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베이블레이드X/베이블레이드)] ||<-2> '''{{{+1 트라이피오 3-60N}}}[br]トライピオ・スリーシクスティー・エヌ[br]Trypio 3-60N''' || ||<-2> [[파일:트라이피오.png|width=200]] || || '''제품 분류''' ||BX-○○ || || '''타입''' ||우회전 디펜스 타입 || || '''파츠''' ||블레이드: 트라이피오[br]래칫: 3-60[br]비트: 니들 || || '''발매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미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베이블레이드X]]의 [[베이블레이드(베이블레이드 시리즈)|베이블레이드]]. == 파츠 == === 블레이드: 트라이피오 === || [[파일:베블X 디펜스 우회전.png|width=45]][br]'''{{{#fff {{{+1 트라이피오}}}[br]トライピオ | Trypio}}}''' || || [[파일:트라이피오.png|width=60%]] || === 래칫: 3-60 === || '''{{{#fff {{{+1 3-60}}}}}}'''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60%]] || >'''베이를 낮게 세팅하는 파츠. 탄력이 좋은 3개의 날을 사용.'''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드랜 소드 3-60F, 문단=2.2)] === 비트: 니들 === || [[파일:베블X 디펜스.png|width=45]][br]'''{{{#fff {{{+1 [ruby(니, ruby=N)]들}}}[br]ニードル | Needle}}}'''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27%]] || >'''뾰족한 축 끝이 베이를 기울여 카운터 성능을 높인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이트 실드 3-80N, 문단=2.3)] == 기타 == 크로스오버 프로젝트에서 컬트적인 인기로 폭전슛 부문 1위를 차지한 [[에디 스미스|트라이피오]]의 리메이크. 다만 개발에는 상당히 난항을 겪고 있다고 하는데, 원본인 트라이피오가 큰 어택링 때문에 발생하는 저항으로 인해 엄청나게 약한 '개허접 프리스비'로 유명한데다, 베이블레이드X는 비트 부분이 X스타디움의 톱니와 맞물리며 폭발적으로 가속하는 X스타디움과의 연계기믹인 X대쉬가 강점인데 트라이피오는 그 거대한 블레이드 부분이 스타디움의 펜스에 가로막히기 때문에 펜스를 제거하지 않는 이상 비트 부분이 X스타디움의 돌기에 닿지 않아[* 이는 [[https://youtu.be/8hjglLjwdIg?si=LlS230vWvZodNTkb|트라이피오 애호가가 X용으로 트라이피오를 개조하는 동화]]를 올리면서 입증됐다.--설명서를 자세히 읽지 않는 것으로 안전성 문제를 해결했다고 한다.--] '''X대쉬가 불가능'''하다는 치명적 결함이 있다. 그렇다고 스타디움의 벽을 제거하라고 하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X대쉬를 위해 어택링의 크기를 줄이면 트라이피오의 아이덴티티가 죽기 때문에 이도저도 못하는 상황이라 이례적으로 타카라토미 측이 제품화가 가능할지 모를 정도로 개발에 상당히 난항을 겪고 있다고 공표하였다. [[분류:베이블레이드X/베이블레이드]][[분류:크로스오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