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김씨]][[분류:황해도를 본관으로 하는 성씨]] ||<-2> {{{#!wiki style="margin: -15px -10px" || '''{{{#000 {{{+1 兎山 金氏}}}[br]{{{+1 토산 김씨}}}}}}''' ||}}} || || '''{{{#FFF 관향}}}''' ||[[황해도]] [[토산군]] || || '''{{{#FFF 시조}}}''' ||김부윤(金富允) || || '''{{{#FFF 중시조}}}''' ||김광우(金光佑) || || '''{{{#FFF 집성촌}}}''' ||[[황해도]] [[토산군]] || || '''{{{#FFF 인구}}}''' ||44명^^(2015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황해도]] [[토산군]](현 [[황해북도]] [[토산군]])[* 다만 우리나라는 [[북한]]의 행정구역을 인정하지 않는다.]을 본관으로 두고 있는 [[한국의 성씨]]. == 역사 == 시조 김부윤(金富允)은 [[김알지]]의 후예로 [[충렬왕]] 때 도첨의 찬성사(都僉議 贊成事)를 지냈다.[*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 다만 문헌이 없어 가문의 자세한 세계(世系)와 본관이 어딘지 몰랐다. 그러나 후손들은 김부윤을 시조로 삼고, 토산(兎山)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다. 후손 김일선(金一善)의 본관은 본래 토산이였는데, [[평안남도]] [[성천군]] 통선에 거주하며 월성 김씨(月城 金氏)로 본관을 바꾸었다고 전해진다. 「월성김씨무진보(月城金氏戊辰譜)」에는, 중시조 김광우는 문장 실력과 학문의 수행으로 꽤 유명했고, 차남인 김계안(金季安)과 손자 김거물(金巨物)은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역임했다고 전해진다. 한편 어모장군(禦侮將軍)이란 작위를 지닌 김중보(金重寶)의 아들 김지현(金智賢)은 효성으로 관서대현(關西大賢)으로 일컬어졌고, 또한, 1615년([[광해군]] 7년)에 정려(旌閭)를 특사(特使) 받았다. == 인구 == 1985년에는 15가구 80명, 2000년에는 46가구 168명이었다가, 2015년 44명으로 확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