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홍염의 성좌/등장인물]] [목차] == 개요 == [[홍염의 성좌]]의 등장인물. == 설명 == [[니콜라스 추기경]] 파 인물로 [[국가안전기획부|안기부]] 격인 국토안보위원회의 전 안보위원장이자 브란 카스톨의 현 치안청장. 흔히들 '니콜라스 추기경'의 사냥개로 불리며 추기경의 정적을 사냥하는데 열성적인 추종자. 작중에는 '그레이브 경'이라고 주로 서술되고 '''본명이 거의 나오지 않는다.''' 옛날 [[에드먼드 란셀]]을 체포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으며 그 후로 출세길이 열려 추기경 밑에서 일하게 된다. 내심은 추기경의 같은 측근이자 출신 미상인 신흥귀족 [[알렉산더 란슬로]] 백작이나 평민 출신인 [[살비에 마델로]]를 경멸하고 있다. 물론 콤플렉스의 근원은 자신이 몰락귀족 출신이었기 때문이다. 사실 [[로웨나 그린]]의 친아버지. 로웨나의 어머니인 밀드레드 그린이 저지른 불륜과 도박을 못견디고 로웨나가 아직 어릴 적 이혼했다. 그래도 있는 돈 탈탈 털어 밀드레드에게 로웨나의 양육비로 넘겨줬다고. 이후 마리안느라는 귀족 여인과 재혼하게 되는데, 이 마리안느가 [[막장드라마]]에 출연할만한 성격파탄자에 내숭덩어리라 로웨나와의 사이를 열심히 이간질 했기 때문에 딸과는 둘도 없는 웬수 사이가 된다. 이 둘의 언쟁은 [[알렉산더 란슬로]]마저 그 부녀를 두고 '성질 사나운 곰과 독오른 고양이의 대결'이라고 부르며 못견뎌할 정도. 첫째 부인이 밀드레드에 둘째 부인이 이러니 여자 보는 눈 하나는 정말 없는 듯하다. 마리안느와의 사이에는 글로리아라는 딸이 있지만, 로웨나 뒷담화에서 언급만 되고 실제로는 비중이 없다.[* 다만 브랫 키저가 "싸가지 없는 딸"이라고 언급한 걸 보면 이쪽도 부전녀전이든 모전녀전이든 보통 성깔은 아닐 듯하다.] 결국은 [[알렉산더 란슬로]]의 음모로 인해 환각을 보고 오페라 극장에서 [[헨리 카밀턴]]에게 총을 쏜다. 바로 현장에서 체포당하고 지금까지 쌓아온 지위를 모두 잃고 감옥에 갇힌다. 그 뒤 감옥에 찾아온 [[살비에 마델로]]에게 [[에드먼드 란셀]]이 돌아왔다고 말해주지만 무시당했다. 어떻게든 니콜라스 추기경에게 그의 귀환을 알리려고 했지만 감옥에 찾아온 알렉산더의 마령에게 [[자살]]을 위장해 살해당한다. [[니콜라스 추기경]]에게는 나름대로 유능한(?) 측근이라 그의 죽음을 아쉬워하는 발언을 하기도 한다. 사실 [[헨리 카밀턴]]을 견제할 적당한 대항마가 필요한데, 그레이브를 제외하면 재능만 빼고 다 가졌다는 [[윌리엄 랜든]] 뿐이라... 다만 저 맹견같은 근성 때문에 순식간에 추락했으니 이것도 자업자득이다. 알렉산더 백작이 등장하기 직전에 무리하게 '''대주교에게 덤볐다'''[* 그것도 몇 안되는 대성령의 소환자라 하니 그 위세가 결코 만만하지 않은 거물이다.]개망신을 당하고 세력이 크게 위축됐기 때문. 여러모로 가정파탄자에 오만에 찌든 인간말종이긴 하지만, 잘 생각해보면 의외로 로웨나를 진심으로 미워한 적은 없다는 걸 알 수 있다. 당장 로웨나를 딸이라고 인정하지 않은 적은 없었고, 비록 착각이긴 했지만 [[유릭 크로반]]을 "예쁘장한 여자 아이가 여린 척 눈물 흘리면서 거짓말을 해서 속아넘어간 철부지"라고 말해서 [[알렉산더 란슬로]]와 유릭, 오터까지 싹 얼어붙게 한 적도 있다[* 즉, 로웨나를 예쁘장한데다 여린 척할 수 있는 여자아이로 보고 있었다는 뜻이다. 심지어 "돌비체 수상이 벌거벗고 쇼를 한다 해도 이보다는 덜 충격적일 것이다", "당신의 딸을 너무 과대평가 하는군요" 같은 서술까지 나온다.]. 살비에 마델로나 윌리엄 랜든만큼은 아니지만, 자식에 대한 사랑 하나만큼은 의외로 확실히 있긴 있었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