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트라이건)] [include(틀:트라이건)] [목차] == TVA: 트라이건 == ||<-2>
{{{#ffffff,#ffffff '''{{{+1 트라이건}}}''' (1998)[br]TRIGU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rigun_Serie_de_TV-689390623-large.jpg|width=100%]]}}} || ||<-2> {{{#ffffff,#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ffffff,#ffffff 장르}}}''' ||총, 액션, [[사이언스 픽션|SF]], 판타지 || || '''{{{#ffffff,#ffffff 원작}}}''' ||[[나이토 야스히로]] || || '''{{{#ffffff,#ffffff 감독}}}''' ||[[니시무라 사토시#애니메이션 감독 니시무라 사토시]] || || '''{{{#ffffff,#ffffff 시리즈 구성}}}''' ||[[쿠로다 요스케]] || || '''{{{#ffffff,#ffffff 캐릭터 디자인}}}''' ||[[요시마츠 타카히로]] || || '''{{{#ffffff,#ffffff 메카니컬 디자인}}}''' ||진구지 노리유키(神宮司訓之) || || '''{{{#ffffff,#ffffff 미술 감독}}}''' ||카네코 히데토시(金子英俊)[br]카타히라 신지(片平真司) || || '''{{{#ffffff,#ffffff 색채 설계}}}''' ||이소자키 아키히코(磯崎昭彦) || || '''{{{#ffffff,#ffffff 촬영 감독}}}''' ||시라이 히사오(白井久男) || || '''{{{#ffffff,#ffffff 음향 감독}}}''' ||혼다 야스노리(本田保則) || || '''{{{#ffffff,#ffffff 음악}}}''' ||[[이마호리 츠네오]]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매드하우스]] || || '''{{{#ffffff,#ffffff 제작}}}''' ||[[빅터 엔터테인먼트|일본 빅터]] || || '''{{{#ffffff,#ffffff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1998년 4월|1998. 04. 02.]] ~ 1998. 10. 01. || || '''{{{#ffffff,#ffffff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테레비 도쿄]] / (목) 01:15[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투니버스]][br][[파일:투명.png|width=20]] [[대원방송]] || || '''{{{#ffffff,#ffffff 스트리밍}}}''' ||[[넷플릭스]] [[https://www.netflix.com/kr/title/70202899|▶]] || || '''{{{#ffffff,#ffffff 한국 정식발매}}}''' ||엔터원 {{{-2 ([[DVD]])}}} || || '''{{{#ffffff,#ffffff 편당 러닝타임}}}''' ||24분 || || '''{{{#ffffff,#ffffff 화수}}}''' ||26화 || || '''{{{#ffffff,#ffffff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 }}}}}}}}} || 원작이 연재를 시작(1995년)하고 3년이 지나 본격적인 스토리로 진입할 즈음에 제작되었기 때문에 중간부터 오리지널 스토리로 진행해 완결했다는게 가장 큰 특징이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트라이건 단행본 1~2권 + 맥시멈 1권 1화 스토리까지는 그럭저럭 충실히 반영하다 [[핍스문 사건]] 이후부터 독자노선을 탄 것. 때문에 맥시멈에서 새롭게 추가된 밧슈 & 나이브스 형제의 과거사, 이민선단에 대한 구체적인 설정, 플랜트의 비밀, [[흑발화]]가 전혀 나오지 않으며, 메인 빌런인 [[레가트 블루서머즈]]와 [[GUNG HO GUNS]]의 행적 및 설정도 이래저래 다르다. 또한 밧슈가 GUNG HO GUNS와 본격적으로 맞대결을 벌이는 과정에서 벌어진 굵직한 사건도 전부 잘리고 대부분 애니메이션 오리지널로 창조되었다. 이렇게 원작과의 차이가 많이나기 때문에 전체적인 스케일이 작아지고 연출도 많이 단촐해졌다. 그래도 오리지널 스토리치곤 나름의 깔끔한 결말은 냈는데, 원작과 거의 유사한 부분이 많다. 예를 들어 [[레가트 블루서머즈]]와의 전투에서 그토록 지키려고 노력했던 불살주의가 깨져 멘붕한 밧슈가 은둔해 폐인생활을 하다가 제정신을 차리고, 최종보스인 [[밀리온즈 나이브스]]와 마지막 대결을 벌이고 이겼으나 원수나 다름없는 나이브스를 결국 죽이지 않고 용서했다는 점. 후에 메인 각본을 맡은 [[쿠로다 요스케]]가 언급하길, 원작자 나이토 선생이 원작을 신경쓰지 말고 오리지널 스토리로 진행해 달라는 주문을 넣었다고 한다. 심지어 원작에선 살아남은 인물이 애니판에선 죽어도 상관없다며 엄청난 자율권한까지 줬다고 하며, 쿠로다는 이를 반영해 큰 틀에선 원작을 존중하는 노선으로 진행하되 오리지널 요소를 팍팍 집어 넣어 완결시켰다. [[https://febri.jp/febri_talk/kuroda_yousuke_3/|#]] 사운드 트랙으로는 'TRIGUN : The First Donut', 'TRIGUN : The 2nd Donut Happy Pack', 'TRIGUN : Spicy Stewed Donut' 각각 발매. 특히 두번째로 발매된 'TRIGUN : The 2nd Donut Happy Pack'의 경우 2-3분 내외의 짧은 오디오 드라마가 상당수 삽입되어있다. 본편의 내용과는 별개로 서비스 차원에서 넣어준 듯. 여담으로 애니메이션 판에서는 각 오프닝 중간에 주의해서 보면 잠깐 본편의 내용이 아주 잠깐 들어가 있다. 스태프의 대부분이 신인이었다. [[니시무라 사토시#애니메이션 감독 니시무라 사토시]] 감독은 이게 감독 데뷔작[* 재미있게도 트라이건 스탬피드도 감독인 무토 켄지의 데뷔작이다.]이었고 [[오오하시 요시미츠]]는 [[쿠로다 요스케]]에게 "이 애니 스태프는 매드하우스 3군이야." 라고 했다고. 하지만 모두 열심히 해서 1군이 되자는 열정이 있었다고 한다. [[https://febri.jp/febri_talk/kuroda_yousuke_3/|#]] 그래서 작품 질에 문제는 없으며, 훗날 많은 스태프가 일본 애니 업계에서 나름 이름을 날리는 유명인들이 되었다. 잘 만들긴 했지만 원작과 내용이 다르므로 [[강철의 연금술사]]처럼 리메이크되어 원작의 노선을 반영한 애니화가 되길 바라는 팬들이 상당히 많다. 그래서 2023년 에 방영한 <[[트라이건 스탬피드|TRIGUN STAMPEDE]]>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상업적으로 굉장히 성공해 현재도 [[양덕후]]들에 의해 꾸준히 추앙받고 있는 작품이다. 니시무라 감독도 본진인 일본에서는 그렇게까지 인기를 끌지 못했는데, 미국에선 왜이리 인기가 좋은지 잘 모르겠다고. 원작 자체가 북미팬들에게 어필될만한 요소가 많았던데다 애니도 이를 염두에 두고 작중 BGM을 Jazz / 흥겨운 경음악 / 서부극 냄새나는 걸 사용해서 그런 듯. 사실 오프닝부터가 "이건 양덕후 취향입니다"라고 주장하는 쌩 디스토션 기타가 주구장창 달린다.[* 그래도 퍼커션이 같이 섞여들어오면서 이 곡이 8분의 12박자 메탈로 빠지는 걸 막고 "이봐 이건 어디까지나 재즈거든?"하는 중심을 잡아준다. 직접 들어보자.] 헐리우드의 거장 감독인 [[로버트 저메키스]]가 이 작품 팬이라고. 각본가 쿠로다 요스케는 그분이 대체 이걸 왜 좋아하냐며 놀랐다고 한다.[[https://febri.jp/febri_talk/kuroda_yousuke_3/|#]] 이런 이유인지 한국 [[넷플릭스]]에는 영어 더빙판이 있다. === 주제가 === ||[youtube(4OxFSy8G5wk)] || ||콘티 [[니시무라 사토시]] / 연출 [[타카야나기 시게히토]] / 작화감독 [[요시마츠 타카히로]] || * 오프닝 테마 '''H.T''' * 작곡, 연주: [[이마호리 츠네오]] ||[youtube(rO0H80_JiOI)]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 엔딩 테마 '''風は未来に吹く''' * 편곡, 노래: AKIMA & NEOS === 회차 목록 === * 전화 각본: [[쿠로다 요스케]] ||
'''회차''' || '''제목'''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제1화 || 600億$$の男[br]600억 달러의 남자 ||<-2> [[니시무라 사토시#애니메이션 감독 니시무라 사토시]] || [[요시마츠 타카히로]] || 日: 1998.04.02.[br]韓: || || 제2화 || TRUTH OF MISTAKE || [[미즈노 카즈노리]] || 아와이 시게노리[br](粟井重紀) || 이와이 유키[br](岩井優器) || 日: 1998.04.09.[br]韓: || || 제3화 || PEACE MAKER ||<-2> [[타카야나기 시게히토]] || 스즈키 후지오[br](鈴木藤雄) || 日: 1998.04.16.[br]韓: || || 제4화 || LOVE & PEACE || [[토미나가 츠네오]] || 토코로 토시카츠[br](所 俊克) || 카노 아키라[br](加野 晃) || 日: 1998.04.23.[br]韓: || || 제5화 || HARD PUNCHER ||<-2> [[오오하시 요시미츠]] || 쿠다카 시로[br](久高司郎) || 日: 1998.04.30.[br]韓: || || 제6화 || LOST JULY ||<-2> 시마자키 나나코[br](島崎奈々子) || 오카다 마사카즈[br](岡田正和) || 日: 1998.05.07.[br]韓: || || 제7화 || B.D.N. || [[키자키 후미노리]] || 야마구치 미히로[br](山口美浩) || 우에다 요이치[br](植田洋一)[br]나카다 마사오[br](中田雅夫)[br][[콘노 나오유키]] || 日: 1998.05.14.[br]韓: || || 제8화 || そして荒野と空の間を[br]그리고 황야와 허공을 || 쇼우지 신이치[br](東海林真一) || [[마츠오 코우]] || 蒔田史海 || 日: 1998.05.21.[br]韓: || || 제9화 || MURDER MACHINE ||<-2> 아와이 시게노리 || 이와이 유키 || 日: 1998.05.28.[br]韓: || || 제10화 || QUICK DRAW ||<-2> 야부시타 쇼지[br](薮下昌二) || 후쿠다 노리유키[br](福田紀之) || 日: 1998.06.11.[br]韓: || || 제11화 || ESCAPE FROM PAIN || 코데라 카츠유키[br](小寺勝之) || 쿠리야마 요시히데[br](栗山美秀) || 쿠다카 시로 || 日: 1998.06.18.[br]韓: || || 제12화 || DIABLO ||<-2> 하야시 히데오[br](林 秀夫) || [[코가 마코토]] || 日: 1998.06.25.[br]韓: || || 제13화 || ヴァッシュ・ザ・スタンピード[br]바슈 더 스턴피드 ||<-2> 타카야나기 시게히토 || 요시마츠 타카히로 || 日: 1998.07.02.[br]韓: || || 제14화 || LITTLE ARCADIA || 쿠로다 야스히로[br](黒田恭弘) || 아와이 시게노리 || 이와이 유키 || 日: 1998.07.09.[br]韓: || || 제15화 || DEMONS EYE || [[아베 노리유키]] || 야마우치 토미오[br](山内富夫) || [[키노시타 유키]] || 日: 1998.07.16.[br]韓: || || 제16화 || FIFTH MOON ||<-2> 쿠리야마 요시히데 || 蒔田史海[br]우시지마 유지[br](牛島勇二) || 日: 1998.07.23.[br]韓: || || 제17화 || レム・セイブレム[br]렘 세이블렘 ||<-2> 오오하시 요시미츠 || [[타사키 사토시]] || 日: 1998.07.30.[br]韓: || || 제18화 || 今は、さよなら[br]지금은 안녕 || 마츠오 코우 || 아와이 시게노리 || 이와이 유키 || 日: 1998.08.06.[br]韓: || || 제19화 || HANG FIRE || 오자와 카즈히로[br](小沢一浩) || 야마우치 토미오 || 키노시타 유키 || 日: 1998.08.13.[br]韓: || || 제20화 || FLYING SHIP ||<-3> [[모리야마 유지]] || 日: 1998.08.20.[br]韓: || || 제21화 || OUT OF TIME ||<-2> 쿠리야마 요시히데 || 카노 아키라 || 日: 1998.08.27.[br]韓: || || 제22화 || ALTERNATIVE ||<-2> 아와이 시게노리 || 이와이 유키 || 日: 1998.09.03.[br]韓: || || 제23화 || 楽園[br]낙원 || 蒔田史海 || 나가하마 노리히코[br](ながはまのりひこ) || 蒔田史海 || 日: 1998.09.10.[br]韓: || || 제24화 || 罪[br]죄 ||<-2> 오자와 카즈히로[br](おざわかずひろ) || 카츠키 쿠니오[br](香月邦夫) || 日: 1998.09.17.[br]韓: || || 제25화 || LIVE THROUGH || [[사토 타쿠야(애니메이션 감독)|사토 타쿠야]] || 아와이 시게노리 || 이와이 유키 || 日: 1998.09.24.[br]韓: || || 제26화 || こんなにも青い空の下で[br]이만큼 푸른 하늘 아래서 ||<-2> 니시무라 사토시 || 요시마츠 타카히로 || 日: 1998.10.01.[br]韓: || === 한국 방영 === 90년대 후반 [[VHS]] 비디오 테이프 버전이 먼저 수입되어 유통되었는데, 워낙 양이 적었던터라 이 사실을 아는 이들이 매우 적다. 현재 이 비디오 테이프 실물은 거의 남아있지 않을 정도. 그리고 2000년대 초반 [[투니버스]]에서 판권을 구입해 한국어 더빙 버전으로 방영했다. [[강수진(KBS 성우)|강수진]]의 [[밧슈 더 스탬피드]]와 [[이인성(성우)|이인성]]의 [[니콜라스 D. 울프우드]]를 필두로 [[이선호(성우)|이선호]], [[우정신]], [[이종혁(성우)|이종혁]], [[김영선(성우)|김영선]], [[김수경(성우)|김수경]] 등 연기력 끝내주는 성우들이 다수 캐스팅 되었는데, 덕분에 진지한 장면은 물론이고 간간히 나와주는 개그장면의 연기 퀄리티가 매우 뛰어나다. 덕분에 오덕들 사이에서도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덤으로 당시 국내 [[보이즈 러브|BL]]계에도 어느정도 영향력이 있었다는 [[카더라]] 소문도 있다.] 다만, 중복 캐스팅이 좀 심했다는게 옥의 티인데 [[이종혁(성우)|이종혁]]과 [[이인성(성우)|이인성]]은 거의 매회마다 이런저런 단역 연기를 다 커버했으며,[* 이인성의 경우 단역까지 포함하면 한 회에만 3~4명을 연기하기도 했다.][* [[이종혁(성우)|이종혁]]과 [[이인성(성우)|이인성]]이 어떻게든 톤의 변화를 주면서 연기력으로 커버하긴 했지만 두 성우의 음색이 워낙 특색있는 터라 듣다보면 같은 성우임을 어렵지 않게 눈치챌 수 있을 정도였다.] 주연급 성우였던 [[이선호(성우)|이선호]]와 [[안종덕]]마저 돌려막기에 투입되었다. 게다가 설정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 일관성 없이 번역한 부분이 대본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는 부분도 아쉽다. 참고로 일부 에피소드는 다음화 예고 내래이션이 삭제되고 BGM으로 대체되었다. [[뉴타입]] 한국어판 발매 초기에 부록으로 트라이건 더빙판 [[VCD]]를 주기도 했다. 단, 판권문제로 최종화까지는 넣어주지 못하고 중간에 끊겼다. 극중 삽입곡인 [[https://www.youtube.com/watch?v=5EQHg_bhCKY&hd=1|Sound life-Rem]]를 [[섬집 아기]]로 때우는 로컬라이징을 했었다. 2000년대 초중반에 재방송이 몇 번 이뤄지다 판권이 종료되었는지 더빙판은 정식루트를 통해 시청이 불가능하다. 더빙판 VOD 서비스를 하는 곳도 없으며, 인터넷에 떠도는 것들은 전부 불법 녹화본이다. 2007년 10월부터 [[대원방송]] 계열의 [[챔프]]와 [[애니박스]]에서 '''자막판'''으로 재방영되었다. 이후 [[넷플릭스]]에서도 서비스되고 있는데, 아쉽게도 일본어 원본이 아닌 영어 더빙판만 제공한다. == 극장판: [[트라이건 Badlands Rumble]] == 극장판 애니메이션이 2010년 공개를 목표로[* 본래는 2009년 개봉예정이였으나 연기됐다.] 제작, '''[[트라이건 Badlands Rumble]]'''라는 타이틀로 2010년 4월 24일에 일본에서 개봉했다. 트라이건 팬으로서는 최고의 서비스고, 트라이건을 몰라도 90분동안 펼쳐지는 액션 장르의 애니메이션으로는 대체로 합격점이라는 게 공통적인 평이지만, 시기가 너무 안 좋았다. 2010년에 극장판 애니메이션으로 나온 다른 작품들과 비교하면, 흥행수익이 안 좋기에 아쉬움이 크다. 극장판도 2013년 3월에 [[애니플러스]]를 통해서 정식으로 방영했다. == TVA: [[트라이건 스탬피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트라이건 스탬피드)] == 트라이건 스탬피드 완결편 == 트라이건 스탬피드의 후속편을 다루는 작품. 전작에서 미처 못다뤘던 맥시멈 분량 및 [[밀리 톰슨]]을 포함하는 원작의 요소가 대거 등장할 예정이다. 방송 포맷 및 방영 일자는 미정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트라이건, version=218)] [[분류:트라이건]][[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1998년 2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1998년 3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분류:매드하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