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요타|[[파일:토요타 로고.svg|width=1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toyota.pro-motors.ru/toyota-631-1.jpg|width=100%]]}}} || || {{{#ffffff '''VISTA'''}}} || [목차] '''Toyota Vista''' '''トヨタ ・ ビスタ''' == 개요 == [[토요타]]에서 1982년부터 2003년까지 생산한 일본 내수시장용 [[토요타 캠리]]의 변형모델. [[토요타 캠리]]보다 약간 윗급이면서도 [[토요타 마크 Ⅱ]]보다는 약간 낮은 그레이드의 틈새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여담으로 비스타는 토요타의 옛 딜러망 명칭이기도 하며, [[토요타 윌 시리즈|윌 브이아이/윌 브이에스/윌 사이파]]가 한때 이곳에서 판매되었다. == 역사 == === 1세대 (1982~1986) === ||[[파일:비스타1-1.jpg|width=100%]]||[[파일:비스타1-2.jpg|width=100%]]|| || 전기형 세단 || 후기형 리프트백 || 1982년 4월에 캠리의 변형모델로 출시된 초대 비스타는 캠리와 같은 직렬 4기통 1,800cc 엔진과 5단 수동변속기를 맞물렸다. 따라서 캠리와 함께 비스타도 토요타의 첫 가로배치 전륜구동차라는 의의를 남겼다. 1956년에 제작된 퍼블리카의 프로토타입인 토요타 1A에서 처음 시도하고, 1978년의 [[토요타 터셀]]/[[토요타 코르사|코르사]]에서 처음 양산한 세로배치 전륜구동에 이어 가로배치 전륜구동을 캠리/비스타를 통해 자사 최초로 데뷔시켰다. 트림은 VC, VL, VE, VX로 각 트림에 붙은 V는 Vista의 머릿글자였다. 전면 라디에이터 그릴 하단에 차명인 VISTA가 붙은 게 특징이고, 수출형은 [[토요타 캠리|캠리]]로 판매되며 그릴 하단의 VISTA 대신 TOYOTA 글자가 붙었다. 따라서 일본 국내에서는 비스타라는 이름으로, 해외에서는 캠리로 팔리게 된다. 당시 일본차에서는 보기 드물었던 뒷좌석 3점식 안전벨트를 장착했고, VE와 VX 트림에는 파워윈도우도 장착되었다. 당시 TV 광고모델은 [[타키가와 유미]](多岐川裕美)였다. 1982년 8월에는 1981년 도쿄 모터쇼에 출품한 [[https://i.wheelsage.org/pictures/t/toyota/f120_concept/toyota_f120_concept_1.jpeg|F120 콘셉트]]의 양산형으로 5도어 리프트백이 추가되었다. 리프트백은 세단보다 지붕이 낮은 것이 특징이었다. 2S-ELU형 2,000cc 엔진이 추가되었으며, 기존의 1,800cc 엔진 사양에 4단 자동변속기를 추가했다. 1983년 8월에는 1C-TL형 1,800cc 터보디젤 엔진도 추가되었다. 1984년 6월에 [[기타노 타케시]](北野 武)를 광고모델로 내세운 마이너체인지 버전이 출시되었는데, 그릴 하단의 VISTA 글씨를 중앙에서 오른쪽으로 옮겼다. 그리고 2.0L 3S-GELU형 스포츠 트윈 캠 엔진이 추가되어 2.0 VS 트윈캠 및 2.0 VX 트윈캠 트림이 신설되었다. 1985년 3월에는 4도어와 5도어 모두 "그랜드 엑스트라"라는 특별 사양이 추가되었고 그 해 8월에는 터보디젤엔진의 배기량이 2,000cc로 증가했다. 여담으로 [[https://i.wheelsage.org/pictures/t/toyota/vista_hatchback/toyota_vista_hatchback_4.jpeg|디지털 속도계]]도 제공했었다. === 2세대 (1986~1990) === ||[[파일:external/img.favcars.com/toyota_vista_1986_pictures_1.jpg|width=100%]]||[[파일:external/img.favcars.com/toyota_vista_1986_wallpapers_1.jpg|width=100%]]|| || 비스타 세단 || 비스타 하드탑 || 1986년 8월에 출시된 2세대는 인기가 없었던 1세대를 재구성해 대폭 개선한 모델이었다. 이번에도 캠리와 같은 2,000cc 트윈캠 엔진을 썼다. 그나마 인기가 있었던 5도어 리프트백이 사라지는 대신 일본 내수 전용 모델로 당시 유행하던 4도어 하드탑이 추가되었다. 하드탑 모델의 스타일링은 같은 시기의 [[토요타 카리나|카리나 ED]]와 [[토요타 마크 Ⅱ|마크 Ⅱ]]의 영향을 받았다. 스포티 모델인 GT에는 3S-GE형 스포츠 트윈캠 엔진이 장착되었다. 세단형의 수출은 [[토요타 캠리|캠리]] 이름을 쓰되 일본 내수형 비스타와 같은 디자인을 썼다. 1987년에는 VL 엑스트라 트림을 기반으로 파워윈도우와 집중 도어 잠금장치를 추가한 "ETOILE" 사양이 추가되었고, 그 해 10월에는 처음으로 2.0L [[4WD]] 사양이 VR 및 VL 엑스트라 5단 수동변속기 장착 모델에 추가되었다. 1988년 8월에 마이너체인지를 거쳐 전후면 디자인을 변경했다. 1.8L 엔진이 트윈캠이 장착된 4S-Fi형으로 개선되었고 4WD 모델에 자동변속기가 추가되었다. 1989년 5월에는 특별사양인 "ETOILE V"가 추가되었고, 그 해 6월에는 최상위 트림인 VX에 "VX 리미티드"라는 특별사양을 추가했다. === 3세대 (1990~1994) === ||[[파일:external/img.favcars.com/toyota_vista_1990_wallpapers_1.jpg|width=100%]]||[[파일:external/s.auto.drom.ru/80400.jpg|width=100%]]|| || 비스타 세단 || 비스타 하드탑 || 1990년 7월에 출시되었고, 이번 세대에도 세단과 하드탑 라인업을 운용했다. 기존의 모습을 유지하는 콘셉트을 적용하면서도 숫자에 집착하지 않고 [[렉서스 LS|토요타 셀시오]]의 설계 노하우를 반영하는 등 감성품질을 중점으로 두어 개발되었다. 게다가 개발 시기가 버블 경제 시기여서 차량 개발에 더 신경을 쓸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차량의 품질 및 내구성이 좋았으며, 고급스러운 디자인 역시 호평을 받았다. 당시의 하드탑 자동차 붐과 버블 경기를 타고 중~노년층을 중심으로 많이 판매되었다. 엔진은 직렬 4기통 4종류가 준비되었고, 3S-FE형 2.0L 트윈캠과 3S-GE형 2.0L 스포츠 트윈캠, 4S-FE형 1.8L 트윈캠, 2L-TE형 디젤 터보가 있었다. 변속기는 이전 세대처럼 5단 수동 또는 4단 자동과 맞물렸고, 구동방식 역시 4륜구동을 선택사양으로 제공했다. 트림은 GT, VX, VR, ETOILE, VE, VL이 있었다. 차체 색상은 7가지였다. 1991년 5월에 VX 트림에 가죽시트 옵션을 추가했고, 그 해 12월에는 2세대에서도 운영했던 VX 리미티드 사양을 추가했다. 1992년 7월에는 전후면 디자인과 직물시트의 디자인을 변경한 마이너체인지를 거쳤다. VX 트림에 새로운 디자인의 14인치 플라스틱 휠캡이 적용되었고, 3S-FE형 트윈캠 엔진을 탑재한 VX 투어링 패키지가 기존의 GT 트림을 대체했다. 측면 충돌 시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사이드 도어 빔이 전 차량에 기본 장착했고, 차체 색상 라인업이 대폭 변경되어 8가지를 제공했다. 비스타 하드탑의 경우, 연식에 따라 그릴 디자인이 조금씩 다르다. 일부 차량은 그릴 라이트가 부착되었으며, 일부 차량은 일반적인 크롬 그릴이 부착되었다. === 4세대 (1994~1998) === [[파일:external/img.favcars.com/pictures_toyota_vista_1994_1.jpg|width=550]] 1994년 7월에 출시된 4세대는 버블경제 붕괴 이후에 설계된 탓에 실용적이고 비용 중심적으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초음파로 빗방울을 제거하는 사이드 미러, 안전벨트 버클 조명 등 여러 장비가 삭제되었다. 대신 휠베이스를 50mm 늘려 실내공간이 넓어졌다. 또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3C-T형 2.2L 터보디젤 엔진을 장착한 4WD 모델이 존재했다. 차체 색상은 7가지가 있었다. 1996년 5월에 외관 디자인을 변경하는 마이너체인지를 거쳤다. 같은 시기에 데뷔한 [[토요타 입섬|입섬]]에 맞게 1.8L 및 2.0L 엔진이 개량되었다. 광고모델로는 [[타무라 마사카즈]](田村正和)를 기용했고, 4세대는 [[토요타 코롤라|코롤라 세레스]], [[토요타 스프린터|스프린터 마리노]]와 함께 [[토요타]]의 5넘버 차량 최후의 하드탑 장착 차량이 되었다. === 5세대 (1998~2003) === ||[[파일:external/img.favcars.com/photos_toyota_vista_1998_1.jpg|width=100%]]||[[파일:external/img.favcars.com/images_toyota_vista_1998_1.jpg|width=100%]]|| || 비스타 세단 || 비스타 아르데오 전기형 || 1998년 7월에 출시된 5세대는 체급을 낮추고, 기존 캠리와의 관계를 청산하고 동 시대의 [[토요타 프리우스|프리우스]]에 쓰이는 MC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독립 모델로 전환했다. 따라서 캠리는 3넘버 기준으로 몸집을 키웠지만 비스타는 5넘버 기준을 유지했다. 일본 내수 전용으로 판매되었고, 4세대까지 있었던 하드탑을 삭제하는 대신 왜건 버전인 아르데오(Ardeo)가 등장했다. 엔진은 1.8L와 2.0L 가솔린이 있었고, 이전에 있던 5단 수동변속기가 삭제되어 4단 자동변속기만 남았으며, [[미니밴]] 시장을 의식해 세단과 왜건 모두 칼럼시프트 형태로 장착했다. 계기판을 대시보드 중앙으로 옮겼고,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를 장착했으며, 막대그래프식 타코미터를 상위 트림에 기본 장착했다. 차체 색상은 7가지가 있었다. 1998년 12월에는 전용 색상을 입힌 특별사양 "ExcellentEdition"이, 1999년 1월에는 세단 모델에 에어로파츠를 적용한 특별사양 "ActiveSports"가 추가되었고, 그 해 7월에는 엑설런트 에디션 특별사양을 "ExcellentEditionV"라는 사양으로 대체하면서 6인승 다목적 벤치시트를 추가했다. 2000년 4월에 전후면 디자인을 변경하는 마이너체인지를 거쳤다. 1ZZ-FE형 1.8L 엔진의 출력이 향상되었고, 다목적 벤치시트가 세단과 왜건 모두 정식으로 추가되었다. 차체 색상은 기존 색상 2개를 삭제하고 새로운 색상 1개를 추가해 6가지를 제공했다. 그 해 12월에는 후기형 모델에도 엑설런트 에디션 특별사양이 추가되었다. 2001년 8월에는 2.0L 3S-FSE형 엔진이 1AZ-FSE형 직분사 엔진으로 대체되었고, 2002년 4월에는 직분사 모델에도 4WD가 추가되었다. 그리고 2002년 9월에 V패키지(세단), L패키지(아르데오)라는 특별사양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이번엔 코로나 프리미오와 판매간섭이 일어나면서, 판매는 여전히 바닥을 기었고, 마침내 2003년 7월, 비스타는 [[토요타 프레미오|프레미오]]에게 자리를 내주고 단종되었다. 토요타에서는 단종된 비스타를 대체하기 위해 2003년 10월에 영국산 [[토요타 어벤시스|어벤시스]]를 수입해 한동안 프레미오와 병행판매했다. 이에 따라 비스타는 완전히 단종되고 21년간의 비스타 역사도 막을 내리게 되었다. 2004년에는 이 차량의 이름을 딴 비스타 대리점도 넷츠 대리점에 통합되면서 사라졌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토요타의 차량)] == 관련 문서 == * [[토요타 캠리]] [[분류:토요타/생산차량]][[분류:1982년 출시]][[분류:2003년 단종]][[분류:중형 세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