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필라델피아 필리스/로스터)] ---- ||
'''{{{#FFFFFF 트레이 터너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샌디에이고 파드리스 1라운드 지명선수)] ---- ||
'''{{{#FFFFFF 트레이 터너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WSH_2019_WSChampion.png|height=70]][br]'''월드 시리즈 우승 반지''' || || '''[[2019년 월드 시리즈|{{{#ffffff 2019}}}]]''' || ---- ||<-2>
[[파일:2021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파일:2022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1년|{{{#ffffff 2021}}}]]'''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2년|{{{#ffffff 2022}}}]]'''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2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유격수 부문 실버 슬러거}}}''' || || [[페르난도 타티스 주니어]][br]([[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 || '''트레이 터너[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프란시스코 린도어]][br]([[뉴욕 메츠]])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1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타격왕}}}''' || || [[후안 소토]][br]([[워싱턴 내셔널스]]) || → || '''트레이 터너[br]([[워싱턴 내셔널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제프 맥닐]][br]([[뉴욕 메츠]])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8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도루왕}}}''' || || [[디 스트레인지-고든|디 고든]][br]([[마이애미 말린스]]) || → || '''트레이 터너[br]([[워싱턴 내셔널스]])''' || → ||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1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도루왕}}}''' || || [[트레버 스토리]][br]([[콜로라도 로키스]]) || → || '''트레이 터너[br]([[워싱턴 내셔널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존 버티]][br]([[마이애미 말린스]])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0~2021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안타왕}}}''' || || [[아지 알비스]][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 '''트레이 터너[br]([[워싱턴 내셔널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프레디 프리먼]][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include(틀:2021 All-MLB 세컨드 팀)] [include(틀:2022 All-MLB 퍼스트 팀)] ---- ||<-5> '''{{{#FFFFFF [[워싱턴 내셔널스|{{{#FFFFFF 워싱턴 내셔널스}}}]] 등번호 7번}}}''' || || 스캇 헤어스턴[br](2013~2014) || {{{+1 →}}} || '''트레이 터너[br](2015~2021)''' || {{{+1 →}}} || [[마이켈 프랑코]][br](2022) || ||<-5> '''{{{#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6번}}}''' || || [[로버트 반 스코욕]][br](2019) || {{{+1 →}}} || '''{{{#005A9C,#62BCFF 트레이 터너[br](2021~2022)}}}''' || {{{+1 →}}} || [[데이비드 페랄타]][br](2023) || ||<-5> '''{{{#ffffff [[필라델피아 필리스|{{{#ffffff 필라델피아 필리스}}}]] 등번호 7번}}}''' || || [[요한 카마고]][br](2022) || {{{+1 →}}} || '''트레이 터너[br](2023~)''' || {{{+1 →}}} || [[현역#s-2]]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HI.TreaTurner.jpg|width=100%]]}}} || ||<-2> '''필라델피아 필리스 No.7''' || ||<-2> '''{{{+2 트레이 터너}}}[br]Trea Turner''' || || '''본명''' ||트레이 밴스 터너[br]Trea Vance Turner || ||<|2> '''출생''' ||[[1993년]] [[6월 30일]] ([age(1993-06-30)]세) || ||[[플로리다|플로리다 주]] 본튼 비치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파크 비스타 커뮤니티 고등학교 -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 || '''신체''' ||188cm / 83kg || || '''포지션''' ||'''[[유격수]]''', [[2루수]][* 신인 시절이던 2015~2016년에 잠시 뛰었고,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로 이적한 2021년엔 [[코리 시거]]의 존재로 2루수로 뛰게 되었다.], [[중견수]][* 2016 시즌의 주포지션으로, 이 한 해만 뛰었다.]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1년 드래프트 20라운드 (전체 602번, [[피츠버그 파이리츠|PIT]])--[br][[2014 MLB 신인드래프트#s-2|2014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3번, [[샌디에이고 파드리스|SD]]) || || '''소속팀''' ||'''[[워싱턴 내셔널스]] (2015~2021)'''[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21~2022)''' [br]'''[[필라델피아 필리스]] (2023~)''' || || '''계약''' ||2023 - 2033 / $300,000,000 || || '''연봉''' ||2024 / $27,272,727 || || '''에이전시''' ||[[Creative Artists Agency|[[파일:Creative Artists Agency 로고.svg|width=50]]]] || || '''기록''' ||'''[[사이클링 히트]] 3회 (2017.4.25., 2019.7.23., 2021.6.30.)'''[br]'''[[20-20 클럽]] 3회 (2021~2023)''' || || '''SNS''' ||[[https://www.instagram.com/tvturne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twitter.com/treavturner|[[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만터너.jpg|width=100%]]}}} || [[필라델피아 필리스]] 소속 내야수. 주 포지션은 [[유격수]]이다.[* 참고로 2루수, 중견수를 포함한 외야 수비도 가능하다. 다저스 이적 후에는 2루수로 뛰었다가 유격수 [[코리 시거]]의 [[텍사스 레인저스]] 이적으로 유격수로 뛰는 중이고, 필리스 이적 후에도 여전히 유격수로 뛰고 있다.] == [[트레이 터너/선수 경력|선수 경력]] == ||
<-6> '''통합 선수 경력 : [[트레이 터너/선수 경력]]''' || ||<-6> [[파일:MLB 로고.svg|width=45]] || || [[트레이 터너/선수 경력#s-4.1|'''{{{#FFFFFF 2015년}}}''']] ||<-2> [[트레이 터너/선수 경력#s-4.2|'''{{{#FFFFFF 2016년}}}''']] || [[트레이 터너/선수 경력#s-4.3|'''{{{#FFFFFF 2017년}}}''']] || [[트레이 터너/선수 경력#s-4.4|'''{{{#FFFFFF 2018년}}}''']] || [[트레이 터너/선수 경력#s-4.5|'''{{{#FFFFFF 2019년}}}''']] || || [[트레이 터너/선수 경력#s-4.6|'''{{{#FFFFFF 2020년}}}''']] || [[트레이 터너/선수 경력/2021년#s-2|'''{{{#fff {{{-2 21 WSH}}}}}}''']] || [[트레이 터너/선수 경력/2021년#s-3.4.1|'''{{{#fff {{{-2 21 LAD}}}}}}''']] || [[트레이 터너/선수 경력/2022년|'''{{{#FFFFFF 2022년}}}''']] || [[트레이 터너/선수 경력/2023년|'''{{{#FFFFFF 2023년}}}''']] || [[트레이 터너/선수 경력#s-6.2|'''{{{#FFFFFF 2024년}}}''']] || ||<-6>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_화이트 레드.svg|width=45]]]] || ||<-6> [[트레이 터너/선수 경력#s-7.1|'''{{{#FFFFFF 2023년 WBC}}}''']] ||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트터너.gif|width=100%]]}}} || || 2021년 8월 10일 [[필라델피아 필리스]] 원정에서 보여준 홈 슬라이딩. || 3할 타율과 20홈런을 기대할 수 있는 타격 능력과 함께 매시즌 도루왕 도전이 가능한 폭발적인 주력[* 현재 메이저리그에서 가장 주력이 우수한 선수로 평가받는다. 참고로 20-80 스케일에서는 유망주 당시 스피드 75를 받았었는데, 지금은 스피드로 터너를 확실하게 넘는 선수를 찾아보기 어려운 지경이므로 현재 기준으로 평가하자면 빼박 80이다.][* 압도적인 주력을 바탕으로 선수 생활 한 번 하기도 힘든 [[사이클링 히트]]를 무려 3번이나 기록했다. 3번째 사이클링 히트는 2021년 6월 30일 자신의 생일에 기록했다.]을 뽐내는 선수. 다만 배드볼 히터 기질이 강해 타출갭이 낮고, 타율 0.335로 커리어하이를 기록한 2020 시즌에도 출루율은 4할을 넘기지 못했다. 마른 체구에 20홈런을 쳐내는 만큼 풀스윙을 자주 구사하여 삼진 또한 많아서 볼삼비가 상당히 나쁜 편. 다만 항상 풀스윙을 하는 것은 아니고, 빠른 발을 잘 살려 평범한 땅볼에 내야안타로 살아나가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본격적으로 빅리그에서 뛰기 시작한 2016년에는 대부분 중견수로 출전했지만 17년부터는 유격수로 전향하였고, 2021년 중반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로 트레이드된 이후에는 [[코리 시거]]와 포지션이 겹쳐 주로 2루수로 출전했으며 시거가 FA로 떠나자 다시 원래 포지션인 유격수로 돌아갔다. 이처럼 빠른 발을 주무기로 한 넓은 수비 범위를 자랑하는 선수이기에 커리어 내내 센터 라인 수비를 담당했다. 다만 내야수로 늦게 전향한 탓인지 캐치와 송구 능력에 있어서는 불안함이 존재했던 터라 DRS나 UZR 같은 수비 지표를 보면 마이너스인 경우가 많았다. == 수상 내역 == * [[월드 시리즈]] 우승 ([[2019년 월드 시리즈|2019]]) * 올스타 2회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1년|2021]],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2년|2022]]) * [[내셔널 리그]] 유격수 [[실버 슬러거]] (2022) * [[내셔널 리그]] 타율 1위 (2021) * [[내셔널 리그]] 도루 1위 2회 (2018, 2021) * [[내셔널 리그]] 안타 1위 2회 (2020, 2021) * [[All-MLB 팀|All-MLB]] 세컨드 팀 (2021) * [[All-MLB 팀|All-MLB]] 퍼스트 팀 (2022) == 기타 == * 과거 [[X(SNS)|트윗]]으로 [[인종]] 비하, [[성소수자]] 비하 발언을 한 것이 문제가 되었다.[* 영화 감독 [[제임스 건]]의 저질 트윗 문제가 불거진 후 많은 유명인들의 과거 SNS 발언들이 발굴되었는데, 야구계에는 [[조시 헤이더]]가 과거에 남긴 차별 발언으로 문제가 된 바 있다.] 터너는 사과 성명을 발표했다. 다만, 트레이 터너의 경우는 학생 시절 친구들과 영화 [[화이트 칙스]]에 나온 BBC 발언[* "Once you go black, you gonna need a wheelchair." 국내 예능에서 [[신동엽]]도 비슷한 농담을 한 적이 있다.]을 한 것, 친구에게 보고 싶다고 말하며 자기 자신을 호모로 비유한 수위였는데, 이젠 저런 농담까지 긁어내 검열하냐는 반응도 많았다. * 2022 시즌 메이저리그 최다 연속 안타 기록인 26경기 연속 안타 기록을 가지고 있다. * [[배지환]]이 닮고 싶은 메이저리그 선수로 트레이 터너를 꼽았다. * 국내에서는 트터너라고 불린다. 이는 아무래도 같은 성씨(터너;Turner)를 쓰는 [[저스틴 터너]]가 2015~2019 시즌 동안 [[류현진]]의 팀메이트로 활약하며 인지도가 국내에서 더 높다 보니 둘을 구분하기 위해서로 보인다. * [[KBS]] 야구 해설위원 [[장성호]]가 극찬했다. “장점이 많은 선수고 만약 본인이 감독이라면 같이 야구를 해보고 싶다. [[5툴 플레이어|수비 잘해, 달리기 빨라, 장타 잘쳐, 클러치 능력도 있고 어디 하나 빠지는 게 없다.]] 게다가 [[얼빠|얼굴도 잘생겼다.]] 그리고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이번 대회]] 만약에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면 강력한 [[MVP]] 후보에요“라고 평가를 내렸다. [각주] [[분류:트레이 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