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트레이 터너/선수 경력)] ||<-5>
'''{{{#FFFFFF [[트레이 터너|{{{#FFFFFF 트레이 터너}}}]]의 연도별 시즌 일람}}}''' || || [[트레이 터너/선수 경력/2021년|2021년]] || ← || '''{{{#005A9C 2022년}}}''' || → || [[트레이 터너/선수 경력/2023년|2023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트레이 터너]]의 2022 시즌을 정리한 문서. == 시즌 전 == 3월 22일, 연봉 조정을 피해 2,100만 달러의 연봉에 합의했다. 시즌에 앞서 매년 발표되는 MLB's Top 100 Players Right Now에서 13위로 선정되었다. 주전 유격수였던 [[코리 시거]]가 [[텍사스 레인저스]]로 떠남에 따라 본래 포지션인 유격수를 볼 예정이다. 이에 따라 다저스에서 시즌 후 FA인 터너와 연장 계약을 할 것이라는 루머가 돌았으나, 터너 본인은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477&aid=0000351474|"팀에서 연장 계약을 제안한 적은 없다."]]며 연장 계약설을 일축했다. 현재 MLB에서 유격수의 가치가 올라가고 있는 중인지라 자연스럽게 터너 역시 고액 장기 계약을 따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페넌트레이스 == === 4월 === ||<-15>
'''{{{#FFFFFF 4월 월간 기록}}}''' || || '''{{{#005A9C 경기}}}''' || '''{{{#005A9C 타수}}}''' || '''{{{#005A9C 안타}}}''' || '''{{{#005A9C 2루타}}}''' || '''{{{#005A9C 3루타}}}''' || '''{{{#005A9C 홈런}}}''' || '''{{{#005A9C 득점}}}''' || '''{{{#005A9C 타점}}}''' || '''{{{#005A9C 볼넷}}}''' || '''{{{#005A9C 삼진}}}''' || '''{{{#005A9C 도루}}}''' || '''{{{#005A9C 타율}}}''' || '''{{{#005A9C 출루율}}}''' || '''{{{#005A9C 장타율}}}''' || '''{{{#005A9C OPS}}}''' || || 20 || 76 || 21 || 4 || 1 || 1 || 9 || 17 || 7 || 18 || 4 || .276 || .329 || .395 || .724 || 8일 [[콜로라도 로키스]]와의 개막전 경기에서 5타수 1안타 1타점을 기록했다. 14일 [[신시내티 레즈]]전에서 5타수 2안타 1타점을 기록하며 시즌 첫 멀티히트를 기록했다. 15일 [[신시내티 레즈]]전에서 4타수 2안타 1타점 1도루의 활약을 펼쳤다. 16일 [[신시내티 레즈]]전에서 6회말 [[헌터 그린]]의 99마일 패스트볼을 받아쳐 시즌 1호 투런 홈런을 때려내는 등 4타수 3안타 2타점 활약으로 팀의 5:2 승리를 이끌었다. 지난해 9월 12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전부터 27경기 연속 안타 행진을 이어오고 있는데, 이는 다저스 프랜차이즈 역대 3위 기록이다.[* 2위는 2011년 [[안드레 이디어]]의 30경기, 1위는 1969년 윌리 데이비스의 31경기.] 또한 5경기 연속 타점을 기록 중이다. 17일 [[신시내티 레즈]]전 4타수 무안타로 연속 안타 행진이 마감됐다. 18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전에서는 5타수 1안타 3타점 1도루를 기록했다. 25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전에서 2타점 적시 2루타를 때려냈다. 연속 안타 행진이 종료된 후로는 타격감이 많이 떨어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 === 5월 === ||<-15>
'''{{{#FFFFFF 5월 월간 기록}}}''' || || '''{{{#005A9C 경기}}}''' || '''{{{#005A9C 타수}}}''' || '''{{{#005A9C 안타}}}''' || '''{{{#005A9C 2루타}}}''' || '''{{{#005A9C 3루타}}}''' || '''{{{#005A9C 홈런}}}''' || '''{{{#005A9C 득점}}}''' || '''{{{#005A9C 타점}}}''' || '''{{{#005A9C 볼넷}}}''' || '''{{{#005A9C 삼진}}}''' || '''{{{#005A9C 도루}}}''' || '''{{{#005A9C 타율}}}''' || '''{{{#005A9C 출루율}}}''' || '''{{{#005A9C 장타율}}}''' || '''{{{#005A9C OPS}}}''' || || 29 || 115 || 36 || 8 || 1 || 4 || 14 || 24 || 11 || 20 || 6 || .313 || .375 || .504 || .879 || 7일 [[시카고 컵스]]와의 DH 1차전에서는 3타수 2안타 1타점 1볼넷을 기록했다. 10일 [[피츠버그 파이리츠]]전에서는 4타수 2안타 1타점 1도루를 기록했다. 12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전에서 4타수 3안타 2득점으로 활약했지만, 팀은 7:9로 패했다. 17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와의 DH 1차전에서 6회말 시즌 2호 역전 솔로포를 때려냈다. DH 2차전에서는 4타수 2안타 4타점을 올리며 맹타를 휘둘렀다. 20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전에서는 2타수 1안타 1타점 2볼넷 1도루의 활약을 펼쳤다. 22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전에서는 5타수 3안타 1타점을 기록했다. 23일, 이적 후 처음으로 친정팀 [[워싱턴 내셔널스]] 홈 구장 [[내셔널스 파크]]를 방문하게 되었고, 이에 내셔널스 구단에선 2019년 우승 멤버인 터너와 [[다니엘 허드슨]]의 헌정 영상을 틀어주며 이들을 맞이하였다.[[https://twitter.com/JessicaCamerato/status/1528874263738216449?s=20&t=gpOfdUpqcmVRGt71-bhR6Q|#]][[https://twitter.com/Nationals/status/1528866547980197888?s=20&t=gpOfdUpqcmVRGt71-bhR6Q|#]] 그리고 경기 첫 타석에서 기립 박수를 받았으며[[https://twitter.com/TalkinBaseball_/status/1528876672811798528?s=20&t=bOFmgcueAO8LqwgkyYbfRg|#]] 이 타석에서 2루 땅볼로 타점을 올렸다. 6회초 타석에서는 2타점 적시타를 날렸고, 이후 [[한서 알베르토]]로 교체되었다. 24일 [[워싱턴 내셔널스]]와의 시리즈 2차전에서 1회초부터 선발 [[조시아 그레이]]를 상대로 시즌 3호 투런포를 때려냈다. 25일 [[워싱턴 내셔널스]]와의 시리즈 3차전에서는 [[무키 베츠]]의 휴식으로 인해 1번 타자로 나와 3타수 1안타 1볼넷을 기록했다. 26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전에서 4타수 2안타 1타점 1득점으로 멀티 히트를 날렸다. 27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전에서 6회초 [[매디슨 범가너]]의 커터를 받아쳐 시즌 4호 솔로포를 가동했다. 4타수 2안타 2타점 1득점. 28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원정 3차전에서 5회초 동점 적시타를 날리며 올시즌 리그에서 가장 긴 20경기 연속 안타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29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전에서도 안타를 추가하며 연속 경기 안타 행진을 21경기로 늘렸다. 30일 [[피츠버그 파이리츠]]전에서도 1안타를 때려내며 22경기 연속 안타 행진을 이어갔고, 31일 경기에서는 시즌 5호 투런포를 가동했다. === 6월 === ||<-15>
'''{{{#FFFFFF 6월 월간 기록}}}''' || || '''{{{#005A9C 경기}}}''' || '''{{{#005A9C 타수}}}''' || '''{{{#005A9C 안타}}}''' || '''{{{#005A9C 2루타}}}''' || '''{{{#005A9C 3루타}}}''' || '''{{{#005A9C 홈런}}}''' || '''{{{#005A9C 득점}}}''' || '''{{{#005A9C 타점}}}''' || '''{{{#005A9C 볼넷}}}''' || '''{{{#005A9C 삼진}}}''' || '''{{{#005A9C 도루}}}''' || '''{{{#005A9C 타율}}}''' || '''{{{#005A9C 출루율}}}''' || '''{{{#005A9C 장타율}}}''' || '''{{{#005A9C OPS}}}''' || || 26 || 111 || 35 || 6 || 0 || 6 || 15 || 18 || 5 || 26 || 5 || .315 || .342 || .532 || .874 || 1일 [[피츠버그 파이리츠]]전에서도 안타 1개를 추가하며 24경기 연속 안타 행진을 이어갔다. 2일 [[뉴욕 메츠]]전에서 안타 1개를 기록했고, 3일 경기에서는 멀티 히트를 기록하며 26경기 연속 안타 행진을 이어갔다. 4일 [[뉴욕 메츠]]전에서 4타수 무안타 3삼진으로 부진하며 연속 안타 행진이 마감되었다. 5일 [[뉴욕 메츠]]전에서 1회말 시즌 6호 선제 투런포를 가동했으나, 팀은 연장에서 4:5로 패했다. 7일 [[시카고 화이트삭스]]전에서 안타 1개를 기록했고, 8일에는 9회초 타석에서 시즌 7호 솔로 홈런을 때려냈다. 9일 [[시카고 화이트삭스]]전에서 4타수 1안타 1타점 2득점을 기록했다. 15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전에서는 시즌 8호 홈런을 기록했다. 18일 [[클리블랜드 가디언스]]전에서 솔로홈런을 때려내며 시즌 9호 홈런을 기록했다. 24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전에서는 5타수 3안타 1홈런 1타점의 맹타를 휘둘렀다. 시즌 10호 홈런을 기록했고, 24일 기준으로 최근 7경기 0.469/0.471/0.719 OPS 1.190 15안타 2홈런 5타점을 기록 중이다. 28일 [[콜로라도 로키스]] 원정에서는 1점 만회하는 솔로홈런을 때려냈다. 29일 [[콜로라도 로키스]] 원정에서 2타점 적시 2루타를 때려냈다. === 7월 === ||<-15>
'''{{{#FFFFFF 7월 월간 기록}}}''' || || '''{{{#005A9C 경기}}}''' || '''{{{#005A9C 타수}}}''' || '''{{{#005A9C 안타}}}''' || '''{{{#005A9C 2루타}}}''' || '''{{{#005A9C 3루타}}}''' || '''{{{#005A9C 홈런}}}''' || '''{{{#005A9C 득점}}}''' || '''{{{#005A9C 타점}}}''' || '''{{{#005A9C 볼넷}}}''' || '''{{{#005A9C 삼진}}}''' || '''{{{#005A9C 도루}}}''' || '''{{{#005A9C 타율}}}''' || '''{{{#005A9C 출루율}}}''' || '''{{{#005A9C 장타율}}}''' || '''{{{#005A9C OPS}}}''' || || 26 || 109 || 35 || 9 || 0 || 5 || 20 || 17 || 4 || 19 || 3 || .321 || .351 || .541 || .892 || 3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전에서 4타수 3안타 1타점 맹타를 휘둘렀다. 8일 [[시카고 컵스]]전을 앞두고 올스타전 51%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내셔널 리그 유격수로 선발 출전이 확정되었다. 10일 [[시카고 컵스]]전에서는 3회 결승 2타점 적시타 포함 멀티히트를 기록하며 대역전승을 이끌었다. 12일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전에서는 4타수 2안타 1홈런 2타점 맹타를 휘둘렀으나, 팀은 패배했다. 13일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전에서는 2안타 2타점 맹타를 휘둘렀다. 16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전에서 2연타석 홈런을 때려내며 맹타를 휘둘렀다. 현재 14홈런을 기록 중. 21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의 후반기 첫 경기에서는 5타수 2안타를 기록하며 제 역할을 해줬다. 23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전에서 3회말 [[무키 베츠]]에 이어 백투백 홈런을 때려냈다. 여담으로 베츠-터너-프리먼이 다저스에서 동시에 홈런을 기록한 첫 경기가 되었다. 25일 [[워싱턴 내셔널스]]전에서는 2루타 포함 4타수 2안타를 기록하며 좋은 활약을 이어갔다. 26일 [[워싱턴 내셔널스]]전에서는 2루타 포함 4타수 2안타를 기록하며 좋은 활약을 이어갔다. 28일 [[콜로라도 로키스]] 원정에서 4타수 3안타 3타점 1도루의 만점 활약을 보여주었다. 30일 [[콜로라도 로키스]] 원정에서 시즌 16호 홈런을 기록했다. === 8월 === ||<-15>
'''{{{#FFFFFF 8월 월간 기록}}}''' || || '''{{{#005A9C 경기}}}''' || '''{{{#005A9C 타수}}}''' || '''{{{#005A9C 안타}}}''' || '''{{{#005A9C 2루타}}}''' || '''{{{#005A9C 3루타}}}''' || '''{{{#005A9C 홈런}}}''' || '''{{{#005A9C 득점}}}''' || '''{{{#005A9C 타점}}}''' || '''{{{#005A9C 볼넷}}}''' || '''{{{#005A9C 삼진}}}''' || '''{{{#005A9C 도루}}}''' || '''{{{#005A9C 타율}}}''' || '''{{{#005A9C 출루율}}}''' || '''{{{#005A9C 장타율}}}''' || '''{{{#005A9C OPS}}}''' || || 28 || 114 || 34 || 6 || 0 || 2 || 21 || 13 || 10 || 22 || 4 || .298 || .354 || .404 || .758 || 1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전에서는 시즌 17호 홈런과 희생플라이로 2타점을 기록했다. 4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전에서는 시즌 18호 홈런을 기록했다. 9일 [[미네소타 트윈스]]전에서는 5타수 2안타 3타점을 기록하며 맹타를 휘둘렀다. 10일 [[미네소타 트윈스]]전에서는 4타수 2안타 1타점 1도루를 기록하며 좋은 활약을 이어갔다. 이날 도루를 통해 시즌 20번째 도루를 달성했다. 20-20 까지는 홈런 2개만을 남겨두고 있다. 12일 [[캔자스시티 로열스]]전 7회초 무사 만루에서 때린 2타점 적시타 포함 5타수 2안타 2타점을 기록했다. 동시에 시즌 140안타로 [[프레디 프리먼]]과 함께 공동 1위로 올라섰다. 26일 [[마이애미 말린스]]전에서 2안타를 때려내며 올시즌 156안타로 157안타를 기록중인 팀 동료 [[프레디 프리먼]]과 1개 차이로 2위에 올라서있다. 최근 터너 2번 프리먼 3번으로 많이 배치되는 탓에 터너가 치면 뒤를 이어 프리먼도 쳐내는 그림이 많이 연출되고 있다. 29일 말린스전에서 10회초 내야안타로 개인 커리어 1000번째 안타를 달성했다. === 9~10월 === ||<-15>
'''{{{#FFFFFF 9~10월 월간 기록}}}''' || || '''{{{#005A9C 경기}}}''' || '''{{{#005A9C 타수}}}''' || '''{{{#005A9C 안타}}}''' || '''{{{#005A9C 2루타}}}''' || '''{{{#005A9C 3루타}}}''' || '''{{{#005A9C 홈런}}}''' || '''{{{#005A9C 득점}}}''' || '''{{{#005A9C 타점}}}''' || '''{{{#005A9C 볼넷}}}''' || '''{{{#005A9C 삼진}}}''' || '''{{{#005A9C 도루}}}''' || '''{{{#005A9C 타율}}}''' || '''{{{#005A9C 출루율}}}''' || '''{{{#005A9C 장타율}}}''' || '''{{{#005A9C OPS}}}''' || || 31 || 127 || 33 || 6 || 2 || 3 || 19 || 14 || 8 || 26 || 5 || .260 || .304 || .409 || .713 || 최근 타격감이 떨어진 모습을 보이자 2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홈경기에서는 휴식을 취했다. 하루 휴식 후 3일 샌디에이고전에서 1회말 첫타석부터 [[션 머나야]]에게 시즌 19호 투런포를 때려냈다. 8월 4일 이후 첫 홈런이자 8월 24일 이후 때려낸 첫 장타이다. 10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전에서 [[블레이크 스넬]]에게 3회초 선취점의 발판이 된 3루타와 5회초 스넬을 무너뜨린 3타점 결승 2루타를 때려내며 만점 활약을 펼쳤다. 11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전에서 9회초 10:2로 승부가 기울자 투수로 등판한 [[윌 마이어스]]로부터 홈런을 쏘아올리면서 20-20을 달성했다. 다저스 타자가 20-20을 달성한 것은 [[맷 켐프]]가 39홈런 40도루를 달성했던 2011년 이후 11년만이다. 16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전에서 1안타 1타점으로 시즌 97타점을 기록중인데, 다저스 프랜차이즈 역사상 100타점을 달성한 유격수는 1930년 글랜 라이트가 기록한 126타점이 유일하며 터너가 3타점을 추가하면 다저스 역대 두 번째이자 LA로 연고지를 옮긴 이후로는 첫 100타점을 기록한 유격수가 된다. 17일 자이언츠전에서도 5타수 2안타 멀티 히트로 12경기 연속 안타 행진을 이어갔다. 최근 7경기에서 .174/.240/.174 0홈런으로 부진하며 줄곧 유지해오던 3할 타율이 24일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전에서 무너졌다. 10월 5일 [[콜로라도 로키스]]와의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5회말 시즌 21호 스리런 홈런을 때려내며 마침내 100타점에 도달했다. 이로써 터너는 1998년 [[알렉스 로드리게스]]와 2009년 [[헨리 라미레즈]] 이후 3번째로 한 시즌에 20+홈런 25+도루 190+안타 100+타점 100+득점을 모두 해낸 유격수가 되었다. == 포스트시즌 == === [[2022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NLDS]] === ||<-15>
'''{{{#FFFFFF NLDS 기록}}}''' || || '''{{{#005A9C 경기}}}''' || '''{{{#005A9C 타수}}}''' || '''{{{#005A9C 안타}}}''' || '''{{{#005A9C 2루타}}}''' || '''{{{#005A9C 3루타}}}''' || '''{{{#005A9C 홈런}}}''' || '''{{{#005A9C 득점}}}''' || '''{{{#005A9C 타점}}}''' || '''{{{#005A9C 볼넷}}}''' || '''{{{#005A9C 삼진}}}''' || '''{{{#005A9C 도루}}}''' || '''{{{#005A9C 타율}}}''' || '''{{{#005A9C 출루율}}}''' || '''{{{#005A9C 장타율}}}''' || '''{{{#005A9C OPS}}}''' || || 4 || 18 || 6 || 2 || 0 || 2 || 4 || 2 || 0 || 5 || 1 || .333 || .333 || .778 || 1.111 || 11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의 NLDS 1차전 1회말 자신의 이번 가을야구 첫타석에서 [[마이크 클레빈저]]를 상대로 선제 솔로포를 때려냈고, 3회말에도 2루타를 추가하며 1차전 승리에 기여했다. 12일 NLDS 2차전 에서도 3회말에 [[다르빗슈 유]]를 상대로 솔로포를 때려냄으로 쾌조의 타격감을 유지했으나, 6회초에 결정적인 실책을 저지른 것이 빌미가 되어 역전을 허용했고[* 김형준 해설위원이 FA 몸값을 언급하자마자 실책을 기록했다(...)], 그것이 2차전 패배로 이어져 버렸다. 이후 3차전과 4차전 경기에서 타격에서 매우 부진했으며, 수비에서도 3차전 경기에서 실책을 범하는 등 아쉬운 모습을 보이면서 탈락에 일조했다. == 시즌 후 == 시즌이 끝나고 FA이기에 여러 팀들과 링크가 뜨는 중이다. 일단 원 소속팀인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는 터너를 잡으려고 노력하는 중인 듯 하다. 문제는 터너의 에이전트가 [[스캇 보라스]]. 하지만 터너 본인은 동부 해안가에 위치한 팀을 선호한다고 밝혔기에[* 고향이 [[플로리다 주]]이기도 하고 다저스 이적 후의 생활에 만족하냐는 인터뷰에서 뜨뜻미지근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다저스가 터너를 잡기 위해선 캘리포니아의 세율 문제도 있고 하니 어마어마한 지출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다저스를 제외한다면 현재까지 유력한 팀은 [[워싱턴 내셔널스|전 팀]] 동료였던 [[브라이스 하퍼]]가 있는 [[필라델피아 필리스]]. 다저스 구단이 퀄리파잉 오퍼를 넣었지만 터너 본인은 동부 해안가에 위치한 팀을 선호한다고 밝힌데다 터너 본인의 몸값도 몸값이기에 당연히 거절하고 FA 시장에 나왔다. 현지시간 12월 5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계약에 합의했다. 규모는 11년 $300M으로, 전 구단 트레이드 거부권이 포함되어 있다. == 총평 == 전 시즌 wRC+ 142를 기록했던것에 비해 128로 떨어졌고 실제로 비율 스탯이 전 시즌에 비해 상당히 떨어졌다. 20-20을 기록하긴 했으나, 전 시즌에 30-30에 가까운 성적을 찍은것을 생각하면 아쉽기도 한 부분. 다만 시거가 텍사스 레인저스로 이적하면서 포지션을 2루에서 유격수로 옮긴 덕분에 WAR에서는 전시즌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타격만 놓고 봤을 땐 본인의 커리어 평균보다 못 미치는 성적이지만 리그 전체를 놓고 봐도 유격수로써 훌륭한 성적임에는 틀림없다. 이후 NL 실버슬러거 유격수 부문에 선정되면서 개인 첫 실버슬러거의 영광을 안았다. == 관련 문서 ==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2022년]] * [[트레이 터너/선수 경력]] [각주] [[분류:야구선수/커리어]][[분류:트레이 터너]][[분류:로스앤젤레스 다저스/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