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별의 커비 시리즈/카피 능력)][[분류:별의 커비 시리즈/카피 능력]] [include(틀:별의 커비 도팡 일당의 습격/카피 능력)] ||<-2>
{{{#ff6b07 '''{{{+1 트리플 스타}}}'''[br]トリプルスター/Triple Sta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350px-Kirby_TripleStar.png|width=100%]]}}} || || '''첫 등장/마지막 등장''' ||[[별의 커비 도팡 일당의 습격]] || || '''아이콘''' || [[파일:Triple_Star_Icon_KSqS.png|width=50%]] || [목차] [clearfix] == 개요 == >누가 뭐래도 >{{{+1 '''별 세 개'''}}} >라구요 당신 >대단한 일이에요 [[별의 커비 도팡 일당의 습격]]에서 나온 최종병기. 원래는 [[도팡]]의 무기였으나, 도팡이 쓰러지고 나서 커비가 [[다크 제로]]를 물리치기 위해 집어들었다. == 작중 묘사 == === [[별의 커비 도팡 일당의 습격]] === 다크 도팡을 쓰러트리면 다크 제로가 빠져나가고 난 후에 도팡에서 빠져나와 땅에 박히며, 트리플 스타를 잡으면[* 잡으면 트리플 스타가 카피되기에 원래 쓰던 능력을 잃어버린다! 그래도 미리 방울을 챙겨오던가 능력 별을 입에 머금은 상태로 트리플 스타를 카피한 후 아래 버튼을 눌러 원래 쓰던 능력을 다시 카피하는 식으로 원래 쓰던 능력을 가지고 다크 제로한테 갈 수 있다.] 다크 제로를 쫓아가게 된다. 특수 능력은 지팡이 주위에 도는 3개의 별을 날리는 것 뿐. 날아간 별을 B 버튼 + 방향키를 누르면서 180도까지 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지팡이 주위에서 대기하고 있는 별에도 공격 판정이 있어 잡몹들을 날려주는 소소한 이점도 있다.[* 다만 달리는 상태에서는 뒤에서 휘날릴 뿐이니 조심.] 그 외에 지팡이로 땅을 치면 땅이 깎여나가며, 얼음블럭이나 눈종류를 녹이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공격 능력으로서는 최종병기치고는 성능이 상당히 나쁜 편이다. 동작이 다양해서 만능 검 취급을 받는 [[별의 커비 거울의 대미궁|전작]]의 [[마스터 스워드(별의 커비 시리즈)|마스터 스워드]]와는 달리, 가능한 동작이 별을 1개씩 던지는 것이 고작이기 때문이다. 마스터 스워드와 마찬가지로 공격을 받아 카피가 날아갈 때 지팡이 모양으로 날아가고 아무리 많이 튕겨져도, 뭐에 접촉하든 사라지지 않지만 절벽으로 떨어지거나 수중에서 흘렸을 경우 못 먹게 된다. 마스터 스워드처럼, 이 무기 또한 엔딩을 보면 클리어 특전으로 일반 필드에서 사용 가능하다.[* 비밀 스테이지에서 언제든지 카피할 수 있으며, 비밀 스테이지를 언락하지 않았다면 다크 도팡을 쓰러트리고 트리플 스타를 카피한 후 스테이지를 나가면 된다.] === [[별의 커비 울트라 슈퍼 디럭스]] === 본작의 '동굴대작전' 편에서는 보물 중의 하나로 이 무기가 나온다. 여기서의 명칭은 '세별 지팡이'. 사실 이는 [[별의 커비 슈퍼 디럭스|원작]]의 보물 '가을의 추억'이 리메이크돠면서 대체된 것이다. === [[별의 커비 Wii]]/[[별의 커비 Wii 디럭스|Wii 디럭스]] === [[스톤(별의 커비 시리즈)|스톤]] 능력의 변신 형태로 등장한다. [[스타로드(별의 커비 시리즈)|스타로드]]와 [[터치! 커비]]의 마법의 붓과 같이 등장. === [[별의 커비 트리플 디럭스]] === [[별의 커비 트리플 디럭스/키홀더|키홀더]]로 등장한다. 1-3 스테이지에서 나뭇잎을 베고 [[워프스타]]를 타면 얻을 수 있다. 난이도는 2. === [[별의 커비 스타 얼라이즈]] === 드림 프렌즈로 참전한 [[도팡]] 본인이 트리플 스타를 들고 나와 공중 기술로 사용한다. 도팡 일당의 습격에서 커비가 사용할 때와는 달리 별을 1개씩 발사하지 않고, 도팡 보스전의 성능 그대로 별을 3개씩 한꺼번에 흩뿌리며, 지형에 부딪혀도 튕겨져서 공격이 지속되기 때문에 상당히 강력하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과 하위 문단들, title=별의 커비 시리즈/카피 능력, version=1863, paragraph=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