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트릭스터(유희왕))] [목차] == 개요 == [[트릭스터(유희왕)]] 문서에서 OCG화 되지 않은 카드 관련 내용을 분리한 문서 == 효과 몬스터 == === 레벨 5 === ==== 트릭스터 버드헬름 ==== [[파일:TrickstarBirdhelm-JP-Anime-VR.png]] [[파일:07b44724-s.jpg]] [[파일:a19c4869-s.jpg]] || 한글판 명칭 ||<-4>'''트릭스터 버드헬름'''|| || 일어판 명칭 ||<-4>'''トリックスター・バードヘルム'''|| || 영어판 명칭 ||<-4>'''Trickstar Birdhelm'''||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속성|빛]] || [[천사족]] || 0 || 1800 || ||<-5>①: 이 카드가 어드밴스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에게 200 데미지를 준다. 그 후,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이 효과를 발동한 턴, 자신은 배틀 페이즈를 실행할 수 없다.[br]②: 자신 필드의 "트릭스터"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장착 카드로 취급해 대상에게 장착한다. 그 후, 이 카드는 상대 몬스터/마법/함정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고, 장착 몬스터는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br]●:상대 마법/함정/몬스터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br]●: 자신 필드에 "트릭스터" 몬스터가 특수 소환될 때마다, 상대에게 200 데미지를 준다. || 56화에서 캐로베인과 함께 등장한 트릭스터 상급 몬스터. 이름에 맞게 날개 장식이 달린 투구를 쓰고 있으며 들고 있는 무기는 [[레이피어]]와 [[방패]]. 기사처럼 생긴 외형에 비해 의외로 공격력은 0이다. ①의 효과는 번 자체는 200밖에 안 되며 사실상 메인은 드로우. 특히 원래부터 배틀할 수 없는 선공시에는 아예 리스크도 없이 데미지+드로우라는 막강한 효과가 된다. ②의 효과 발동 시 원작에서는 투구를 벗어서 몬스터에게 넘겨주고 장비된 몬스터는 그 투구를 쓴 모습으로 변한다. 자신과 대상에게 상대 한정의 대상 지정 내성을 부여하고, 상대의 전개에 의존할 것 없이 자기가 특수 소환할 때마다 데미지를 계속 먹이는 강력한 번 효과를 추가로 준다. == 마법 카드 == === 트릭스터 할루시네이션 === [[파일:트릭스터 할루시네이션.jpg]] || 한글판 명칭 ||'''트릭스터 할루시네이션(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トリックスター・ハルシネイション'''|| || 영어판 명칭 ||'''Trickstar Vision'''|| |||| 일반 마법 ||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패에서 "트릭스터"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하고, 그 후, 서로는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공격력은 절반이 되고, 효과는 무효화된다.|| 작중에선 이걸로 릴리벨을 특수 소환한 뒤 만쥬시카의 소환 효과와 연동했다. === 트릭스터 템프테이션 === [[파일:트릭스터 템프테이션.jpg]] || 한글판 명칭 ||'''트릭스터 템프테이션(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トリックスター・テンプテイション'''|| || 영어판 명칭 ||'''Trickstar Temptation'''|| |||| 속공 마법 || ||||①: 자신 필드에 "트릭스터"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필드의 원래 공격력과 다른 공격력을 가진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 함정 카드 == === 트릭스터 스캐터 === [[파일:트릭스터 스캐터.png]] || 한글판 명칭 ||'''트릭스터 스캐터(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トリックスター・スキャッター'''|| || 영어판 명칭 ||'''Trickstar Scatter'''|| |||| 일반 함정 || ||||①: 자신의 "트릭스터"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한 턴에,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트릭스터판 [[작렬 장갑]]. 작중에선 사실상 전투 무적이 된 [[디코드 토커]]를 체인해 효과로 파괴했다. === 트릭스터 캐스케이드 === [[파일:트릭스터 캐스케이드.jpg]] || 한글판 명칭 ||'''트릭스터 캐스케이드(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トリックスター・カスケード'''|| || 영어판 명칭 ||'''Trickstar Cascade'''|| |||| 일반 함정 || ||||①: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자신 필드의 "트릭스터" 카드 1장을 패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을 무효로 한다.|| 캔디나를 재활용해서 다시 쓰기위한 카드인듯 === 트릭스터 페레니얼 === [[파일:트릭스터 페레니얼.jpg]] || 한글판 명칭 ||'''트릭스터 페레니얼(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トリックスター・ペレニアル'''|| || 영어판 명칭 ||'''Trickstar Perennial'''|| |||| 지속 함정 || ||||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트릭스터" 링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그 몬스터의 링크 앞의 몬스터 1장 또는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이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이 턴, 대상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 트릭스터 트리트 === [[파일:트릭스터 트리트.jpg]] || 한글판 명칭 ||'''트릭스터 트리트(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トリックスター・トリート'''|| || 영어판 명칭 ||'''Trickstar Treat'''|| |||| 지속 함정 || ||||①: 이 카드의 발동시의 효과 처리로서, 이 카드에 "트릭스터" 카운터를 1개 놓는다.[br]②: 이 카드에 "트릭스터" 카운터를 1개 놓고, 패의 "트릭스터" 함정 카드 1장을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에 세트한다(세트할 수 있는 카드는 필드에 카운터 1개당 1장까지). 이 효과로 세트한 카드는 이 턴에 발동할 수 있고, 엔드 페이즈에 파괴된다.[br]③: "트릭스터" 카운터가 2개 이상 놓인 이 카드는 엔드 페이즈에 파괴된다.[br]④: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 자신은 이 카드에 놓여진 "트릭스터" 카운터의 수 × 1000 데미지를 받는다.|| 33화에 블루 엔젤이 들고 있던 카드. 34화에 트릭스터 리인카네이션 발동을 위해 쓰였지만 LP를 8800으로 늘린 [[스펙터(유희왕)|스펙터]] 때문에 도리어 자신이 자멸하거나 스펙터의 효과 데미지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상황이 됐다. 다만 '''데미지'''일 경우 LP 전환 회복을 이용하거나 그럼 사기 카드가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실제 발매될 시 상실로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 === 트릭스터 칼마리 === [[파일:트릭스터 칼마리.jpg]] || 한글판 명칭 ||'''트릭스터 칼마리(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トリックスター・カールマリー'''|| || 영어판 명칭 ||'''Trickstar Maribold'''|| |||| 일반 함정 || ||||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자신이 링크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트릭스터" 몬스터 1장을 패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 자신 메인 페이즈에 "트릭스터" 몬스터 1장을 소환할 수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트릭스터(유희왕), version=792)] [[분류:유희왕/OCG화 되지 않은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