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루마니아의 행정구역)] ||||<#000000><:>{{{#white {{{+3 트르구무레슈 (루마니아)}}}}}}|| ||<-3><:> [include(틀:지도, 장소=루마니아 트르구무레슈)] || [목차] == 개요 == 트르구무레슈는 [[루마니아]] 중북부 [[트란실바니아]]에 위치한 도시로, 무레슈 주(Judeţul Mureş)[* [[헝가리어]]로는 Maros megye. 무레슈 주는 인구의 40%가 [[헝가리인]]이다.]의 [[주도(행정구역)|주도]]이다. 면적은 49.3km2, 인구는 145,151명(2009년 1월 1일 기준), 인구 밀도는 2,944명/km2이다. 트란실바니아의 헝가리계 다수 지역인 세케이푈드(Székelyföld)에 속해 있다. == 언어별 표기 == ||[[루마니아어]]||Târgu Mureș|| ||[[헝가리어]]||Marosvásárhely[* 머로슈바샤르헤이]|| ||[[독일어]]||Neumarkt am Mieresch[* 노이마르크트 암 미레슈]|| == 역사 == 1332년 [[교황]] [[요한 22세]]가 보낸 서한에서 'Novum Forum Siculorum'라는 [[라틴어]] 이름으로 문헌에 처음 언급되었다. 1405년 [[지기스문트|지그몬드]]가 시장을 열 권리를 승인하였고, 1470년 [[마차시 1세|마차시 코르비누스]]가 사법권을 부여하였다. [[모하치 전투]]로 [[헝가리 왕국]]이 붕괴한 이후 [[동헝가리 왕국]]에 속했다가 1570년 신설된 [[트란실바니아 공국|에르데이 공국]]에 속했다. 1616년 [[베틀렌 가보르]]에 의해 정식 도시로 승인되었다. 1658년과 1662년에 걸쳐 [[오스만 제국군]]에 의해 큰 피해를 입었으며,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이 [[오스만 헝가리]]와 에르데이 공국을 할양하며 [[합스부르크 제국]]에 속했다. 1704년 [[라코치 페렌츠 2세]]가 주도한 쿠루츠 봉기가 일어났으나 곧 [[황제군|합스부르크 제국군]]에 의해 격퇴되었고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는 공고해졌다. [[1848년 혁명]] 당시 [[세케이족]]이 [[오스트리아 제국군]]에 맞선 봉기를 일으켰으나 금방 진압되었고, [[오스트리아 제국]]의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트란실바니아 대공국|지벤뷔어겐 대공국]]에 속했다. [[대타협]]으로 주권을 되찾은 헝가리가 머로시-토르다 주(Maros-Torda vármegye)를 설립하면서 주도가 되었다. 1920년 체결된 [[트리아농 조약]]에 따라 [[루마니아 왕국]]령이 되었으나 1939년 [[뮌헨 협정|빈 중재]]에 따라 [[헝가리 왕국(1920~1946)|헝가리]]가 되찾았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헝가리가 패전하며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반환되었고 오늘날까지 루마니아 영토로 남아있다. == 인구와 사회 == [[헝가리인]]과 [[루마니아인]]이 도시를 양분하고 있다. [[클루지나포카]]와 더불어 루마니아 내 헝가리인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도시이기도 하다. 루마니아인은 대부분 [[루마니아 정교회]]를 믿으나 헝가리인은 [[가톨릭]]과 [[개혁교회]]를 믿는 사람들로 나누어진다. 대체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기에 지어진 [[신고전주의]] 양식의 건축물이 많으며 헝가리 왕국 시기 초빙된 트란실바니아 [[독일인]]이 세운 교회 건물이 여럿 남아있다. [[분류:루마니아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