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튀르키예의 대외관계)] [include(틀:방글라데시의 대외관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100%]]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100%]] || || [[튀르키예|{{{#ffffff '''튀르키예'''}}}]] || [[방글라데시|{{{#fff '''방글라데시'''}}}]] || [목차] [clearfix] == 개요 == [[튀르키예]]와 [[방글라데시]]와의 관계. 각국 총리나 대통령, 부통령 등 정치인들이 서로 방문했고, 교류도 활발하다. 양국은 [[이슬람 협력기구]], 이슬람 개발도상국(D-8)[[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5949781?sid=104|#]]의 회원국들이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이전 === 튀르크계+타지크계(페르시아계) 국가였던 [[고르 왕조]]가 1280년대부터 벵골 일대까지 점령한 것을 시작으로 델리 술탄 왕국까지 일부 튀르크계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이 현상은 벵골 술탄국까지 유지되어 15세기, 튀르크계 장군이었던 울루 칸 자한은 [[벵골 술탄국]] 남부도시인 [[바게르하트의 모스크 도시|바게르하트(Bagerhat)에 여러 지붕이 천장을 장식한 모스크를 지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2/0000373255?sid=104|#]][* 이 모스크는 현재 방글라데시의 주요 문화재/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https://en.m.wikipedia.org/wiki/Bagerhat_Sadar_Upazila#/media/File%3ASixty_Dome_Mosque_in_Bagerhat_Bangladesh.JPG|#]]] === 20세기 === 양국은 1970년대 방글라데시가 독립한 이후 본격적으로 외교를 맺었고 이후 경제적 교류, 왕래도 적지 않다. === 21세기 === 2014년에 일어난 방글라데시 여객선 침몰 사고와 튀르키예 탄광 사고가 모두 안전 불감증에서 발생된 인재라는 지적이 나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3262896?sid=104|#]] 2016년에 양국에서 [[다에쉬]]에 의한 테러가 발생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323958?sid=104|#]] 튀르키예와 방글라데시 양국은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국제사회의 협력을 촉구했다.[[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mod=news&act=articleView&idxno=1086639|#]] 방글라데시에서 근무중이던 튀르키예 공무원 2명이 미국으로 망명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8609576?sid=104|#]] 2017년 9월에는 [[에르도안]]의 아내인 에미네 에르도안(Emine erdogan)이 [[치타공]]에 있는 [[로힝야]] 난민촌을 방문했다. [[https://www.aa.com.tr/en/asia-pacific/turkeys-first-lady-distributes-aid-at-rohingya-camp/903806|#]] 2019년 12월 26일에 튀르키예의 반호수에서 파키스탄과 방글라데시, 아프간에서 넘어온 난민들을 실은 배가 침몰해 7명이 사망했다.[[https://www.bbc.com/korean/international-50918155?xtor=AL-73-%5Bpartner%5D-%5Bnaver%5D-%5Bheadline%5D-%5Bkorean%5D-%5Bbizdev%5D-%5Bisapi%5D|#]] 2020년 7월 8일에 튀르키예 당국은 아프가니스탄과 방글라데시, 시리아, 소말리아,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이란 등에서 온 난민 270명의 밀입국을 알선한 업자들을 적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730756?sid=104|#]] 9월 14일에 인도가 양파 수출을 금지시키자 방글라데시는 튀르키예, 이집트 등에서 양파 수입을 검토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885254?sid=104|#]] 12월 23일에 튀르키예는 다카시에 새 대사관을 공식 개관했다.[[http://kor.theasian.asia/archives/281899|#]] 12월 28일에 샤를리 엡도가 에르도안 대통령 만평을 공개하자 튀르키예, 방글라데시 등 이슬람 국가들이 반발했다.[[https://www.etoday.co.kr/news/view/1956174|#]] 2021년 6월 29일에 튀르키예는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를 막기 위해 인도,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네팔, 스리랑카, 방글라데시로부터 입국을 7월 1일부터 금지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492735?sid=104|#]] 11월 5일에 튀르키예 경찰은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출신의 이주민들과 밀입국 알선업자들을 체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774010?sid=104|#]] 2023년 2월 14일, 방글라데시의 로힝야 난민촌의 [[로힝야족]]들은 담요, 겉옷을 모아 강진이 일어난 튀르키예에게 기부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0215131300009?input=1195m|#]] == 경제 교류 == 양국은 [[AIIB]]에 가입돼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3827897?sid=101|#]] 양국간의 경제 교류가 활발하며 튀르키예 기업들이 방글라데시에도 진출했다. == 문화 교류 == 역사적으로도 간접적으로 연관돼 있기도 한데, 둘 다 순니파 이슬람 [[하나피파]] 법학파에 속한다. 그리고 양국은 [[무슬림]] 비중이 높은 편이다. 또한, 세속주의 경향이 강한 편이다. == 교통 교류 == 두 나라들을 잇는 항공 노선(샤잘랄 국제항공-이스탄불 공항)이 존재한다. == 대사관 == 다카 시에 주 방글라데시 튀르키예 대사관이 존재한다. == 여담 == 방글라데시는 튀르키예와 혈통적으로 어느 정도 비슷한 사람들도 있는데 역사적으로 벵골 지역으로 이주해온 튀르크계 이주민들이 벵골 지역에 살면서 문화적으로 동화되거나 혼혈이 되었기 때문이다. == 관련 문서 == * [[튀르키예/외교]] * [[방글라데시/외교]] * [[이슬람 협력기구]] / [[AIIB]] * [[튀르키예/경제]] * [[방글라데시/경제]] * [[튀르키예인]] / [[방글라데시인]] / [[벵골인]] * [[튀르키예어]] / [[벵골어]] / [[이슬람교]] / [[순니파]]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남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서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남아시아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방글라데시/외교,version=49, title2=터키/외교,version2=378)] [[분류:튀르키예의 대국관계]][[분류:방글라데시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