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루마니아의 지역, rd1=트란실바니아)] [include(틀:헝가리의 역사)] [include(틀:루마니아의 역사)] ||<-2> {{{-1 '''지벤뷔어겐 공국 | Fürstentum Siebenbürgen'''}}},,([[독일어|]]),,[br]{{{-1 '''에르데이 공국 | Erdélyi Fejedelemség'''}}},,([[헝가리어|]]),,[br]{{{-1 '''트란실바니아 공국 | Principatus Transsilvaniae'''}}},,([[라틴어|]]),,[br]{{{-1 '''아르데알 공국 | Principatul Ardealului'''}}},,([[루마니아어|]]),,[br]{{{-1 '''에르델 공국 | Erdel Voyvodalığı'''}}},,([[터키어|]]),, || || [[파일:트란실바니아 공국 국기.svg|width=120]] || [[파일:트란실바니아 공국 국장.svg|width=130]] || || 국기 || 국장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33px-1606_map_Ward_1912.jpg|width=400]] || ||<-2> 1570년 ~ 1711년[* 1699년까지는 [[오스만 제국]], 그 뒤로는 [[합스부르크 제국]]의 신하국이었으며, 1711년 자치권을 상실했다.] || || [[위치]] ||[[동유럽]] || || [[수도(행정구역)|수도]] ||[[알바이울리아|줄러페헤르바르]](Gyulafehérvár)[* 1570~1692][br][[시비우|헤르만슈타트]](Hermannstadt)[* 1692~1711][br] || || 정치체제 ||[[군주정|봉건군주제]] || || [[언어]] ||[[라틴어]], [[헝가리어]], [[독일어]] || || [[종교]] ||[[가톨릭]], [[개신교]] || || [[민족]] ||[[루마니아인]], [[헝가리인]], [[세케이인]], [[독일인]], [[루테니아인]] || || 성립 이전 ||[[동헝가리 왕국]] || || 멸망 이후 ||[[합스부르크 제국]]([[트란실바니아 대공국]]) || [목차] [clearfix] == 개요 == 1570년부터 1711년까지 존속했던 [[헝가리인]]의 자치 공국.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자치권을 인정받는 신하국이었다가 1711년, [[합스부르크 제국]]의 일부가 되어 1867년까지 [[독일인]]([[오스트리아인]]) 관료들의 지배를 받았다. == 성립 이전 == [[트란실바니아]] 지역은 고대에 [[다키아]]라는 독립국가를 형성했었다. 이후 [[로마 제국]]과의 전쟁에서 패해 속주가 되었고, 로마가 철수한 이후에는 [[고트족|서고트족]], [[훈족]], 게피드족의 지배를 받았다. 10세기에는 서서히 세력을 뻗치고 있던 헝가리인이 이곳에 진출하기 시작했고, 11세기에 [[헝가리 왕국]]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13세기 중반부터 다수의 [[독일인]]이 진출한 결과 상당 수준의 자치권을 인정받았고, [[오스만 제국]]이 [[동유럽]] 깊숙이 진출하는 16세기까지도 헝가리인, [[세케이인]], 독일인 3민족을 중심으로 한 자치권이 유지되고 있었다. 16세기 전반, 오스만 제국과 [[합스부르크 가문]]은 헝가리의 지배권을 놓고 충돌하기 시작했다. 1526년 8월 29일, 헝가리군과 [[오스만 제국군|오스만군]] 사이에 벌어진 [[모하치 전투]]에서 국왕 [[러요시 2세]]가 전사하는 등 헝가리는 대패하였고, 통합된 독립 왕국으로서의 명운을 사실상 다했다. == [[동헝가리 왕국]] 시기 == 모하치 전투 직후 헝가리의 귀족 가운데 하나였던 서포여이 야노시(Szapolyai János)가 귀족들 대다수의 지지를 얻어 국왕으로 즉위했다. 하지만 생전에 합스부르크 가문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았던 러요시 2세는 자신이 후계를 남기지 못한다면 처남이자 매형인 합스부르크 가문의 [[페르디난트 1세]]에게 왕위를 넘긴다는 너지바러드(Nagyvárad, 현 루마니아 [[오라데아]]) 조약에 서명한 바가 있었다. 두 사람은 서로 헝가리 왕위를 주장하며 전쟁을 벌였는데, 그 와중에 서포여이 야노시가 오스만 제국에 도움을 요청하며 신하국이 되겠다고 요청하면서 당시 [[파디샤]]였던 [[쉴레이만 1세]]는 이를 즉시 받아들였다. 이로써 헝가리는 일단 양분되었는데, 1541년에 서포여이 야노시가 죽고 갓난아이인 서포여이 야노시 2세(Szapolyai János Zsigmond)가 즉위하자 '어린 아이를 지금 그대로 헝가리 왕위에 앉혔다간 합스부르크 가문에게 다 빼앗기겠다' 라고 판단한 쉴레이만 1세가 헝가리 중부를 오스만의 영토에 직접 편입하고 트란실바니아를 비롯한 동부만 야노시 2세에게 맡기기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헝가리는 서쪽의 [[헝가리 왕국|합스부르크령]], 중부의 [[오스만 헝가리|오스만령]], 동부의 [[동헝가리 왕국]]으로 삼분되었다. == 트란실바니아 공국으로 == 1570년, 야노시 2세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막시밀리안 2세]]와 조약을 맺어 트란실바니아 [[프린스|공작]] 직위를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대신 헝가리 왕위를 정식으로 양도했다. 그 결과 야노시는 '트란실바니아 공작이자 헝가리 왕국 영토 일부의 지배자' 라는 명칭을 쓰게 되었고, 이로써 트란실바니아 공국이 탄생했다. 이후 트란실바니아는 오스만 제국의 봉신국으로서 오스만 제국과 [[합스부르크 제국]]이라는 두 패권국 사이에서 정치, 외교적 술수를 발휘하며 2세기 동안 자치 공국으로 남았다. 종교적으로는 [[가톨릭]], [[루터파]], [[칼뱅파]]가 허용되었지만 [[루마니아인]]이나 소수의 [[슬라브인]]은 [[농노]] 신분에 불과한 채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는 헝가리인에게 이중으로 수탈당하고 [[정교회]]도 공인 받지 못하면서 신앙의 박해를 받는 등 고난의 시기를 보내야 했다. 1605~1606년 동안 공국을 통치한 보치커이 이슈트반(Bocskai István) 치세에 문화, 예술적인 부흥을 맞이하였으며, 라코치 죄르지 1세(I. Rákóczi György) 때 최전성기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폴란드의 왕위를 노렸던 라코치 죄르지 2세(II. Rákóczi György)는 오스만 제국의 허락 없이 [[스웨덴 제국|스웨덴]]과 연합해 [[폴란드-리투아니아|폴란드]]를 침공하기도 했는데, 이 전쟁에서 대패한데다 오스만 제국의 공격을 받아 [[오라데아|너지바러드]] 등을 빼앗겼다. 이후 공작이 된 케메니 야노시(Kemény János)같은 경우는 [[합스부르크 가문]]과 손을 잡았다가 오스만 제국에 찍혀서 오스트리아로 망명하는 등 공국의 존립이 점차 위협받기 시작하였다. [[퇴쾨이 임레]]의 상 헝가리 반란으로 촉발된 1683년 [[제2차 빈 공방전]]과 그에 뒤이은 [[대튀르크 전쟁]](1683~1699)에서 오스만 제국의 대패는 트란실바니아 공국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합스부르크 가문의 영향력이 확실히 강해지면서 이에 오스만 제국과 힘을 합쳐 맞섰지만 1687년에 [[황제군|합스부르크군]]과의 전투에서 대패한 것을 계기로 점점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너기 시작했다. 1691년에는 합스부르크 제국 내 독립 공국의 지위를 부여받았고 가톨릭, 루터파, 칼뱅파 등이 모두 인정되었다. 하지만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이 체결되면서 대튀르크 전쟁이 끝나고 트란실바니아 공국과 바나트를 제외한 헝가리 전역이 합스부르크 가문의 영토로 인정되면서 막대한 세금이 부과되기 시작하고 가톨릭 이외의 종교들은 박해받기 시작했다. 이에 불만을 품은 헝가리인은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의 주력군이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으로 빠져나간 틈을 타 [[라코치 페렌츠 2세]]를 중심으로 반란을 일으켰다. 하지만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에 충성하는 헝가리 귀족들과 [[루마니아인]]·[[세르비아인]] 민병대의 활약으로 1711년에 서트마르(Szatmár) 조약이 체결되며 반란은 일단락되었고, 합스부르크 가문의 트란실바니아 지배는 더욱 공고해졌다. 이를 계기로 트란실바니아 군주는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에서 파견한 총독으로 대체되기 시작했으며, 자치 공국으로서의 명운은 사실상 다하였다. == 역대 군주 == [include(틀:역대 트란실바니아 공)] * 서포여이 야노시 지그몬드 (1540~1571, 재위 : 1570~1571) * [[스테판 바토리|바토리 이슈트반]] (1527~1586, 재위 : 1571~1586)[* 1576년부터 형 크리스토프가 섭정.] * 바토리 지그몬드 (1572~1613, 재위 : 1586~1598, 1598~1599, 1601~1602) * [[루돌프 2세]] (1552~1612, 재위 : 1598.3.23~1598.8.22) * 바토리 언드라시 (1563~1599, 재위 : 1599) * [[미하이 2세|비테즈 미하이]] (1558~1601, 재위 : 1599~1601) * 조르조 바스타 (1550~1607, 재위 : 1602~1603, 1603~1604) * 세케이 모제시 (1553~1603, 재위 : 1603) * [[보치커이 이슈트반]] (1557~1606, 재위 : 1605~1606) * 라코치 지그몬드 (1544~1608, 재위 : 1607~1608) * 바토리 가보르 (1589~1613, 재위 : 1608~1613) * [[베틀렌 가보르]] (1580~1629, 재위 : 1613~1629) * [[브란덴부르크의 카타리나|카타리나]] (1602~1649, 재위 : 1629~1630) * 베틀렌 이슈트반 (1582~1648, 재위 : 1630) * 라코치 죄르지 1세 (1593~1648, 재위 : 1630~1648) * 라코치 죄르지 2세 (1621~1660, 재위 : 1648~1657, 1658~1659) * 르헤데이 페렌츠 (1610~1667, 재위 : 1657~1658) * 버르처이 아코시 (1619~1661, 재위 : 1658~1660) * 케메니 야노시 (1607~1662, 재위 : 1661~1662) * 어퍼피 미하이 1세 (1632~1690, 재위 : 1661~1690) * [[퇴쾨이 임레]] (1657~1705, 재위 : 1690) * 어퍼피 미하이 2세 (1676~1713, 재위 : 1690~1696) * [[라코치 페렌츠 2세]] (1676~1735, 재위 : 1704~1711) == 참고 문헌 == * 김정환 "루마니아 트란실바니아·부코비나에 대한 역사적 일고찰", 2009, pp. 235-273 * 네이버 지식백과 "헝가리의 역사" == 관련 문서 == * [[유럽사]] * [[헝가리/역사]] * [[루마니아/역사]] * [[헝가리 왕국]] * [[모하치 전투]] * [[동헝가리 왕국]] * [[오스만 헝가리]] [각주] [[분류:헝가리의 역사]][[분류:루마니아의 역사]][[분류:공국(프린스)]][[분류:18세기 멸망]][[분류:헝가리-루마니아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