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의 공학자]][[분류:1961년 출생]][[분류:스페이스X]][[분류:베너와 카운티 출신 인물]][[분류:아이오와 대학교 출신]] ||<-3> '''{{{#white {{{+1 토머스 존 뮬러 }}} }}}''' [br] '''{{{#white Thomas John Mueller}}}'''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omasmueller0125_LoyolaMarymountUniversity.jpg|width=100%]]}}} || ||<|2> {{{#white '''출생'''}}} ||<-2>[[1961년]] [[3월 11일]] ([age(1961-03-11)]세) || ||<-2>[[미국]] [[아이다호주]] 세인트메리스 || ||<|2> {{{#white '''학력'''}}} ||<-2>[[아이다호 대학교]] {{{-2 (기계공학 학사, 1985년)}}} || ||<-2>Loyola Marymount University {{{-2 (기계공학 / 석사, 1992년)}}} || || {{{#white '''직업'''}}} ||<-2>[[로켓 공학자]] || ||<|3> {{{#white '''소속'''}}} ||<-2>(1987-2002년) [[노스롭 그루먼|TRW Inc.]] || ||<-2>(2002-2019년) [[스페이스X]] || ||<-2>(2021년- ) Impulse Space Propulsion || || {{{#white '''국적'''}}}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미국]] || || {{{#white '''주요 업적'''}}} ||<-2>[[스페이스X]] [[멀린 엔진]] 개발 || || {{{#white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lrocket, 크기=24)] | [[https://www.linkedin.com/in/thomas-mueller-2094513b?utm_source=share&utm_campaign=share_via&utm_content=profile&utm_medium=ios_app|[[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5]]]] || == 개요 == [[미국]]의 로켓 공학자. [[로켓]] 역사상 최고 성능[* 추력대 중량비 184]의 [[멀린 엔진]]을 개발하고 이를 탑재한 [[팰컨 9]] 발사체의 저렴한 발사 비용과 재착륙, 재사용을 가능케 하면서 오늘날의 [[스페이스X]]가 존재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 생애 == 나무 벌목으로 살아가는 미국 [[아이다호]] 주의 조그만 시골 마을에서 태어났으나 어린 시절부터 로켓에 매료되어 살았으며, 아이다호 대학교 졸업 후[* 집이 가난하여 근처 대학에 진학하였고 방학마다 고향으로 돌아와 벌목으로 돈을 벌었다.] 아이다호, [[오리건]] 등 주변 지역 기업들의 오퍼를 거절하고 항공우주 산업이 발전되어 있던 [[캘리포니아]]로 무작정 이주하여 로켓 업체 TRW에 취직, 거기서 [[인공위성]]과 로켓을 설계하였다. 회사 업무로는 성에 차지 않아 친구들과 '리액션 리서치 소사이어티'라는 로켓 동호회에 가입해 차고에서 로켓을 개발하며[* 오랜 벌목업 경험으로 용접과 금속 가공에 능숙하였다.] 80파운드 무게의 강력한 [[아마추어]] 로켓을 만들기도 했다. 이후 2002년 이 소문을 들은 [[일론 머스크]]와 만남을 가지며 [[스페이스X]] 최초의 발사체에 대한 계획을 세운 뒤 추진공학 책임자로 입사한다. 시기 상 공동창업자로 인정받을만도 했으나, 뮬러가 2년치 급여를 조건부 날인 증서로 보장해달라는 요구를 하자 이를 수락한 대신 리스크를 회피하려고 했기 때문에 단순 직원으로 취급되었다. == 기타 == * 1단인 멀린 엔진과 2단 케스트렐 엔진은 그가 직접 작명한 것이다. * 2022년 4월 10일, [[트위터]]에서 누군가 "[[일론 머스크]]가 로켓을 뭘 아느냐, 돈으로 사람 사서 부린거지"라고 말하자 "내가 18년 반 동안 함께 일해봐서 아는데 네가 틀렸다"라고 트윗을 남겼다. [[파일:Mueller tweet.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