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려의 왕자/선종 ~ 공양왕)]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D00, #FFB200 20%, #FFB200 80%, #FF9D00)" '''고려 숙종의 왕자[br]고려의 제왕[br]{{{+1 통의후 왕교 | 通義侯 王僑 }}}'''}}} || || '''출생''' ||[[1097년]]^^([[숙종(고려)|숙종]] 2년)^^ || || '''사망''' ||[[1119년]]^^([[인종(고려)|인종]] 9년)^^ [[6월 5일]]^^(음력 4월 19일)^^(향년 23세) || || '''본관''' ||[[개성 왕씨]] || || '''휘''' ||교(僑) || || '''부모''' ||부왕 [[숙종(고려)|숙종]] 모후 [[명의왕후]]|| || '''형제자매''' ||[[숙종(고려)#가족관계|8남 4녀 중 7남]] || || '''배우자''' ||통의후비(通義侯妃)로 추정 || || '''자녀''' ||'''1녀'''[br]개성 왕씨[* 영녕군(永寧君) 왕유(王瑜)의 부인으로 [[소성후|소성후 왕공]]의 모친] || || '''지위''' ||[[제왕#諸王]](諸王) || || '''작호''' ||'''통의후(通義侯)''' || || '''시호''' ||영장(英章)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려]] 제15대 국왕 [[숙종(고려)|숙종]]과 [[명의왕후]]의 7남이자 막내아들. == 생애 == 숙종 8년인 1103년 부왕이 교서를 내려 이름을 받고 예물(禮物)도 하사받았다. 부왕이 죽은 다음해인 [[예종(고려)|예종]] 원년인 1106년 추인찬화공신 개부의동삼사 검교상서령 수사공 상주국 통의후(推仁贊化功臣 開府儀同三司 檢校尙書令 守司空 上柱國 通義侯)에 봉해지고 식읍 2천호 식실봉 2백호를 하사받았다. 예종 5년인 1110년 형의 명을 받고 문수굴(文殊窟)[* 고려 시대 사찰인 삼각산의 문수사(文殊寺) 안에 있던 부처를 모신 석굴]에 가서 모후인 명의태후와 여러 종친[* [[제왕#4|제왕]](諸王)]과 각 궁의 공주들 이름으로 의복을 시주하였다. 같은 해 봉절공신 수사도(奉節功臣 守司徒)가 더해지자 통의후 왕교는 표문을 올리며 사양하지만 예종은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예종 9년인 1114년 추성공신 검교태보 수태위(推誠功臣 檢校太保 守太尉)와 식읍 3천호 식실봉 250호를 거쳐 예종 10년인 1115년 추인찬화봉절공신 개부의동삼사 검교태보 수태위 상주국(推仁贊化奉節功臣 開府儀同三司 檢校太保 守太尉 上柱國)로 봉해지고 식읍 3천호 식실봉 250호를 하사받았다. 예종 14년인 1119년 4월 19일에 사망하였고 시호(諡號)를 영장(英章)이라 하였다. 슬하에 딸이 하나 있는데 형인 [[왕보(대방공)|대방공 왕보]]의 장남인 영녕군(永寧君) 왕유(王瑜)와 혼인[* 사촌혼]하여 [[소성후|소성후 왕공]]을 두었다. == 평가 == >성품은 총명하고 예리해 배우기를 좋아했으며, 빈객들을 좋아했다.[* 性聰銳好學, 愛賓客.] >---- >『고려사』 권90, 종실열전. == 여담 == 형 예종이 통의후 왕교를 책봉하는 교서를 보면 숙종과 명의태후 부부가 막내를 얼마나 아꼈는지 알 수 있다. 숙종은 막내아들을 불쌍히 여기며 가장 사랑했고, 명의태후 역시 일찍 아버지를 여읜 왕교를 지극하게 사랑했다. [[분류:고려의 왕자]][[분류:개성 왕씨]][[분류:고려의 후작]][[분류:1098년 출생]][[분류:1120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