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도미니카 공화국 프로야구 리그]] [include(틀:도미니카 공화국 프로야구 리그)] ||<-2> [[파일:Toros del Este Logo.jpg|width=50%&bgcolor=#ff4500]] ||<-2> [[파일:토로스 데 에스테 엠블럼.jpg|width=50%]] || ||<-2> 모자 로고 ||<-2> 구단 로고 || ||<-4> '''{{{+1 토로스 델 에스테}}}''' || ||<-4> '''{{{#fff {{{+1 Toros del Este}}}}}}''' || || '''창단''' ||<-3>[[1983년]] [[8월 12일]]^^([age(1983-08-12)]주년)^^ || || '''연고지''' ||<-3>라 로마나 (La Romana) || || '''구단명 변천''' ||<-3>아주카레로스 델 에스테 (Azucareros del Este, 1983년~2008년)[* [[사탕수수]] 재배자를 뜻하며, 야구팀의 연고지인 라 로마나(La Romana)주는 도미니카 공화국 동부에 있으며, 실제로 사탕수수가 많이 나오는 지역이다.][br]토로스 델 에스테 (Toros del Este, 2008년~) || || '''소속 리그''' ||<-3>'''[[도미니카 공화국 프로야구 리그]] (1983~)''' || || '''홈 구장''' ||<-3>'''에스타디오 프란시스코 미첼리 (Estadio Francisco Micheli)''' || || '''팀 마스코트''' ||<-3>'''[[황소]] (El "Torito")''' || || '''별명''' ||<-3>'''엘 토롤리오 (El Torolío)''' || || '''리그 우승'''[br]'''(3회)'''[* [[도미니카 공화국 프로야구 리그|LIDOM]]이 시작된 1951년부터 작성, 리그가 끝난 해를 기준으로 작성.] ||<-3>'''[[1995년]]''', '''[[2011년]]''', '''[[2020년]]''' || || '''캐리비언 시리즈 우승'''[br]'''(1회)''' ||<-3>'''[[2020년]]''' || || '''감독''' ||<-3> || || '''역대 한국인 선수''' ||<-3> || || '''로컬 TV 중계''' ||<-3> || || '''SNS 계정''' ||<-3> [[https://www.torosdeleste.com|[[파일:토로스 데 에스테 엠블럼.jpg|width=30]]]] | [[http://facebook.com/torosdelest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torosdelest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orosdelEste, 크기=20)] || [목차] == 개요 == [[도미니카 공화국 프로야구 리그]] 소속의 팀. == 역사 == == 주요 선수 == 다른 팀에 비해 마이너 FA나 멕시칸리그 노장들이 많다. 투수조에는 작년이나 올해까지 메이저에서 뛰었던 계투 페르난도 아바드, 다리오 알바레스, 얀 마리녜스(피츠버그), 팀 피터슨(메츠, 현 40인 로스터 내) 등 전현직 빅리그 중간계투급 선수들이 즐비하다. 일본에서 잠시 뛴 40대 노장 라울 발데스, 한국을 거쳐간 [[알렉시 오간도]](클블 AAA), 피츠버그 AAA 선발로 150이닝을 던진 13승 투수 [[타일러 애플러]], 시애틀 AAA 선발 브라이언 에반스, 콜로라도 AAA 선발 브렛 오버홀처 등 나머지 선수진도 탄탄. 포수 워싱턴 40인 로스터 선수 라우리 리드가 있으며, 내야수에는 베테랑 알렉스 카시야, 한국에서 뛰었던 [[데이빈슨 로메로]], 메츠 40인 1루수 유망주 [[도미닉 스미스]]와 오클랜드 40인 유틸 유망주 [[호르헤 마테오]], 애틀랜타 AAA 카를로스 프랑코, 워싱턴 AAA [[제이콥 윌슨]], 마이애미 AAA 크리스티안 아다메스 등이 있다. 외야수에는 올해 메이저리그 백업 외야수로 뛰었던 아브라함 알몬테, 한화 이글스에서 뛰었던 멕시칸리그의 [[펠릭스 피에]], 22세의 나이로 메이저리그 2년차인 마이애미 AAA 마그뉴리스 시에라 등이 주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