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죠죠의 기묘한 모험에 나오는 스탠드, rd1=토킹 헤드)] [Include(틀:토킹 헤즈)] ||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40%, #a09e90)" '''{{{#!html 토킹 헤즈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width=60]] {{{+1 '''[[로큰롤 명예의 전당|{{{#DAA520 로큰롤 명예의 전당}}}]] {{{#DAA520 헌액자}}} ''' }}} || ||<-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0C0000>'''{{{#ffd700 이름}}}'''||<:><#0C0000>'''{{{#ffd700 토킹 헤즈[br]TALKING HEADS}}}'''|| || '''{{{#ffd700 헌액 부문}}}''' || '''{{{#ffd700 공연자 (Performers)}}}''' || ||<:><#0C0000>'''{{{#ffd700 멤버}}}'''||<:><#0C0000>'''{{{#ffd700 티나 웨이머스, 크리스 프란츠, 데이비드 번, 제리 해리슨}}}'''|| ||<:><#0C0000>'''{{{#ffd700 입성 연도}}}'''||<:><#0C0000>'''{{{#ffd700 2002년}}}'''|| ||<:><#0C0000>'''{{{#ffd700 후보자격 연도}}}'''||<:><#0C0000>'''{{{#ffd700 2002년}}}'''|| ||<:><#0C0000>'''{{{#ffd700 후보선정 연도}}}'''||<:><#0C0000>'''{{{#ffd700 2002년}}}'''||}}}}}}}}} || ---- [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 ---- [include(틀:역대 그래미 평생 공로상 수상자)] ---- [include(틀:UCR 선정 가장 위대한 미국 밴드)] ---- [include(틀:이브닝 스탠더드 선정 25대 미국 록밴드)]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아티스트)]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1970년대 아티스트,순위=34)]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80년대 최고 아티스트)] ---- [Include(틀:스핀 매거진 선정 가장 위대한 뮤직비디오 아티스트 40)] ---- }}} ||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Talking_Heads_Remain_in_Light_band_logo.svg.png|height=20]] ||{{{#373435 '''{{{+1 토킹 헤즈}}}'''[br]{{{-1 Talking Heads}}}}}}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alkingHeads.jpg|width=100%]]}}} || ||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 ||<|2> '''결성''' ||[[1974년]] || ||[[미국]] [[뉴욕 주]] [[뉴욕 시]] || || '''데뷔''' ||[[1977년]] || || '''데뷔 앨범''' ||[[Talking Heads: 77]] || || '''해체''' ||[[1991년]][* 정확히는 [[1988년]]에 [[Naked]] 앨범을 낸 후 바로 해체하였으나, 공식적으로 해체하였다고 발표된 것은 1991년이다.] || ||<|4> '''멤버'''[* 위 사진에서는 왼쪽부터 티나 웨이머스, 크리스 프란츠, 데이비드 번, 제리 해리슨이다.] ||[[데이비드 번]] || ||크리스 프란츠 || ||티나 웨이머스 || ||제리 해리슨 || || '''장르''' ||[[뉴웨이브(음악)|뉴웨이브]], [[포스트 펑크]] || || '''레이블''' ||사이어, [[워너 브로스]] || [목차][clearfix] == 개요 == [[1974년]]에 결성된 [[미국]]의 전설적인 [[뉴웨이브(음악)|뉴웨이브]], [[포스트 펑크]] 밴드. 활동 기간 동안의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시도들로 대중음악사에 거대한 족적을 남겼다. 밴드 이름은 말하는 사람의 얼굴이 텔레비전 가득히 잡히는 1인 샷을 지칭하는 영상 용어에서 따왔다. == 역사 == === 결성 ~ 데뷔 === 로드아일랜드 디자인학교 학생이었던 [[데이비드 번]]이 크리스 프란츠와 아티스틱스(The Artistics)라는 그룹을 결성하면서 시작되었다. 1974년 아티스틱스 해체 이후 같은 학교 학생이었던 티나 웨이머스가 매니저로 합류했고 이후 뉴욕으로 이주했다. 뉴욕에서 마땅한 베이시스트를 찾을 수 없었던 셋은 티나를 베이시스트로 영입하기로 하고 뉴욕 이스트사이드 부근에서 리허설과 작곡을 틈틈히 하며 정착해갔다. 밴드 이름을 토킹 헤즈로 정한 것도 이 무렵이다. 1975년 초중반 [[패티 스미스]], [[텔레비전(밴드)|텔레비전]] 등이 주로 활동했던 CBGB 클럽에서 [[라몬즈]]의 서포트 밴드로 첫 라이브 무대에 오른 토킹 헤즈는 1976년 데모 테이프를 녹음하며 사이어 레코드와 계약을 맺었다. 이후 [[모던 러버스]]의 [[기타리스트]]였던 제리 해리슨이 들어오며 라인업이 완성되었다. 4인 체제가 완성된 토킹 헤즈는 1977년 첫 LP인 [[Talking Heads: 77]]를 발매하며 데뷔했다. === 데뷔 이후 === 이후 프로듀서 [[브라이언 이노]]를 만나 [[1978년]] "[[More Songs About Buildings and Food]]", [[1979년]] "[[Fear of Music]]", 80년 "[[Remain in Light]]"를 연이어 발표했다. 초기에는 '''펑키하면서도 약간 시니컬한 펑크 팝'''을 추구했지만 브라이언 이노가 들어서면서 아프로비트와 다양한 음악요소들이 섞이면서 독자적인 세계를 완성해 갔다. 특히 [[Remain in Light]]는 펑크 록과 아프로비트의 결합으로 토킹 헤즈 최고의 명작으로 평가받는다. Remain in Light 발매 이후 토킹 헤즈는 휴지기에 돌입했다. 티나와 크리스 부부는 탐 탐 클럽(Tom Tom Club)이라는 밴드를 조직해 활동했고, 데이비드 번은 이노와 함께 합작 앨범을 발매했다. 1983년 이노가 [[U2]]의 프로듀싱을 맡느라 참여하지 못했을 때 멤버 스스로 프로듀싱한 5집 [[Speaking in Tongues]]를 발매했다. 싱글 Burning Down the House가 대중적으로 성공했고, 앨범 발매 투어를 [[조나단 드미]] 감독이 촬영하여 라이브 실황 [[스탑 메이킹 센스]]라는 이름으로 공개했다. 1985년 발매된 [[Little Creatures]]는 특유의 실험적인 아프로비트는 줄어든 대신 부드럽고 낭만적인 곡들로 이루어져 있어 토킹 헤즈 디스코그래피에서 가장 대중적인 음반으로 평가받는다. === 해체와 그 후 === 이러한 음악적 성과와는 별개로 밴드 내부는 리더인 데이비드 번의 독재 기질 때문에 멤버들 간의 불화가 매우 극심했다. 데이비드 번은 앨범의 컨셉이나 작곡, 심지어는 무대 연출까지 본인 위주로 하려는 경향이 있었는데, 번 못지않게 음악적 야심과 재능이 있었던 티나와 티나의 남편인 크리스 프란츠 부부 간의 불화가 심각했다고 한다. 번은 휴지기 동안 티나와 크리스의 사이드 프로젝트였던 탐탐 클럽 활동에도 불만을 표시했다고. 하지만 번 본인도 [[사카모토 류이치]]나 [[브라이언 이노]]와 합작하거나 오페라 작곡에 참여하는 등 밴드 외부 활동을 하고 있었다. 결국 1991년 해체하였는데 정확히는 1988년 마지막 앨범인 [[Naked]] 발매 직후 밴드는 해체했지만,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았다. 3년이 지난 1991년이 돼서야 해체를 발표한 것이다. 1996년 번을 제외한 나머지 세 멤버가 더 헤즈(The Heads)라는 이름으로 활동했지만 큰 파장을 일으키지는 못했다. [[2002년]] 토킹 헤즈는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어 해체 이후 처음으로 전 멤버들이 다시 모여 Life During Wartime, [[Psycho Killer]], [[Burning Down the House]]를 연주했다. 하지만 2002년 헌정 공연 직후에도 '같이 공연할 일 없을 것이다.' '친구로는 상종 못할 인간' 같은 상당히 험악한 디스가 잡지 인터뷰에서 날아다니는 등, 지난날의 앙금은 그대로 남아있는 듯 보인다. 실제로 2002년 이후 공식 석상에서 완전체로 모인 적은 2023년 이전까지 단 한번도 없으며, 한창 지난 2010년대에도 티나, 크리스, 제리는 같이 다니지만 번하고는 어울리지 않는다. 2021년 크리스 프란츠의 회고록인 Remain in Love가 발간되었다. 2023년 [[Stop Making Sense]] 재개봉 홍보 대담으로 오래간만에 다시 완전체로 뭉쳤다. == 영향력 == [[포스트 펑크]]와 [[뉴웨이브(음악)|뉴웨이브]]라는 장르를 논할 때 절대 빠지지 않는 밴드 중 하나로, 현 시대의 인디 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밴드이다. 영미권에서는 인지도가 매우 높다. 이 때문인지 요즈음에도 리더인 데이비드 번이 코첼라와 같은 큰 페스티벌에 헤드라이너로 무대에 오르는 경우가 많다. [[라디오헤드]]가 이들의 [[1986년]]작 "True Stories"에 있는 "Radio Head"라는 곡에서 밴드명을 따왔으며, 실제로 팬이라고도 한다.[* 톰 요크가 몸을 비틀거나 춤을 추는 라이브 퍼포먼스는 데이비드 번의 라이브 퍼포먼스와 매우 유사하다.][* 데이비드 번 또한 라디오헤드의 팬임을 공공연히 자처하여, [[Kid A]]를 극찬하거나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라디오헤드가 헌액될 당시 직접 사회를 맡아서 수여하기도 했다.] 그 외에 [[R.E.M.]] 등의 밴드 역시 이들의 영향을 받았으며, 2000년대 인디 록 장르에도 지대한 영향을 남겼다. 그들에게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밴드로는 [[뱀파이어 위켄드]], [[LCD 사운드시스템]], [[아케이드 파이어]][* Naive Melody를 커버하기도 했다.]가 거론된다. [[장기하]]도 이들의 대단한 팬. [[1984년]] [[양들의 침묵]]으로 유명한 조너선 드미가 [[1983년]] 말에 [[할리우드]]에서 열린 이들의 공연을 찍어 "[[스탑 메이킹 센스]]"라는 영화를 만들었는데, 여기서 [[오케이 고]]의 [[러닝 머신]]댄스를 볼수 있는 "[[http://www.youtube.com/watch?v=dTAAsCNK7RA|Here We Go Again]]", [[장기하와 얼굴들]]의 "[[http://www.youtube.com/watch?v=18wRCK48r3M|달이 차오른다, 가자]]"의 특이한 안무가 어디서 나왔는지 알수가 있다. "[[http://www.youtube.com/watch?v=obAtn6I5rbY|Life During Wartime]]", "[[http://www.youtube.com/watch?v=UD_2O3EurDQ|트레일러 영상]]" 토킹 헤즈에 대해 이야기할 때면 프론트맨 데이비드 번의 천재성이 언제나 가장 먼저 이야기되곤 하지만, 다른 멤버들의 밴드에 대한 영향력 또한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번의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구체적인 음악적 결과물로 실현될 수 있었던 것에 대한 그들의 공헌은 분명하다. 티나 웨이머스는 토킹 헤즈하면 떠오르는 통통 튀는 베이스 리듬을 만들어낸 장본인이며, 크리스 프란츠 역시 웨이머스와 함께 토킹 헤즈의 복잡하고 혁신적인 리듬을 구성하는 데에 큰 기여를 했다.[* 대표적으로 그들의 최고의 곡 중 하나인 "Psycho Killer"의 상징적인 베이스 리프는 웨이머스의 작품이다.] 제리 해리슨은 프로토 펑크의 개척자인 모던 러버즈 출신으로, "Once in a lifetime"의 신디사이저 멜로디를 생각해낸 것이 바로 그이다. [[올리버 스톤]]의 2008년 작 [[더 프레지던트]]의 예고편에 '[[Once in a Lifetime]]'이 삽입곡으로 들어갔다. [youtube(weELpc3pYMs)] 또한 마이크 밀스의 2016년 작 [[우리의 20세기]]에 Don't Worry About The Government와 The Big Country가 사운드트랙으로 들어갔다. 밑의 예고편 중반에서도 The Big Country를 들을 수 있다. [youtube(LfLNB8FASKk)] 해외 직구는 [[이베이]] 등지에서 당시 오리지널 LP를 비싸지 않은 가격에 구할 수도 있다. 재발매 LP는 [[아마존닷컴]]에서도 판다. CD는 절대 '''미국 재발매반이 아닌, 80년대에 나온 원반이나 영국이나 유럽에서 나온 CD+DVD[* PAL/2다. 컴퓨터나 멀티시스템 DVD/BD 플레이어에서만 재생이 가능하다.] 버전으로''' 사길 바란다.[* 미국반은 듀얼 디스크 인식에 문제가 많다고 한다.] [[MGMT]]가 [[http://www.youtube.com/watch?v=oEqZL995rBc|이들의 곡을 커버한 적]]이 있다. [[리버틴즈]]의 [[피트 도허티]]가 이들의 곡 [[Psycho Killer]]를 부른 적이 있다. 한국 팬 블로그 및 정보 사이트도 있다.[[http://talkingheads.net|링크]] == 디스코그래피 == === 정규 음반 === * [[Talking Heads: 77]] (1977) * [[More Songs About Buildings and Food]] (1978) * [[Fear of Music]] (1979) * [[Remain in Light]] (1980) * [[Speaking in Tongues]] (1983) * [[Little Creatures]] (1985) * [[True Stories]] (1986) * [[Naked]] (1988) === 라이브 앨범 === * The Name of This Band is Talking Heads (1982) * [[Stop Making Sense]] (1984) === 컴필레이션 앨범 === * Once in a Lifetime: The Best of the Talking Heads (1992) * Sand in the Vaseline: Popular Favorites (1992) * Once in a Lifetime (2003) * The Best of Talking Heads (2004) * Talking Heads (2005) * Bonus Rarities and Outtakes (2006) * The Collection (2007) * Same as It Ever Was (2009) == 출연 작품 == * [[스탑 메이킹 센스]] (1984) * [[트루 스토리스]] (1986) [[분류:토킹 헤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