드컵]]에서는 써드 키퍼로 참가하게 됐다. == 은퇴 이후 == 2015년 11월 24일, 노스 아메리칸 사커 리그(NASL) 소속팀인 잭슨빌 아마다 FC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첫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으나 형편없는 성적을 거두며 2016년 8월 7일, 경질되었다. 이후에는 [[알자지라(방송국)|beIN Sports]]에서 [[코파 아메리카]] 현장 취재를 담당하기도 했고 2018년에는 [[FOX Sports]]에서 MLS와 [[2018 FIFA 월드컵]] 해설을 하며 방송인으로서 제2의 인생을 살고 있다. 2020년에는 시카고 파이어의 해설자로 선임되었다. === 국가대표 === *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 (1988~2006) * [[CONCACAF 골드컵]]: 1991, 2002 === 개인 === * 헤르만 트로피: 1988 * [[메이저리그 사커|MLS]] 올해의 선수: 2000 * MLS 올해의 골키퍼: 2000 * MLS 올타임 베스트 Xl * MLS컵 최우수 선수: 2000 * 미국 축구 명예의 전당: 2012 [각주] [[분류:1969년 출생]][[분류:1990년 데뷔]][[분류:2008년 은퇴]][[분류:벨빌(뉴저지)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축구선수]][[분류:골키퍼]][[분류:축구감독]][[분류:축구 해설자]][[분류: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은퇴, 이적]][[분류:왓포드 FC/은퇴, 이적]][[분류:스포팅 캔자스시티/은퇴, 이적]][[분류:뉴욕 레드불스/은퇴, 이적]][[분류:잭슨빌 아마다 FC/역대 감독]][[분류:미국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참가 선수]][[분류:1994 FIFA 월드컵 미국 참가 선수]][[분류: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참가 선수]][[분류:1991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분류:1993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분류:2000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분류:2002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분류:1993 코파 아메리카 에콰도르 참가 선수]][[분류:200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프랑스 참가 선수]][[분류: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