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신선로기능사]] || → || 통신선로산업기사 || → || [[통신설비기능장]] || |||| {{{+2 {{{#FFFFFF '''통신선로기능사'''}}}}}}[br]{{{+2 {{{#FFFFFF '''通信線路技能士'''}}}}}}[br]{{{#FFFFFF '''Craftsman Communication Cable'''}}} || || 관련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기관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 [목차] == 개요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관하고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관리하는 통신 분야 [[기능사]] 자격증이다. 상위자격증은 통신선로 산업기사가 있다 정보통신과 학생들이 주로 [[의무검정]]으로 치르기도 한다. == 시험 내용 == 필기 시험의 경우 다른 자격증들과 비슷하게 이론과 법률 위주로 되어있다. 달달 외운다면 통과 가능한 수준. (전기+전자+[[반도체]]+디지털 [[논리회로]]+컴퓨터 하드웨어+진수, [[불 대수]] 계산+컴퓨터 소프트웨어+프로그래밍+운영체제+정보통신) 실기에서는 UTP케이블과 [[광 케이블 접속기]], OTDR을 다루는데 전자는 재료 가격이 많지는 않아서 집에서 연습 가능하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가격이 몇백이 넘어가는 장비인지라. 집에서 공부하는 것은 포기하는 게 좋다. UTP 케이블을 포함해서 1~2가지 케이블을 다뤄본 사람이라면 유튜브에 '통신선로기능사실기'를 검색하여 실기 강의 영상을 몇 가지 보며 숙지하면 실기시험을 볼 수 있다. OTDR 버튼 몇 가지 다루는 것만 익히면 가능한 수준. 통신선로산업기사는 작업형 실기에 필답형 실기가 추가되는 식이다. 필답형 50점 + 작업형 50점으로 필답형은 난이도가 높은 편에 속하며(응시 인원이 적어서 문제 복원이 잘 안되며, 안전하게 합격하려면 최소한 15점은 맞아야 한다.) 작업형은 UTP 케이블은 안하는 대신, 기계식접속자 접속이 추가된다. 그리고 산업기사의 경우 작업형은 전국에서 1곳(경기도 광주 [[ICT폴리텍대학]])에서 시행한다. 2026년부터 통신선로산업기사를 [[정보통신산업기사]]에 병합하고, 통신선로기능사와 통신기기기능사를 정보통신기능사로 통합할 예정이다. [[분류:기능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