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1 '''[[1933년|{{{#fff 1933년}}}]] [[노벨생리의학상|{{{#fff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 ||<-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width=150]] || ||<-5> [[노벨생리학·의학상/수상자|{{{#fff '''수상자 전체 목록 보기'''}}}]] || || 1932년 ||<|2> → || 1933년 ||<|2> → || 1934년 || || [[찰스 스콧 셰링턴]][br] 에드거 더글러스 에이드리언[* [[뉴런]]의 기능 발견.] || '''토머스 헌트 모건''' || 조지 호이트 휘플[br]조지 리처드 마이넛[br]윌리엄 패리 머피[* [[빈혈]]에 대한 간 치료법 발견] || ||<-2> '''ForMemRS[br]{{{+2 Thomas Hunt Morgan}}}[br]토머스 헌트 모건'''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576px-Thomas_Hunt_Morgan.jpg|width=100%]]}}} || ||<|2> '''출생''' ||[[1866년]] [[9월 25일]]|| ||[[미국]] [[켄터키 주]] 렉싱턴|| ||<|2> '''사망''' ||[[1945년]] [[12월 4일]] (향년 79세)|| ||[[미국]] [[캘리포니아 주]] [[패서디나]]||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직업''' ||생물학자|| || '''분야''' ||[[유전학]], [[발생학]]|| ||<|2> {{{#white '''학력'''}}} ||[[켄터키 대학교]] {{{-3 (자연사 B.S. 1886년 / 동물학 M.S. 1888년)}}}|| ||[[존스 홉킨스 대학교]] {{{-2 (발생학 Ph.D. 1890년)}}}|| || '''수상''' ||[[National Academy of Sciences|NAS]] 회원 {{{-2 (1909)}}}[br][[왕립학회]] 외국인 회원 {{{-2 (1919)}}}[br][[노벨생리학·의학상]] {{{-2 (1933)}}}[br]코플리 메달 {{{-2 (1939)}}}|| || '''종교''' ||[[무종교]]([[무신론]])|| || '''서명''' ||[[파일:Thomas_Hunt_Morgan_signature.svg|width=200&bgcolor=#fff]]||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생물학자. [[초파리]]를 이용하여 [[유전자]]와 [[염색체]]의 관계를 밝힌 공로로 [[노벨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 생애 == 1866년 [[미국]] [[켄터키주]]의 [[렉싱턴(도시)|렉싱턴]]에서 태어났다. [[켄터키 대학교]]와 [[존스홉킨스 대학교]]에서 각각 동물학과 생물학을 전공했으며 1904년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에 취임하였다. 1928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의 윌리엄 켈크호프 연구소장으로 취임했으며, 1927년부터 1931년까지 [[National Academy of Sciences|미국 과학아카데미]] 회장으로 지냈다. 1933년 유전자와 염색체의 관계를 밝혀 노벨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https://www.caltech.edu/map/milestone/59]]][* [[https://library.caltech.edu/c.php?g=1245981&p=9125388]]][* [[https://calteches.library.caltech.edu/617/2/Goodstein.pdf]]] 그 뒤 1942년 연구소장 자리에서 물러난 뒤 1945년 급성출혈로 사망했다. == 연구 == 당시 [[멘델]]이 제시한 유전법칙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었는데 모건은 멘델의 유전법칙을 부정하는 연구원이었다. 그는 유전과 관련된 현상은 실험적으로 증명해야 한다고 생각해서 1908년 동물의 [[눈(신체)|눈]]은 어두운 곳에 계속 있으면 퇴화될 것이라는 가정을 한 채 [[초파리]]를 어둠상자에 넣는 실험을 했다. 하지만 이 실험은 실패로 돌아갔다. 어둠상자 대신에 초파리에게 [[방사선]]을 쪼이는 등 여러 현상들을 실험하는 도중에 [[돌연변이]] 개체[* 보통 초파리의 눈 색깔은 빨간색이지만 돌연변이는 하얀색이다.]를 발견했다. 그는 그 즉시 돌연변이 개체와 정상 개체를 교배시켰지만 그들의 2세는 모두 정상적인 눈 색깔이었다. 그는 실망했으며 우연히 정상 개체와 정상 개체를 교배시켰는데 놀랍게도 그들의 2세 중 1/4이 돌연변이 개체인 것이었다. 그는 이 실험을 통해 [[X염색체]]에는 [[열성]]의 흰 눈동자 유전자가 있음을 확신했다. 이를 통해 유전자는 염색체에 줄처럼 정렬되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으며 이를 응용하여 [[염색체 지도]]를 고안해냈다. == 여담 == * [[생명과학1]]에서 배우는 [[연관]]에서 모건의 실험이 언급된다. * [[노벨상]]을 수상하고 받은 상금을 그의 제자들과 나누어 가졌다. [[분류:미국의 생물학자]][[분류: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자]][[분류:1866년 출생]][[분류:1945년 사망]][[분류:렉싱턴(켄터키) 출신 인물]][[분류:켄터키 대학교 출신]][[분류:존스 홉킨스 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컬럼비아 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