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include(틀:토론토 광역권 대중교통)] [include(틀:토론토 지하철 노선)] ||<-3> [[토론토 교통국|[[파일:TTC-LOGO1.png|height=20]]]]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TTC_-_Line_3_-_Scarborough_RT_line.svg.png|width=50]]||{{{#1F99D5 '''토론토 지하철 3호선 {{{+1 온타리오}}}'''[br]{{{-1 Toronto Subway Line 3}}} Ontario }}} ||}}} || ||<-3> - || ||<-3> {{{#1F99D5 -}}} || ||<-3> {{{#white '''노선 정보'''}}} || || '''분류''' ||<-2> [[도시철도]] || || '''기/종점''' ||<-2> 익시비션 역, 사이언스 센터 역 || || '''역 수''' ||<-2> 15개 || || '''노선 번호''' ||<-2> 3 || || '''개업일''' ||<-2> [[2030년]] || || '''운영자''' ||<-2> [[토론토 교통국|[[파일:TTC-LOGO1.png|width=80px]]]] || || '''사용 차량''' ||<-2> 미정 || ||<-3> {{{#white '''노선 제원'''}}} || || '''노선 연장''' ||<-2> 15.6㎞ || || '''궤간''' ||<-2> 1,435㎜ [[표준궤]] || || '''선로 구성''' ||<-2> [[복선]] || || '''전력 공급''' ||<-2>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 '''통행 방향''' ||<-2> 우측통행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파일:ol_map_-_20220511_-_48x30_page-0001.jpg|width=100%]]}}} || || '''{{{#fff 노선 개요}}}''' [[https://www.metrolinxengage.com/en/engagement-initiatives/ontario-line|출처]] || [[토론토 지하철]] 신(新) 3호선, 또는 '''온타리오 선'''(Ontario Line)은 토론토의 건설 예정인 [[지하철]] 노선이다. 다운타운을 중심으로 이토비코(Etobicoke), 이스트 요크(East York), 노스 요크(North York) 등 인근의 부도심과 베드타운들을 잇는 역할을 한다. 현존 [[토론토 지하철 3호선|3호선]]이 폐선되면 노선색과 노선 번호를 고스란히 물려받아 새로운 3호선이 될 예정이다. == 상세 == [[토론토]] 도심의 중심가 중 하나인 퀸 가(Queen Street)를 관통할 [[중전철]] 노선. 기존 노선, 특히 [[토론토 지하철 1호선|1호선]]의 도심 구간 수요를 줄이기 위해 계획하는 노선이다. [[토론토 지하철 1호선|1호선]] 문서에도 언급된 내용이지만, 토론토 다운타운 중심부로 향하는 노선은 1호선 단 하나뿐이다. [[시내버스]]와 [[노면전차]]는 수송량이 적고 교통 상황에 따라 소요시간이 엿가락처럼 늘어지기 때문에 결국 [[도시철도]]의 보조 교통수단 성격이 강하며, 그나마 다운타운을 지나는 [[토론토 지하철 2호선|2호선]] 역시 북쪽의 블루어 대로를 따라 지나갈 뿐 중심부까지 들어오지는 않는다. 때문에 토론토의 대중교통망은 [[토론토 지하철 1호선|1호선]]에 크게 의존하는 형태로 발전했고, 점점 포화 상태에 다다르는 1호선을 보다 못한 [[토론토]] 시와 [[토론토 교통국]]이 확장이 불가능한 1호선 대신 수요를 분담해 줄 새로운 노선을 계획한 것. [[대중교통]]의 불모지와도 같은 [[북아메리카]]에서 보기 드문 '''신규 [[중전철]]''' 노선이다. [[미국]]은 [[로스앤젤레스]], [[시애틀]]처럼 세계적인 대도시에도 [[LRT]]만 주구장창 짓고 있으며, 몇 안되는 새 노선인 [[뉴욕]]의 [[2번가 지하철]]은 천정부지로 치솟는 지가 탓에 10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겨우겨우 역 3개를 연장하는 데 만족하고 있다. [[캐나다]] 역시 온타리오 선을 제외하면 경전철 및 노면전차 노선들 뿐이다.[* [[몬트리올]]의 REM이 [[지하철]] 및 [[광역철도]]의 역할을 겸하지만, 엄연히 [[경전철]]이다.] 때문에 북미 [[철도 동호인]]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블루어-영역]]에서 허구한날 인파를 뚫고 1-2호선을 환승하는 사람들에게는 마른 하늘에 단비와 같은 노선. [[토론토 지하철 1호선|1호선]]의 퀸 역 및 오스구드 역, [[토론토 지하철 2호선|2호선]]의 페이프 역, [[토론토 지하철 5호선|5호선]]의 사이언스 센터 역을 모두 거치는 환승 노선의 역할도 겸할 것으로 보인다. 도심 구간의 역간거리가 비교적 넓은 것도 주요 거점을 빠르게 이어 주는 역할을 하기 위함으로 추측된다. 또한 공사비 절감을 위해 지상 및 고가 구간의 비중이 높으며, 이스트 하버 및 익시비션 역 전후 구간은 [[GO 트랜짓]]의 선로와 평행하게 주행할 예정이다. 차량은 [[코펜하겐#s-3|코펜하겐 지하철]], [[타이베이 첩운 환상선]], [[로마 지하철|로마 지하철 C선]]에서 쓰이는 [[히타치 제작소|히타치]]의 무인 도시철도(Driverless Metro)를 채택했다. 로마 지하철 C선과 유사한 중전철 사양의 열차를 발주할 계획이다. == 역사 == === 릴리프 라인(Relief Line) === ||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파일:relief-line-south-1024x576.jpg|width=100%]]}}} || || '''{{{#fff 릴리프 라인(Relief Line)의 초기 계획}}}''' [[https://toronto.citynews.ca/2018/10/19/toronto-relief-line/|출처]] || 온타리오 선의 전신은 [[토론토]] 시에서 [[1985년]] 발표한 '''네트워크 2011'''(Network 2011)의 '''릴리프 라인'''(Relief Line)이다. 함께 발표된 [[토론토 지하철 4호선|셰퍼드 선]](Sheppard Line), [[토론토 지하철 5호선|에글린턴 선]](Egllinton Line)과는 노선 성격이 좀 다른데, 셰퍼드 선과 에글린턴 선은 미드타운, 노스 요크 센터, 스카버러 등 토론토의 제 2도심 및 부도심들을 간선 교통망과 연결하는 보조 간선 혹은 지선의 성격이 강하지만, 릴리프 라인은 직접 다운타운을 통과하여 [[토론토 지하철 1호선]]의 수요를 분산하는 바이패스 노선이기 때문이다. 이름부터가 Relief, 즉 1호선이 받는 부담을 덜어주겠다는 뜻으로, [[토론토 지하철 2호선|2호선]]의 페이프 역과 [[토론토 지하철 1호선|1호선]]의 오스구드 역을 잇는 지하철 노선이 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도심을 정통으로 통과하는 지하철 공사가 쉬울 리가 없다. 예산이 넉넉하지 못했던 토론토 교통국은 많은 돈이 필요한 릴리프 라인을 장기 계획으로 미뤄둔 채, [[토론토 지하철 4호선]] 등 다른 프로젝트들을 먼저 추진하기 시작한다. [[21세기]] 들어 토론토의 인구 성장세가 가속화되고 [[기후변화]] 문제가 대두되면서 1호선의 이용객은 나날이 늘어만 갔고, 이에 토론토 시는 [[2012년]], [[2016년]], [[2018년]] 세 차례에 걸쳐 릴리프 라인이란 카드를 계속 꺼내들었으나 번번이 예산 문제에 부딪혀 좌초되기 일쑤였다. === 온타리오 라인(Ontario Line) === 토론토 교통국은 낡아빠진 [[토론토 지하철 1호선|1호선]]에 [[CBTC]]를 도입하여 배차간격을 줄이는 등 부족한 1호선의 수용량을 늘려 보려 했지만, 현존하는 인프라로는 더 이상의 공급 증가가 어렵다고 판단하고 신규 노선을 공사하기로 결심한다. 이로써 지금의 '''온타리오 선'''(Ontario Line) 경로가 확정된다. 온타리오 선은 전 구간 지하였던 릴리프 선과 달리 지상과 고가 구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공사비를 절감하였고, 북쪽으로는 페이프 역에서 [[토론토 지하철 5호선|5호선]] 정차역인 사이언스 센터 역까지, 서쪽으로는 오스구드 역에서 [[GO 트랜짓]] 환승역인 익시비션 역[* [[토론토 FC]]와 [[토론토 아고노츠]]의 홈 구장인 BMO Field가 위치한 곳이다.]까지 노선을 연장하여 더욱 넓은 지역을 커버하도록 했다. 덕분에 운행거리는 두 배가량 늘어났음에도 예산을 비슷하게 맞추는 데 성공했다. [[2019년]] 발표 직후 얼마간은 예산 문제 탓에 추진이 지지부진했다. 이에 시민들은 릴리프 라인의 전철을 밟는 것이 아니냐며 우려하였으나, [[토론토]] 시와 [[온타리오]] 주정부의 합의 끝에 건설이 확정되었다. [[2022년]] [[3월 27일]] 익시비션 역 인근에서 착공식이 거행되었고, 당해 [[9월]]에는 구간별 사업자를 선정하며 본격적인 노선 공사의 시작을 알렸다. 선로와 고가, 터널 공사는 [[2023년]]부터 시작될 예정이며, 착공 후 8년이 지난 [[2030년]]에 전 구간을 개통할 계획이다. 여담이지만 사업자 선정 전까지 토론토 시민들, 특히 [[철도 동호인]]들은 계속 부정적인 전망을 내비쳤는데, 그간 [[캐나다]] 전역에 사업 확정 단계까지 갔다가 공사 직전 무산된 프로젝트가 정말 많았기 때문이다. 때문에 공사 사업자가 선정되고 자세한 일정까지 발표되고 나서야 안심하는 사람들이 꽤 있었다(...). == 역 목록 == ||
<-5> {{{#ffffff '''3호선 온타리오[br]Line 3 Ontario'''}}} || || {{{#ffffff '''개업 연도'''}}} || {{{#ffffff '''한글 역명'''}}} || {{{#ffffff '''영문 역명'''}}} || {{{#ffffff '''환승노선'''}}} || {{{#ffffff '''비고'''}}} || ||<|15> {{{#fff '''2030'''}}} || 사이언스 센터 || Science Centre || {{{#F87005 ●}}} [[토론토 지하철 5호선|5호선]] || - || || 플레밍던 파크 || Flemingdon Park || - || - || || 손클리프 파크 || Throncliffe Park || - || - || || 코즈번 || Cosburn || - || - || || 페이프 || Pape || {{{#16A753 ●}}} [[토론토 지하철 2호선|2호선]] || - || || 제러드 || Gerrard || - || - || || 리버사이드-레슬리빌 || Riverside-Leslieville || - || - || || 이스트 하버 || East Harbour || [[GO Transit]] || - || || 코크타운 || Corktown || - || - || || 모스 파크 || Moss Park || - || - || || 퀸 || Queen || {{{#FFCB0C ●}}} [[토론토 지하철 1호선|1호선]] || - || || 오스구드 || Osgoode || {{{#FFCB0C ●}}} [[토론토 지하철 1호선|1호선]] || - || || 퀸-스퍼다이나 || Queen-Spadina || - || - || || 킹-배서스트 || King-Bathurst || - || - || || 익시비션 || Exhibition || [[GO Transit]] || - || ===# 주요 역 일람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토론토 지하철, version=311)] [[분류:캐나다의 도시철도]][[분류:토론토 광역권 대중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