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G]] 《[[매직 더 개더링]]》에 나오는 카드. [목차] [[칼라데시]] 블럭에 새로 등장한 미씩 유색 마법물체 생물 사이클. 각각 공통적으로 그 색을 상징하는 생물능력 하나와 ETB(전장에 들어올 때 격발되는) 능력을 하나씩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과거 [[Magic 2011 Core Set]]때의 거신 사이클의 마법물체 버전. 사실상 칼라데시 차원에서 걸작으로 취급받는 거신병 발명품들이라 이들 톱니거신병은 노멀 버전과 마스터피스 버전이 동시에 등장하였다. == 격변의 톱니거신병 == || '''영어판 명칭''' || '''Cataclysmic Gearhulk''' ||<|6>[[파일:external/static.starcitygames.com/CataclysmicGearhulk.jpg]]|| || '''한글판 명칭''' || '''격변의 톱니거신병''' || || '''마나비용''' || {3}{W}{W}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마법물체 생물 — 자동기계 || ||<-2>[br]경계 격변의 톱니거신병이 전장에 들어올 때, 각 플레이어는 자신이 조종하는 대지가 아닌 지속물 중에서 마법물체, 생물, 부여마법, 플레인즈워커를 하나씩 선택한 후 나머지를 희생한다.|| || 공격력/방어력 || 4/5 || ||<-2>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2> [[칼라데시]] || 미식레어 || ||<-2> Masterpiece Series: Inventions || 미식레어 || ETB에 유사 [[비극을 부르는 자만심]]을 날려주는 거신병이다. 다만 비극을 부르는 자만심과는 다르게 상대방이 상대방 자신의 지속물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 단점. 이름에서 볼수 있듯이 원조는 구 한글판 시절의 [[대변동]](Cataclysm)이다. 대신 이쪽은 플레인즈워커라는 카드타입이 없던 시절의 카드이기때문에 플레인즈워커를 명시하지는 않고 있어서 새로나오는 톱니거신병에는 플레인즈워커도 희생범위에 들어간다. 하지만 역시 비극을 부르는 자만심과 달리 상대방은 상대방이 남길 지속물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과, [[엠라쿨]] 밴 전에는 이걸 손에 들고있었다는 거 자체가 자살행위나 다름이 없었기 때문에[* 엠라쿨이 나를 조종한다 → 조종당한 내가 백헐크를 꺼낸다 → 상대방은 상대방이 남길 것을 정하고 '''조종당하는 자신도 상대방이 남길 것을 정한다''' → ??? → PROFIT!!] 톱니거신병 최저가를 지키는 중. == 격류의 톱니거신병 == || '''영어판 명칭''' || '''Torrential Gearhulk''' ||<|6>[[파일:external/static.starcitygames.com/TorrentialGearhulk.jpg]]|| || '''한글판 명칭''' || '''격류의 톱니거신병''' || || '''마나비용''' || {4}{U}{U}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마법물체 생물 — 자동기계 || ||<-2>[br]섬광 격류의 톱니거신병이 전장에 들어올 때, 당신의 무덤에 있는 순간마법 카드를 목표로 정한다. 당신은 마나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그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가 이 턴에 당신의 무덤에 들어가려고 하면, 대신에 그 카드를 추방한다.|| || 공격력/방어력 || 5/6 || ||<-2>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2> [[칼라데시]] || 미식레어 || ||<-2> Masterpiece Series: Inventions || 미식레어 || 아무 때에나 들어오면서 무덤의 순간마법을 재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거신병이다. [[찰나의 마도사]]와 비슷한 스타일의 카드로, 컨트롤 덱 입장에서는 섬광은 환상적인 능력이고 무덤에 들어간 카운터 카드를 재활용해준다든가 하는 등의 이점을 부여하며, 심지어 본체가 5/6으로 튼튼하기 때문에 전투능력 또한 찰나의 마도사와는 비교가 안 된다. 발비가 6으로 청색이 쓰기에 비싸다는 점이 약점으로 지목되었으나, 실제로는 섬광+인스턴트 디나이얼 후 공격하는 생물 하나 방어, 섬광+[[천재적 발상]]으로 드로우 등의 기상천외한 사용법이 속속들이 개발되면서 점점 평가가 상승. 2016년 10월에 있었던 칼라데시 프로투어의 [[http://magic.wizards.com/en/events/coverage/ptkld/top-8-decklists-2016-10-15|탑8]] 중 세 개의 덱이 이 카드를 채용하였고, 결승전에 올라온 두 선수가 모두 이 카드를 채용했으며, ETB의 순간마법으로 [[얼음 속 괴수|둘리]]의 카운터를 제거하다가 둘리의 변신 능력으로 이 카드를 손으로 되돌려 재활용하는 콤보를 채용한 그릭시스 컨트롤 덱이 [[http://magic.wizards.com/en/events/coverage/ptkld/finals-carlos-romao-vs-shota-yasooka-2016-10-16|프로투어에서 우승]]한 이후 가장 활용도가 높은 톱니거신병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컨트롤 덱에 있어서 유일한 뒷심으로 활용되고 있기에 제스카이, UR다이너볼트, 그릭시스계열의 모든 헤비 컨트롤덱에서 고정으로 3~4장의 채용률을 보이고 있다. 사실상 등장 이후 한번도 주요 카드의 자리에서 한번도 내려온 적이 없다. 그래서 가격이 떨어지는 폭이 꽤 낮은 편. 칼라데시 부뜯이 지속되면서 가격이 천천히 내리다가 에테르 봉기가 출시될 즈음에 한번 더 가격이 올랐는데, 이것은 확장팩의 영향보다 비공식 포맷인 프론티어의 영향이 더 크다. 저 동네에서는 얘가 '''[[시간 발굴]]'''을 집어오기 때문에... 하위에서 쓸 수 있는 카드가 아니기 때문에 로테아웃 이후엔 바인더 안쪽에 잠들어 있었지만, [[파이어니어]] 포멧 발표를 계기로 다시 떡상했다. 역시 이 동네에서는 얘가 '''[[시간 발굴]]'''을 집어오기 때문(2). 컨트롤덱이면 시간발굴과 함께 2장정도는 들어가는 카드. [[매직 더 개더링 아레나]]에서는 칼라데시 리마스터 발매로 [[히스토릭]]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순간마법을 재활용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비록 히스토릭에 시간 발굴은 없지만... 6마나 타이밍에 떡대가 내려오면서 무덤을 손처럼 쓸 수 있다는 건 언제나 좋다. [[코어세트 2021]]에서 발매된 숭고한 깨달음[* 주문 1개 무효화, 활성화/격발 능력 1개 무효화, 비대지 지속물 1개 바운스, 내 생물 1개의 복사본인 토큰 만들기, 플레이어가 카드 한 장을 뽑게 만들기의 다섯 모드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4}{U}{U} 순간마법. 당연히 '''격류의 톱니거신병 자기 자신도 복사하여''' ETB 능력을 한 번 더 볼 수 있다.]과의 궁합은 최상이며, [[스트릭스헤이븐]]에서는 손에서 스스로 무덤으로 갈 수 있는데다 보물 램프까지 해주는 '''[[불타는 걸작]]'''까지 발매되어 카드풀은 전혀 꿀리지 않는다. 당연히 컨트롤이면 3장 이상 들어가는 카드. == 사악한 톱니거신병 == || '''영어판 명칭''' || '''Noxious Gearhulk''' ||<|6>[[파일:external/static.starcitygames.com/NoxiousGearhulk.jpg]]|| || '''한글판 명칭''' || '''사악한 톱니거신병''' || || '''마나비용''' || {4}{B}{B}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마법물체 생물 — 자동기계 || ||<-2>[br]호전적 사악한 톱니거신병이 전장에 들어올 때, 다른 생물을 목표로 정한다. 당신은 그 생물을 파괴할 수 있다. 이렇게 생물이 파괴되었다면, 당신은 그 생물의 방어력만큼 생명점을 얻는다.|| || 공격력/방어력 || 5/4 || ||<-2>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2> [[칼라데시]] || 미식레어 || ||<-2> Masterpiece Series: Inventions || 미식레어 || 로테아웃 당하는 [[용군주 실룸가르]]의 역할을 어느정도 커버해 줄 수 있는 거신병. 미묘하게 비싼 발비 때문에 흑색 쓰는 컨트롤덱에서 한장 정도 쓸까말까하는 미묘한 용도였으나 이런 류 카드의 천적인 엠라쿨이 밴당하고, 이걸 인스턴트로 나오게 해주는 [[발명의 소음]]의 등장으로 인하여 기대치가 살짝 오른 상황. --물론 저걸 뽑기 위한 발명의 소음은 급조 6UUU를 요구하는 입매직급 주문이지만....-- == 화염의 톱니거신병 == || '''영어판 명칭''' || '''Combustible Gearhulk''' ||<|6>[[파일:external/static.starcitygames.com/CombustibleGearhulk.jpg]]|| || '''한글판 명칭''' || '''화염의 톱니거신병''' || || '''마나비용''' || {4}{R}{R}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마법물체 생물 — 자동기계 || ||<-2>[br]선제공격 화염의 톱니거신병이 전장에 들어올 때, 상대를 목표로 정한다. 그 상대는 당신에게 카드 세 장을 뽑게 할 수 있다. 그 플레이어가 그렇게 하지 않으면, 당신의 서고 맨 위의 카드 세 장을 당신의 무덤에 넣은 후, 화염의 톱니거신병은 그 카드들의 전환마나비용의 총합만큼 그 플레이어에게 피해를 입힌다.|| || 공격력/방어력 || 6/6 || ||<-2>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2> [[칼라데시]] || 미식레어 || ||<-2> Masterpiece Series: Inventions || 미식레어 || 한마디로 말하면 '''3드로우할까 아니면 죽빵맞을래?''' [[운빨좆망겜|그날의 운의 영향을 많이 받는 카드.]] 적색을 상대로 3드로우를 잘 주려고 하지는 않기 때문에 보통은 버리고 명치를 맞게 되는데, 그게 대지 3장이면... 그리고 발비가 적색이 단독으로 뽑기 무척 힘들다는 6마나짜리. 그래서 가장 기대치가 낮다고 평가되고 있다. LSV는 이 깡통 로봇에게 자신의 컨스 카드 평가에서 최저점인 '''1.0'''의 평점을 매겼다. == 신록의 톱니거신병 == || '''영어판 명칭''' || '''Verdurous Gearhulk''' ||<|6>[[파일:external/static.starcitygames.com/VerdurousGearhulk.jpg]]|| || '''한글판 명칭''' || '''신록의 톱니거신병''' || || '''마나비용''' || {3}{G}{G}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마법물체 생물 — 자동기계 || ||<-2>[br]돌진 신록의 톱니거신병이 전장에 들어올 때, 당신이 조종하는 생물을 원하는 수만큼 목표로 정한다. 그 생물들에 +1/+1 카운터 네 개를 분배한다.|| || 공격력/방어력 || 4/4 || ||<-2>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2> [[칼라데시]] || 미식레어 || ||<-2> Masterpiece Series: Inventions || 미식레어 || 일단 스스로가 '''5마나 최대 8/8 돌진'''인 거 부터 어이가 없는 생물(...) 거기다가 카운터 올리는것도 하나에 몰아주는 게 아닌 분산투자가 가능한 것도, 이런 생물이 고작 5마나라는 점도 상당한 메리트로 작용하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기대치가 엄청나게 높고, 톱니거신병 중 가장 높은 가격을 자랑....하였으나 프로투어에서 이걸 사용한 덱들이 모두 처참한 성과를 내면서 가격 거품이 빠져버린 상태. 에테르 봉기에서 [[Doubling Season|+1/+1 카운터를 펌핑해주는 생물]]과 [[피마의 무법자 리시카르|+1/+1 카운터 붙은 생물에 램핑을 부여해주는 생물]]의 등장으로 이 녹거신이 더 빠르고 강하게 아군 생물을 서포트해주는 환경이 완성되면서 그 가치가 드디어 빛을 보았다. 에테르봉기 첫 SCG 투어에서 가장 두각을 드러낸 BG 어그로덱에서 4장 꽉꽉 채우고 4강을 휩쓸었으며, [[약속된 종말 엠라쿨]]의 밴으로 명줄이 끊긴 것을 BG 어그로덱의 특징을 섞어서 다시 등장한 BG 섬망덱에서도 4장 채워서 우승까지 차지함으로서 녹거신의 가격이 폭등중. [[분류:매직 더 개더링/카드/칼라데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