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링크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코드 토커)] [include(틀:링크 3 속성별 코드 토커)] ||<-3> '''{{{#!html 트랜스코드 토커}}}''' || ||<|7> [[파일:트랜스코드토커.png|width=100%]] || || '''등장 시리즈''' || [[유희왕 VRAINS|VRAINS]] || || '''사용 캐릭터''' || [[후지키 유사쿠]] || || '''첫 수록''' || [[유희왕/OCG 시리즈 정보#s-1.8|10기]] [[스타터 덱 2018]] || || '''서포트''' || [[링크 소환|링크]] || || '''소속 테마군''' || [[코드 토커]] || || '''재정'''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px]] [[https://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4&cid=13698|OCG DB Q&A]] || [목차] == 설명 == [[파일:トランスコード・トーカー(23T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트랜스코드 토커, 일어판명칭=トランスコード・トーカー, 영어판명칭=Transcode Talker, 속성=땅, 레벨=3, link2=, link6=, link8=, 공격력=2300, 종족=사이버스족, 소재=효과 몬스터 2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상호 링크 상태일 경우\, 이 카드 및 이 카드의 상호 링크 앞의 몬스터의 공격력은 500 올리고\, 상대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효과2=②: "트랜스코드 토커" 이외의 자신 묘지의 링크 3 이하의 사이버스족 링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이 카드의 링크 앞이 되는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사이버스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 원작 === [[유희왕 VRAINS]] 42화에서 등장한 [[스나이퍼]] 형태인 다섯 번째 코드 토커. 어원은 트랜스코딩(하나의 [[인코딩]]을 다른 인코딩으로 직접 디지털-디지털로 변환하는 것). [[아이(유희왕)|아이]]의 희생으로 [[후지키 유사쿠|Playmaker]]가 스톰 액세스를 성공해 얻었다. 디코드 토커를 소생해 [[마즐플래시 드래곤]]을 파괴한 뒤 직접 공격으로 마무리지을 생각이였으나 [[초밤아머 드래곤]]에게 막혔다. 아이와 유사쿠의 관계가 진전되는 계기가 된 카드이며, 한두 번 쓰고 묻히는 코드 토커에서 디코드 토커와 함께 존재감이 있는 카드. 최종전마다 한 번씩 특수 소환되어 판도를 바꾸는 결정적인 역할을 해낸다. 다만 다른 코드 토커들처럼 피니시를 낸 적은 한 번도 없다. OCG와 달리 효과를 사용한 턴에는 사이버스족 몬스터만 특수 소환 가능한 제약은 없었지만 소생 몬스터는 코드 토커 몬스터 한정이였다. 아이와의 결전에서는 OCG와 같아졌다. 공격명은 무기에 따라 2가지로 나뉜다. 저격총은 '''트랜스코드 피니시(トランスコード・フィニッシュ / Transcode Finish)''', 권총은 '''트랜스 폴트(トランス・フォールト / Trans Fault).''' === OCG === || X || 링크 몬스터[br](상호 링크)[br]↓ || X || 엑스트라 몬스터 존 || X || || 자신 메인 몬스터 존 || {{{#white ↑[br]'''트랜스코드 토커'''→}}} || ←링크 몬스터[br](상호 링크) || 자신 메인 몬스터 존 || 자신 메인 몬스터 존 || [[스타터 덱 2018]]의 커버 몬스터. 소환 조건은 [[디코드 토커]]와 동일하나 링크 마커가 다르므로 엑스트라 몬스터 존보다는 링크를 확보한 후 메인 몬스터 존에 소환하는 것이 이득이다. ①의 효과는 이 카드와 상호 링크된 몬스터와 이 카드 자신의 공격력을 500 올리고 효과 대상 지정 내성을 부여한다. 자기 자신도 공격력이 2800이 되어 웬만한 최상급과 비슷해지며, 상대의 대상 지정만 막는 것이 큰 장점. 같은 코드 토커 계열인 [[엑스코드 토커]]와 상호 링크 시켜놓으면 공격력 3300에 대상 지정 내성과 효과 파괴 내성을 둘 다 지니게 되어 꽤나 견고해진다. 덤으로 엑스코드 토커의 효과로 상대 쪽으로 뻗어 있는 이 카드의 링크 마커를 봉쇄해 상대에게 이점을 주지 않는 것도 장점이다. [[코드 토커#코드 토커|코드 토커]] 역시 상호 링크 시켜놓으면 코드 토커의 공격력이 1000 오르면서 대상 내성 + 완전 파괴 내성을 얻는다. ②의 효과는 자신 묘지의 이 카드 이외의 링크 3 이하 사이버스족 링크 몬스터를 자신의 링크 앞에 특수 소환하는 좋은 효과. 소재로 쓴 링크 2 몬스터를 부활시켜 새로운 링크로 잇거나 다른 링크 몬스터가 있다면 그걸 부활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링크 3 이하이기 때문에 다른 코드 토커 몬스터를 부활시키는 것도 가능. 다만 사이버스족 몬스터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는 맹세 효과가 걸려 있어 [[트로이메어]] 등의 용병을 쓸 수도 없고, [[땅 속성 굿 스터프]] 등 다른 덱에 용병으로 불려나가기도 어렵다. 후공 돌파용 [[파괴수(유희왕)|파괴수]], 패 트랩으로 [[PSY프레임#s-5.2.1|감마]] 등을 채용하기도 껄끄러워진다. 링크 마커상 현존하는 모든 코드 토커와 상호 링크가 가능하며 효과 역시 링크 3 이하를 지정하고 있기에 자신을 제외한 모든 코드 토커를 부활시킬 수 있어 곧바로 내성을 확보하기가 쉽다. 사이버스 덱에서 코드 토커 몬스터가 들어가지 않는 경우는 마린세스를 제외하면 거의 없으므로 다양한 상황에서 활약할 수 있는 좋은 카드다. [[마스터 링크]] 이후 나오는 코드 토커 덱은 열에 아홉이 첫 빌드로 코드 토커-이 카드 루트를 선택하는 편이다. [[G골렘 크리스탈하트]] 등장으로 사용폭이 더욱 늘어났다. 크리스탈하트로 살려주기 가장 좋은 몬스터고, [[원시생명체 니비루]] 같은 카드를 얻어맞아도 남은 자원만 있다면 두 몬스터의 상호 링크 복구가 가능하기 때문. ||수록 시리즈 || ||<(> 2018-03-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T18-JP041 | '''[[스타터 덱 2018|STARTER DECK 2018]]'''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8-07-13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T18-KR041 | '''[[스타터 덱 2018]]'''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8-07-1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YS18-EN041 | '''[[스타터 덱 2018|Starter Deck Codebreaker]]'''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20-11-1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AGO-EN136 | '''[[골드 시리즈|Gold Series: Maximum Gol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분류:유희왕/OCG/사이버스족]][[분류:유희왕/OCG/링크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