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FIVB 시니어 여자 랭킹(탑10))] ||<-2>
[[파일:튀르키예 국기.svg|height=150]] || ||<-2> {{{+1 {{{#fff '''튀르키예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2> {{{#ED1C25 '''Türkiye kadın millî voleybol takımı'''}}} || || '''FIVB 코드''' ||'''TUR''' || || '''협회''' ||[[https://www.tvf.org.tr/kategoriler/milli-takimlar/bayan-milli-takimlar/| 튀르키예배구협회]] (TVF) || || '''연맹''' ||[[유럽 배구 연맹]] (CEV) || || '''감독'''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17]] 다니엘레 산타렐리 (Daniele Santarelli) || || '''주장'''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9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2a5b; font-size: 0.5em" {{{#ffffff '''C'''}}}}}} [[에다 에르뎀]] (Eda Erdem) || || '''SNS''' ||[[https://www.instagram.com/tvforgt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vforgtr, 크기=22)] || ||<-2><^|1> {{{#!wiki style="color: #ED1C25; margin: -0px -10px -5px"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color: #000; margin: -6px -1px -11px" ||<-2> {{{#fff '''세계대회'''}}} || || '''[[올림픽 배구|올림픽]]''' ||'''[출전]''' 3회 [br]'''[최고]''' 6위 {{{-1 ([[2020 도쿄 올림픽|2020]])}}} || || '''{{{-2 세계선수권}}}''' ||'''[출전]''' 4회[br]'''[최고]''' 6위 {{{-1 (2010)}}} || || '''월드컵''' ||'''[출전]''' 1회 [br]'''[최고]''' 7위 {{{-1 (2003)}}} || || '''{{{-2 월드그랑프리}}}''' ||'''[출전]''' 7회 [br]'''[최고]''' 동메달 {{{-1 (2012)}}} || || '''{{{-2 네이션스리그}}}''' ||'''[출전]''' 3회 [br]'''[최고]''' 은메달 {{{-1 (2018)}}} || || '''{{{-4 [[FIVB 월드그랜드챔피언스컵|월드그랜드챔피언스컵]]}}}''' ||'''[출전]''' 0회 [br]'''[최고]''' 없음 || ||<-2> {{{#fff '''대륙대회'''}}} || || '''{{{-2 [[유럽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유럽선수권]]}}}''' ||'''[출전]''' 14회 [br]'''[최고]''' 은메달 {{{-1 (2003, 2019)}}} || || '''{{{-2 유로피언리그}}}''' ||'''[출전]''' 7회 [br]'''[최고]''' 금메달 {{{-1 (2014)}}} || }}}}}}}}} || ||<-2> '''[[FIVB 랭킹|{{{#fff FIVB 랭킹}}}]]''' || ||<-2> {{{#000 '''7위 / 299점''' [br]{{{-1 ([[2022년]] [[12월 28일]] 기준 / [[https://www.fivb.com/en/volleyball/rankings/seniorworldrankingwomen|#]])}}}}}} || [목차] [clearfix] == 개요 == [[튀르키예]]의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역사 == 2000년대에 들어서야 올림픽이나 세계선수권을 처음으로 출전했을 정도로 유럽에서도 중위권조차 안되는 팀이였다. 그러나 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에 들어서 [[튀르키예 여자 배구 리그]]가 급격하게 성장하게 된다. 경제위기로 직격타를 맞은 [[이탈리아 여자 배구 리그|세리에]]를 대신하여 튀르키예 리그가 세계 최고의 여자 배구 리그로 급부상하였고, 이에 따라 국가대표팀은 정부와 구단의 전폭적인 투자, 늘어나는 인기, 그리고 세계적인 유스풀 덕분에 오늘날 유럽의 강호로 거듭나게 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터키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2012 런던).jpg|width=100%]]}}}|| || {{{#FFF '''2012 런던 올림픽'''}}} || 2012 런던 올림픽 본선 진출에 성공했으며 B조에서 2승 3패를 기록하지만 브라질에 승점 1점 차이로 8강 진출에 실패하며 9위에 그친다. 2017년 튀르키예리그 최강인 [[바키프방크 SK]]의 사령탑을 10년 넘게 맡은 [[지오반니 귀데티]]를 감독으로 선임하였다. 물론 16-17 시즌에는 준우승했다. 이후 발리볼 네이션스리그에서 이유모를 강한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과거엔 아포짓 네슬리한 다르넬과 윙스파이커 에스라 귀미쉬/괴즈데 손스르마로 대표되는 쌍포가 위력적이였다면, 현재는 세계적인 미들블로커 [[에다 에르뎀]]과 [[제흐라 귀네슈]]를 앞세워 강력한 중앙진을 자랑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터키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2020 도쿄).jpg|width=100%]]}}}|| || {{{#FFF '''2020 도쿄 올림픽'''}}} || ||<-5> '''2020 도쿄 올림픽 스쿼드''' || || 백넘버 || 이름 || 포지션 || 소속팀 || 키 || || 2 || [[심게 아쾨즈]] || L || [[엑자시바시 비트라]] || 168cm || || 3 || [[잔수 외즈바이]] || S || [[바키프방크 SK]] || 182cm || || 4 || 투그바 세노글루 || OH || [[바키프방크 SK]] || 184cm || || 5 || [[쉐이마 에르칸]] || OH || THY || 186cm || || 6 || 큐브라 아크만 || MB || [[바키프방크 SK]] || 200cm || || 7 || [[한데 발라딘]] || OH || [[엑자시바시 비트라]] || 189cm || || 9 || [[멜리하 이스마일로루]] || OH ||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 188cm || || 11 || [[나즈 아이데미르]] || S ||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 186cm || || 13 || 메리엠 보즈 || O || [[바키프방크 SK]] || 191cm || || 14 || [[에다 에르뎀]] || MB ||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 188cm || || 18 || [[제흐라 귀네슈]] || MB || [[바키프방크 SK]] || 197cm || || 99 || [[에브라르 카라쿠르트]] || O || [[이고르 고르곤졸라 노바라]] || 196cm || 올림픽 유럽예선전에서 폴란드, 벨기에, 독일 등을 꺾으며 도쿄행 티켓을 따냈다. 이후 죽음의 조인 B조에서 디펜딩 챔피언 중국을 상대로 셧아웃 승리를, 러시아로 풀세트 승리를 하며 조3위로 8강에 진출을 성공하였다. 하지만 한국과의 경기에서 풀세트 접전 끝에 충격적인 패배를 당하며 메달권 진출에 실패하였다. 선수들은 경기 이후 눈물을 보였고, 구이데티 감독은 자국 팬들에게 큰 비난을 받았다. == 성적 == ||<-2> '''대회''' || '''금''' || '''은''' || '''동''' || {{{#FFF '''계'''}}} || ||<|3> '''메이저 대회''' ||[[올림픽 배구|올림픽]] || 0 || 0 || 0 || 0 || ||FIVB 세계선수권대회 || 0 || 0 || 0 || 0 || ||FIVB 월드컵 || 0 || 1 || 0 || 1 || ||<|3> '''FIVB 대회''' ||FIVB 월드그랑프리 || 0 || 0 || 1 || 1 || ||FIVB 네이션스리그 || 0 || 1 || 1 || 2 || ||[[FIVB 월드그랜드챔피언스컵|월드그랜드챔피언스컵]] || 0 || 0 || 0 || 0 || ||<|2> '''CEV 대회''' ||유럽 선수권 || 0 || 2 || 3 || 5 || ||유로피언 리그 || 1 || 3 || 1 || 5 || ||<-2> '''합계''' || 1 || 7 || 6 || 14 || == 선수 == * [[에다 에르뎀]] (2005~) * [[나즈 아이데미르]] (2008~) * [[에르귈 아브즈]] (2008~2009, 2011~2013) * [[바하르 톡소이]] (2008~2014, 2017) * [[멜리하 이스마일로루]] (2014~) * [[쉐이마 에르칸]] (2014~) * [[에즈기 딜릭]] (2014~2017, 2019~2020) * [[에브라르 카라쿠르트]] (2017~) * [[제흐라 귀네슈]] (2017~) * [[잔수 외즈바이]] (2017~) * [[한데 발라딘]] (2017~) * [[살리하 샤힌]] (2022~) == 대한민국과의 전적 == ||<|2>
{{{#fff '''일자'''}}} ||<|2> {{{#fff '''대회 및 라운드'''}}} ||<-3> {{{#fff '''결과'''}}} ||<|2> {{{#fff '''기록지'''}}} || ||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20]]]] || {{{#fff '''세트스코어'''}}} || [[튀르키예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파일:튀르키예 국기.svg|height=20]]]] || || 2003.11.15 || 2003 월드컵 4라운드 [br] [[파일:일본 국기.svg|width=15]] {{{-2 [[오사카부립 체육회관]], 오사카}}} || 0 || {{{-2 22-25, 18-25, 17-25}}} ||<#ED1C25> {{{#FFF '''3'''}}} || [[https://www.fivb.org/vis_web/volley/wwc2003/pdf/match064.pdf|P2]] || || 2006.11.12 || 2006 세계선수권 2라운드 E조 [br] [[파일:일본 국기.svg|width=15]] {{{-2 [[나고야시 종합체육관|레인보우 홀]], 나고야}}} ||<#073f8a> {{{#FFF '''3'''}}} || {{{-2 25-14, 25-13, 25-22}}} || 0 || [[https://www.fivb.org/vis_web/volley/WWCH2006/pdf/P2-085.pdf|P2]] || || 2010.11.03 || 2010 세계선수권 2라운드 D조 [br] [[파일:일본 국기.svg|width=15]] {{{-2 [[오사카시 중앙체육관]], 오사카}}} ||<#073f8a> {{{#FFF '''3'''}}} || {{{-2 16-25, 25-21, 25-21, 19-25, 15-13}}} || 2 || [[https://www.fivb.org/vis_web/volley/WWCH2010/pdf/P2-059.pdf|P2]] || || 2012.08.03 || 2012 런던 올림픽 조별예선 [br] [[파일:영국 국기.svg|width=15]] {{{-2 얼스 코트, 런던}}} || 2 || {{{-2 16-25, 25-21, 18-25, 25-19, 12-15}}} ||<#ED1C25> {{{#FFF '''3'''}}} || [[https://www.fivb.org/vis_web/volley/WOG2012/pdf/P2-021.pdf|P2]] || || 2018.06.07 || 2018 VNL 예선 4주차 93경기 [br] [[파일:태국 국기.svg|width=15]] {{{-2 찻차이 홀, 나콘랏차시마}}} || 0 || {{{-2 19-25, 21-25, 23-25}}} ||<#ED1C25> {{{#FFF '''3'''}}} || [[https://www.fivb.org/vis2009/getdocument.asmx?no=256110000|P2]] || || 2019.05.22 || 2019 VNL 예선 1주차 7경기 [br]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15]] {{{-2 알렉산다르 니콜리치 홀, [[베오그라드]]}}} || 0 || {{{-2 15-25, 26-28, 19-25}}} ||<#ED1C25> {{{#FFF '''3'''}}} || [[https://www.fivb.org/vis2009/getdocument.asmx?no=256207690|P2]] || || 2021.06.19 || 2021 VNL 예선 5주차 110경기 [br]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15]] {{{-2 리미니 피에라, [[리미니]]}}} || 1 || {{{-2 23-25, 25-20, 17-25, 18-25}}} ||<#ED1C25> {{{#FFF '''3'''}}} || [[https://www.fivb.org/vis2009/getdocument.asmx?no=256314301|P2]] || || 2021.08.04 || 2020 도쿄 올림픽 8강전 [br] [[파일:일본 국기.svg|width=15]] {{{-2 아리아케 경기장, [[도쿄]]}}} ||<#073f8a> {{{#fff '''3'''}}} || {{{-2 17-25, 25-17, 28-26, 18-25, 15-13}}} || 2 || || || 2022.06.19 || 2022 VNL 예선 2주차 61경기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15]] {{{-2 아레나 BRB, [[브라질리아]]}}} || 1 || {{{-2 25-20, 13-25, 19-25, 15-25}}} ||<#ED1C25> {{{#FFF '''3'''}}} || [[http://www.fivb.org/vis2009/getdocument.asmx?no=256510679|P2]] || || 2022.09.27 || 2022 세계선수권 1라운드 B조 [br]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15]] {{{-2 에르고 아레나, [[그단스크]]}}} || 0 || {{{-2 14-25, 13-25, 13-25}}} ||<#ED1C25> {{{#FFF '''3'''}}} || [[http://www.fivb.org/vis2009/getdocument.asmx?no=256540823|P2]] || == 둘러보기 == [include(틀:튀르키예 관련 문서)] [[분류:튀르키예의 배구]][[분류:유럽의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