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트넘 홋스퍼 FC 감독)]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5px; padding: 23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0%, #fff), repeating-linear-gradient(to right, #fff 0%, #fff)" {{{#!wiki style="float: left" [[나이키|[[파일:나이키 로고.svg|width=40]]]]}}}{{{#!wiki style="margin-top: -12px; float: right" [[토트넘 홋스퍼 FC|[[파일:토트넘 홋스퍼 로고(2).svg|width=20]]]]}}}{{{#!wiki style="margin:-5px -10px; float: center" [[토트넘 홋스퍼 FC|{{{#0b1c56 '''토트넘 홋스퍼 FC'''}}}]][br]{{{+3 '''콘테 체제'''}}}}}}}}} || ||<-2> [[안토니오 콘테|{{{#!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kysports-tottenham-antonio-conte_5568799.jpg|width=100%]]}}}]] || ||<-2> [[안토니오 콘테|{{{#black,#white '''{{{-1 제45대 감독}}}[br]안토니오 콘테'''}}}]] || || '''감독'''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출력= )] [[안토니오 콘테]] ,,/ 제45대 감독 (2021~2023),,[br][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출력= )] [[크리스티안 스텔리니]] ,,/ 제46대 감독 (대행, 2023),,[br][include(틀:국기, 국명=잉글랜드, 출력= )] [[라이언 메이슨]] ,,/ 제47대 감독 (대행, 2023),, || || '''주장'''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출력= )] [[위고 요리스]] ,,/ 제34대 주장,, || || '''코치'''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출력= )] [[크리스티안 스텔리니]] {{{-1 (수석 코치)}}}[br][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출력= )] [[잔루카 콘테]] {{{-1 (코치)}}}[br][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출력= )] [[지안니 비오]] {{{-1 (세트피스 코치)}}}[br][include(틀:국기, 국명=잉글랜드, 출력= )] [[라이언 메이슨]] {{{-1 (코치)}}}[br][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출력= )] [[스테파노 브루노]] {{{-1 (피트니스 코치)}}}[br][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출력= )] [[코스탄티노 코라티]] {{{-1 (피트니 코치)}}}[br][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출력= )] [[마르코 사보라니]] {{{-1 (골키퍼 코치)}}} || ||<|2> '''계약 기간''' ||[[2021년]] [[11월 2일]] ~ [[2023년]] [[3월 27일]][* 콘테호의 일부였던 [[라이언 메이슨]]의 대행 체제까지 포함 시 [[2023년]] [[6월 5일]]까지.][br]{{{-1 (16개월 / 510일)}}} || ||'''계약 종료''' {{{-2 (상호 합의 계약 해지)}}} || || '''연봉''' ||1500만 파운드 / 약 260억 원 {{{-2 (감독 / 추정치)}}} || || '''전술 스타일''' ||역습 축구[br]{{{-1 ┗ 구역 방어 (Zone Defense)[br]┗ [[3-4-3|3-4-3 포메이션]]}}} || || '''성적''' ||76전 40승 3무 23패 (승률 52.63%) || [목차] [clearfix] == 개요 == [[토트넘 홋스퍼 FC]]의 제 48대 감독 [[안토니오 콘테]] 체제를 정리한 문서. == 선임 과정 == 한국 시간 기준 [[2021년]] [[11월 2일]], [[안토니오 콘테]]가 토트넘의 새로운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 경질 과정 == 하지만 22-23 시즌 도중, 콘테 감독조차 이어지는 좋지 않은 성적과 경기력에 불만을 표하는 인터뷰를 하여 구단 수뇌부 및 선수단 일부까지와 마찰을 빚고 3월 27일 사임했다. 그 뒤로 그의 사단 수석코치인 [[크리스티안 스텔리니]]가 팀을 맡았지만 몇 경기 지나지 않아 [[뉴캐슬 유나이티드]]에게 '''1:6'''으로 '''대참패''' 당하며 감독의 대행마저 경질로 이어졌다. 이어 감독 대행의 대행이라는 파행적 운영 아래 [[라이언 메이슨]] 2년 만에 다시 팀을 이끌어 최종 8위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토트넘의 무관을 종식시키지도 못했고, 엎친데 덮쳐 리그 8위로 '''14년 만의 유럽대항전 진출 실패'''라는 아쉬운 기록을 남겼다. == 코칭스태프 == ||<-4> {{{#!wiki style="margin: -10px -10px -5px; padding: 23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0%, #fff), repeating-linear-gradient(to right, #fff 0%, #fff)" {{{#!wiki style="float: left" [[나이키|[[파일:나이키 로고.svg|width=40]]]]}}}{{{#!wiki style="margin-top: -12px; float: right" [[토트넘 홋스퍼 FC|[[파일:토트넘 홋스퍼 로고(2).svg|width=20]]]]}}}{{{#!wiki style="margin:-5px -10px; float: center" [[토트넘 홋스퍼 FC|{{{#0b1c56 '''토트넘 홋스퍼 FC'''}}}]][br]{{{+3 '''콘테 체제 {{{-3 / 코칭스태프}}}'''}}}}}}}}} || || {{{-1 {{{#373a3c,#ddd 감독}}}}}} || {{{-1 {{{#373a3c,#ddd 수석 코치}}}}}} || {{{-1 {{{#373a3c,#ddd 코치}}}}}} || {{{-1 {{{#373a3c,#ddd 코치}}}}}} || || [[안토니오 콘테|[[파일:콘테 프로필.png|width=100%]]]] || [[크리스티안 스텔리니|[[파일:706635.png|width=100%]]]] || [[지안니 비오|[[파일:57027669.png|width=100%]]]] || [[라이언 메이슨|[[파일:man55227.png|width=100%]]]] || || '''[[안토니오 콘테|{{{#ffffff {{{-2 안토니오}}}[br]콘테}}}]]''' || '''[[크리스티안 스텔리니|{{{#ffffff {{{-2 크리스티안}}}[br] 스텔리니}}}]]''' || '''[[지안니 비오|{{{#fff {{{-2 지안니}}}[br] 비오}}}]]''' || '''[[라이언 메이슨|{{{#ffffff {{{-2 라이언}}}[br] 메이슨}}}]]''' || || {{{-1 {{{#373a3c,#ddd 피트니스 코치}}}}}} || {{{-1 {{{#373a3c,#ddd 피트니스 코치}}}}}} || {{{-1 {{{#373a3c,#ddd 골키퍼 코치}}}}}} ||<|3>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width=40]] || || [[스테파노 브루노|[[파일:85140546.png|width=100%]]]] || [[코스탄티노 코라티|[[파일:836218.png|width=100%]]]] || [[마르코 사보라니|[[파일:304636.png|width=100%]]]] || || '''[[스테파노 브루노|{{{#ffffff {{{-2 스테파노}}}[br] 브루노}}}]]''' || '''[[코스탄티노 코라티|{{{#fff {{{-2 코스탄티노}}}[br] 코라티}}}]]''' || '''[[마르코 사보라니|{{{#fff {{{-2 마르코}}}[br] 사보라니}}}]]''' || == 활동 == === [[토트넘 홋스퍼 FC/2021-22 시즌|2021-22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토트넘 홋스퍼 FC/2021-22 시즌)] 부임 이후 [[NŠ 무라]]와의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UEFA 유로파컨퍼런스리그]] G조 5차전에서 2:1로 패배하고, 이후 코로나19로 인해 [[스타드 렌 FC|스타드 렌]]전 몰수패를 당하며 UEFA 유로파컨퍼런스리그 조별리그에서 탈락하였다. 그러나 [[프리미어 리그|프리미어리그]]에서 부임 이후 9경기 무패를 기록하며 토트넘 역대 감독 중 부임 후 리그 최장 무패 기록을 경신하였으며, 이는 [[1월 23일]] [[첼시 FC|첼시]]에게 2-0으로 패배하며 마감되었다. [[EFL컵|카라바오컵]]은 4강전에서 [[첼시 FC|첼시]]에게 합산 스코어 0-3으로 완패하며 4강에 머물렀다. 이후 성공적으로 팀의 주전으로 자리잡은 겨울 이적시장 영입생인 [[로드리고 벤탕쿠르]]와 [[데얀 쿨루셉스키]], 부활한 케인, 살라와 공동득점왕을 차지하게 되는 손흥민 등의 맹활약으로 토트넘은 다시 4위로 올라서며 3년만에 챔피언스리그에 복귀하는데 성공했다. 시즌 중도에 부임한 콘테가 이끄는 토트넘은 득점, 실점, 득실차를 모두 최상위권으로 끌어올려 4위 경쟁팀이던 맨유와 아스날에게서도 우위를 점했다. === [[토트넘 홋스퍼 FC/2022-23 시즌|2022-23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토트넘 홋스퍼 FC/2022-23 시즌)] 22-23 시즌 시작 전부터 구단주 [[조 루이스]]가 150m 파운드를 토트넘에 투자한다는 소식과 함께 구체적인 이적시장 플랜이 하나하나 짜여지고 있어 다음 시즌에 드디어 우승컵 하나쯤 들 수 있을 것이라 벌써부터 기대하는 서포터들도 존재한다. 그렇게 시작된 여름 이적 시장에서 [[인터 밀란]]에서 영입한 베테랑 풀백인 [[이반 페리시치]], 드디어 [[에버튼]]에서 구한 [[해리 케인]]의 백업인 [[히샬리송]]의 영입과 [[이브 비수마]] 등 재능있는 선수들을 대거 영입해 더블 스쿼드를 구축하였고, 방출 면에서도 [[지오바니 로셀소]]와 [[탕기 은돔벨레]](임대 이적)를 각각 [[비야레알]]과 [[나폴리]]로 보내며 현재 방출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 경기 결과 == == 공격 포인트 순위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토트넘 홋스퍼 FC/역사, version=163)] [[분류:토트넘 홋스퍼 FC/역대 감독]][[분류:토트넘 홋스퍼 FC/역대 시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