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니 코니글리아로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보스턴 레드삭스 명예의 전당)]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1965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홈런왕}}}''' || || [[하먼 킬러브루]][br]([[미네소타 트윈스]]) || → || '''토니 코니글리아로[br]([[보스턴 레드삭스]])''' || → || [[프랭크 로빈슨]][br]([[볼티모어 오리올스]]) || ---- ||<-5> '''{{{#ffffff [[보스턴 레드삭스|{{{#ffffff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25번}}}''' || || 짐 고스거[br](1963) || {{{+1 →}}} || '''{{{#ffffff 토니 코니글리아로[br](1964~1967, 1969~1970)}}}''' || {{{+1 →}}} || 켄 타툼[br](1971) || ||<-5> '''{{{#ffffff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ffffff 캘리포니아 에인절스}}}]] 등번호 10번}}}''' || || 제이 존스톤[br](1966~1970) || {{{+1 →}}} || '''{{{#ffffff 토니 코니글리아로[br](1971)}}}''' || {{{+1 →}}} || 제리 모세스[br](1971) || ||<-5> '''{{{#ffffff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ffffff 캘리포니아 에인절스}}}]] 등번호 4번}}}''' || || [[샌디 알로마 시니어]][br](1969~1971) || {{{+1 →}}} || '''{{{#ffffff 토니 코니글리아로[br](1971)}}}''' || {{{+1 →}}} || 켄 맥멀렌[br](1972) || ||<-5> '''{{{#ffffff [[보스턴 레드삭스|{{{#ffffff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25번}}}''' || || [[올랜도 세페다]][br](1973) || {{{+1 →}}} || '''{{{#ffffff 토니 코니글리아로[br](1975)}}}''' || {{{+1 →}}} || 스티브 렌코[br](1979~1980)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토니 코니글리아로.jpg|width=100%]]}}} || ||<-2> '''{{{+2 앤서니 리차드 "토니" 코니글리아로}}}[br]Anthony Richard "Tony" Conigliaro''' || ||<|2> '''출생''' ||[[1945년]] [[1월 7일]] || ||[[매사추세츠]] 주 리비어 || ||<|2> '''사망''' ||[[1990년]] [[2월 24일]] (향년 45세) || ||[[매사추세츠]] 주 세일럼||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학력''' ||세인트 메리스 고등학교 || || '''가족''' ||동생 빌리 코니글리아로 || || '''신체''' ||190cm / 83kg || || '''포지션''' ||[[우익수]] || || '''투타''' ||[[우투우타]] || || '''소속팀''' ||'''[[보스턴 레드삭스]] (1964~1967, 1969~1970)'''[br][[캘리포니아 에인절스]] (1971)[br][[보스턴 레드삭스]] (1975)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전 [[야구선수]]. 어린 나이에 뛰어난 단기 임팩트를 선사한 선수이지만, 불의의 눈 부상으로 인해 커리어가 일찍 끝난 비운의 선수로, 인간으로써도 결코 많다고 보기 힘든 나이인 45세의 나이에 사망하였다. == 선수경력 == 1964년 [[보스턴 레드삭스]]에서 데뷔해 첫 타수에서 홈런을 기록했다. 그 해에 0.290/0.354/0.530 24홈런 52타점을 기록했다. 8월에 팔과 발 부상을 당해 111경기밖에 나가지 못했고 32홈런에 타율 0.323을 기록했던 미네소타 트윈스의 [[토니 올리바]]에게 신인왕을 넘겨줬다. 그래도 [[브라이스 하퍼]]가 2012년 데뷔해서 20홈런을 치기 전까지 유일한 10대 20홈런 기록 보유자였다. 지금은 [[후안 소토]]까지 총 3명이며 이 중에서 가장 많은 홈런을 쳐서 10대 최다 홈런 기록을 가지고 있다.[* 그는 매우 끼가 넘쳐서 데뷔 시즌인 1964년 시즌 후에는 [[RCA]]와 25,000$에 계약해 음반도 냈었다고 한다. 또한 여자 꼬시는데도 타고났었다고.] 1965년에는 32홈런으로 아메리칸리그 홈런왕에 올랐다. 당시 아메리칸 리그 최연소 홈런왕이다. 1967년에는 올스타에도 나가고 아메리칸리그 최연소 100홈런의 기록도 세웠다.[* 메이저리그 기록은 [[멜 오트]]] 이때까지만 해도 워낙 어려서 데뷔했기에 부상 없이 페이스만 유지해도 500홈런과 명예의 전당은 무난해 보였다. 그해 8월 18일에 [[잭 해밀턴(야구)|잭 해밀턴]]이 던진공에 왼쪽 광대뼈를 맞았고 이게 왼 눈의 시력저하로 이어졌다. [[:파일:토니 코니글리아로SI.jpg|혐짤주의]] 맨위의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당시 [[야구 헬멧]]은 말 그대로 헬멧에 가까운 물건이라 귀와 광대뼈 쪽을 보호해줄 어떤 장치도 없었다. 그가 실려나가기까지 10여분간 펜웨이 파크는 적막이 흘렀다고 한다. 당시 선수들은 '''호박이 깨지는 소리'''가 났다고 회고했으며 약 90여미터에서 좌익수 수비를 보던 에인절스의 좌익수 릭 레이처트가 몸을 움찔거릴만큼 소리가 매우 컸다고 한다. 1년 넘게 쉬고 1969년 복귀해서 20홈런, 1970년 36홈런으로 커리어하이를 찍으며 살아나는 것처럼 보였지만[* 여담으로 이 해에 자신의 어깨를 맞춘 투수와 난투극을 벌였었다. 그에게 몸쪽 공이 얼마나 큰 트라우마가 됐는지 알 수 있는 대목.] 줄어든 시야 탓에 선수생활에 어려움을 겪었고 1970년 11월, 캘리포니아 에인절스로 트레이드 된 이후 1971년을 끝으로 그라운드를 떠났다. 이후 선수생활에 미련이 남았던 코니글리아로는 레드삭스 소속으로 1975년에 다시 복귀했지만 21게임을 뛰는데 그쳤고 완전히 은퇴했다. 500홈런은 가볍게 넘길 것 같았던 그의 홈런은 166개가 전부였다. == 은퇴 이후 == 1982년 레드삭스 중계 팀 합류를 위한 오디션을 보고 동생인 빌리와 함께 차를 타고 귀가하던 중 심장발작을 일으키며 쓰러졌다. 이후 8년여간의 투병생활 끝에 1990년 2월 24일에 만 45세라는 이른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사후 보스턴 레드삭스 측은 2007년 4월 4일에 그를 기리기 위해 그의 포지션이 우익수였던걸 감안, 외야 오른쪽 관중석 일부(200석)를 "코니글리아로 코너"로 명명했다. == 토니 코니글리아로 상 == 그의 이름을 딴 토니 코니글리아로 상이 있다. 그가 사망한 해인 1990년에 보스턴 레드삭스에서 그의 이름을 기려 이 상을 제정했다. 기자들과 MLB 커미셔너 등의 심사를 거쳐 미국야구기자협회 보스턴 지부에서 매년 12월 혹은 다음 해 1월에 열리는 모임을 통해 코니글리아로의 가족이 직접 수상을 한다. 단순히 성적이 나아진 것을 넘어서 역경을 넘은 선수들에게 수상하기에 올해의 재기상과는 다르다. || 연도 || 이름 || 팀 || 비고 || || 1990 || 짐 아이젠라이크 || [[캔자스시티 로열스]] || [[뚜렛 증후군]] || || 1991 || 디키 톤 || [[필라델피아 필리스]] || 빈볼 || || 1992 || [[짐 애보트]] || [[캘리포니아 에인절스]] || 오른손 부재 || || 1993 || [[보 잭슨]] || [[시카고 화이트삭스]] || 고관절 수술 || || 1994 || 마크 레이터 || [[캘리포니아 에인절스]] || 척수성 근위축증으로 생후 9개월 아들 사망 || || 1995 || 스캇 래딘스키 || [[시카고 화이트삭스]] || [[호지킨 림프종]] 진단 || || 1996 || 커티스 프라이드 || [[몬트리올 엑스포스]] || [[청각장애인]] || || 1997 || 에릭 데이비스 || [[볼티모어 오리올스]] || [[직장암]] || || 1998 || [[브렛 세이버하겐]] || [[보스턴 레드삭스]] || 심각한 어깨부상 || || 1999 || [[마이크 로웰]] || [[플로리다 말린스]] || [[고환암]] || ||<|2> 2000 || 켄트 머커 || [[애너하임 에인절스]] || 뇌내출혈 || || 토니 사운더스 || [[탬파베이 데블레이스]] || 피칭 중 어깨 골절[* 이 골절로 인한 재활 도중 골절되었던 팔이 다시 골절되는 바람에 2000년에 26세의 나이로 은퇴를 선언했다. 2005년에 [[볼티모어 오리올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고 다시 재도전했지만 결국 메이저리그에는 콜업되지 못하고 다시 은퇴.] || ||<|2> 2001 || [[그램 로이드]] || [[몬트리올 엑스포스]] || [[크론병]]으로 아내 사망 || || 제이슨 존슨 || [[볼티모어 오리올스]] || [[1형 당뇨병]] || || 2002 || [[호세 리호]] || [[신시내티 레즈]] || 팔꿈치 부상으로 인한 5번의 수술 || || 2003 || 짐 메시어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선천성 만곡족[* 발이 골프 클럽처럼 구부러진 증상] || || 2004 || 드원 브레이즐턴 || [[탬파베이 데블레이스]] || 고등학교 때 무릎 수술과 [[토미 존 서저리]] || || 2005 || 애런 쿡 || [[콜로라도 로키스]] || 양 폐에 [[혈전]] || || 2006 || [[프레디 산체스]] || [[피츠버그 파이어리츠]] || 선천성 만곡족과 극도의 내번족 || || 2007 || [[존 레스터]] || [[보스턴 레드삭스]] || [[비호지킨 림프종]] || || 2008 || [[로코 발델리]] || [[탬파베이 레이스]] || [[미토콘드리아]] 장애로 만성 근육 피로 || || 2009 || [[크리스 카펜터]]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토미 존 서저리와 팔 신경문제 || || 2010 || 호아킨 베노아 || [[탬파베이 레이스]] || [[회전근개]] 증후군 || || 2011 || 토니 캄파나 || [[시카고 컵스]] || 어렸을 때 호지킨 림프종 || || 2012 || [[R.A. 디키]] || [[뉴욕 메츠]] || 유년기 성적학대와 오른쪽 팔꿈치 인대 부재 || || 2013 || [[존 래키]] || [[보스턴 레드삭스]] || 토미 존 서저리 || || 2014 || [[윌슨 라모스]] || [[워싱턴 내셔널스]] || 2011년 납치, 전방십자인대부상, 유구골 골절, [[햄스트링]] 염좌 || || 2015 || 미치 해리스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해군 복무로 커리어 5년 지연 || || 2016 || [[얀가르비스 솔라테]]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시즌 중 암으로 아내 사망 || || 2017 || 채드 베티스 || [[콜로라도 로키스]] || 고환암 || || 2018 || [[스티븐 피스코티]] || [[오클랜드 어슬레틱스]] ||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으로 어머니 사망 || || 2019 || [[리치 힐]]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팔 부상과 생후 3개월된 둘째 아들 브룩스의 사망 || || 2020 || [[다니엘 바드]] || [[콜로라도 로키스]] || [[스티브 블래스 증후군]]으로 은퇴 후 8년만에 복귀 || || 2021 || [[트레이 만시니]] || [[볼티모어 오리올스]] || 대장암 || || 2022 || [[호세 쿠아스]] || [[캔자스시티 로열스]] || 메이저 데뷔까지 많은 고난 극복 ||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45년 출생]][[분류:1964년 데뷔]][[분류:1975년 은퇴]][[분류:1990년 사망]][[분류:서포크 카운티(매사추세츠) 출신 인물]][[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보스턴 레드삭스/은퇴, 이적]][[분류: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은퇴, 이적]][[분류:MLB 홈런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