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 '''{{{#fecc00,#ddd 투바인 관련 틀}}}''' || ||<-7><:><#fff,#2d2f3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러시아의 민족)] [include(틀:동아시아와 북아시아의 민족)] [include(틀:중국의 민족)] [include(틀:튀르크)] ---- }}} || * [[러시아어]]: Тувинцы * [[투바어]]: тыва, тыва кижи * [[몽골어]]: Тува [목차] == 개요 == || [[파일:Мөгелер_биле_Даңгыналар2._2016.jpg|width=300]] || [[파일:Участники_конкурса_на_лучший_национальный_костюм_в_п.Туран.jpg|width=300]] || [[파일:Tuvan_wrestlers_2.jpg|width=300]] || [[러시아]] [[투바 공화국|투바]]에 거주하는 [[튀르크]]-몽골계 민족이자 다수민족이다. 투바 자체가 외몽골의 [[우량카이족#s-2.6|탄누 우량카이]]에 속해있던 민족으로 몽골 혈통과 문화가 진하게 섞여있다. 2021년 기준 러시아 전역에 295,384명의 투바인이 거주하는데, 이 중 279,789명이 투바 공화국에 거주한다. [[중국]]에는 약 14,456명, 이웃한 [[몽골]]에는 2,354명이 거주하고 있다. == 상세 == 러시아 투바에선 주류 민족을 이루며 일부는 [[몽골]][* 흐브스글, 바잉울기 [[몽골/행정구역|아이막]] 등.], [[중국]][* 주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일대에 거주하고 있으며, [[중국]]은 이곳 투바인들을 [[오이라트]]([[칼미크인]])의 일부로 간주한다.]에도 거주한다. [[토파|토팔라르인]], [[야쿠트인]], [[알타이인]], [[하카스인]] 등과 가까운 민족이다. [[몽골인]], [[사모예드족]][* 현대에는 사라진 남사모예드 집단이 동부 투바인에게 동화되었다고 한다.], [[https://en.m.wikipedia.org/wiki/Yeniseian_people|예니세이인]][* 현대의 [[케트족]]이 [[예니세이어족|예니세이인]]에 속한다.]의 [[혼혈|후손격되는 민족]]이라고 하며, 2016년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대 [[에스키모]]'''들하고도 유전적으로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DERENKO, M.V.; et al. (March 2002). [[https://web.archive.org/web/20071022074916/http://dienekes.50webs.com/blog/archives/000210.html|"Polymorphism of the Y-Chromosome Diallelic Loci in Ethnic Groups of the Altai-Sayan Region"]]. Russian Journal of Genetics. 38 (3): 309–314. doi:[[https://doi.org/10.1023%2FA%3A1014863020171|10.1023/A:101486302017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10-22. Retrieved 2010-10-23. Mentions that "some authors" suggest this idea.][* DERENKO, M.V.; et al. (March 2002). "Polymorphism of the Y-Chromosome Diallelic Loci in Ethnic Groups of the Altai-Sayan Region". Russian Journal of Genetics. 38 (3): 309–314. doi:10.1023/A:101486302017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10-22. Retrieved 2010-10-23. Mentions only Mongush and Salchak tribes.][* Flegontov, Pavel; Changmai, Piya; Zidkova, Anastassiya; Logacheva, Maria D.; Altınışık, N. Ezgi; Flegontova, Olga; Gelfand, Mikhail S.; Gerasimov, Evgeny S.; Khrameeva, Ekaterina E. (2016-02-11).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750364|"Genomic study of the Ket: a Paleo-Eskimo-related ethnic group with significant ancient North Eurasian ancestry"]]. Scientific Reports. 6: 20768. arXiv:1508.03097. Bibcode:2016NatSR...620768F. doi:10.1038/srep20768. PMC 4750364. PMID 26865217.] 대부분의 투바인들은 [[튀르크어족|시베리아 튀르크어]][* [[사하어]]와 [[알타이어]], [[하카스어]]가 이 어파에 속하며, 그중 [[토파어]]와 매우 가깝다.]에 속한 [[투바어]] 그리고 [[러시아어]]를 할 줄 안다.[* 구소련권에서 러시아어를 못하면 일상생활에 크게 지장이 가니 어찌보면 당연한 걸 수도...] 그리고 몽골과 가까워서 [[몽골어]]를 쓰기도 한다. == 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투바/역사)] == 문화 == 투바인들은 주된 혈통이 튀르크계이지만, 문화적으론 [[몽골]]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의식주나 음악 등은 몽골과 구분하기가 정말 힘들 정도로 닮았다. 예를 들면 투바의 대표적인 축제로 나딤(Наадым)이 있는데, 몽골의 [[나담 축제]]와 이름이 비슷한데다 종목까지 유사하다.] 몽골에 완전히 동화된 튀르크 제민족 중 현재까지도 튀르크 민족으로 남은 게 투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몽골의 영향으로 상당수의 주민들이 [[티베트 불교]]를 믿는다. 일부는 러시아의 영향으로 [[러시아 정교회]]를 믿는데 점점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 실존인물 == *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의 [[국방장관]].[* 정확히는 [[유라시안|러시아인과 투바인의 혼혈]].] 투바인 인물 중에서 가장 유명한 사람이다. * [[훙후르투]]: 투바의 전통음악 그룹으로 멤버 전원이 투바인이다. * 알베르트 쿠베진[* Күвезин Альберт Будачи оглу / Küvezin Albert Budachi oglu]: 투바 [[록밴드]]인 Yat-Kha의 리더. 특유의 카르그라 창법이 인상적이다. * 오이두파 블라디미르 오이운[* Ойдупаа Владимир Ойун, 1949~2013]: 투바의 [[바얀(악기)|바얀]] 연주가. 바얀의 넓은 음역대를 연상시키는 [[배음 창법|카르그라 창법]]이 특징이며, 종종 그의 음악 스타일은 [[블루스]]와 비교되곤 하였다. 특이사항으로 3건의 '''[[미성년자]] [[살인죄|살해]]''' 혐의로 [[교도소]]에서 약 33년간의 세월[* 1973~2006]을 보냈다는 것이다.[* 그의 첫 앨범이자 가장 유명한 앨범인 [[https://youtu.be/pOAuR_UdA-U|«Divine music from a jail»]] 또한 교도소 수감중에 있던 [[1999년]]에 발표됐다.][* 인생의 절반에 속하는 20대 초반에서 환갑에 가까운 나이까지를 교도소에서 보냈으니 음악 스타일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수가 없다. 블루스와 비교되는 이유도 교도소의 영향이 클 것이다.] * [[https://www.alashensemble.com/index.htm|Alash]]: 투바의 전통 밴드. * 몽구쉬 사이다쉬[* Монгуш Сайдаш]: 투바인 가수이다. 한국에서 잠시 Ödügěn Tăiga(고향 타이가)를 부른 곡이 "몽골아저씨의 클라스 쩌는 노래"라고 밈이 된 적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투바어]]에서. [[분류:러시아의 민족]][[분류:몽골의 민족]][[분류:중국의 민족]][[분류:튀르크]][[분류:북아시아의 민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