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트와일라잇 시리즈)] ||<-2> '''{{{+1 트와일라잇}}}''' (2008)[br]''[[파일:트와일라잇_로고.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트와일라잇 포스터.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18년 재개봉 버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트와일라잇 재개봉 포스터.jpg|width=100%]]}}}}}}}}} || || '''감독''' ||캐서린 하드윅|| || '''제작''' ||윅 고드프리, 그렉 무래디언, 마크 모건, 카렌 로즌펠트|| || '''원작''' ||[[스테파니 메이어]] 《[[트와일라잇 시리즈|트와일라잇]]》 || || '''각본''' ||멜리사 로젠버그|| || '''출연''' ||[[크리스틴 스튜어트]], [[로버트 패틴슨]] 외|| || '''장르''' ||[[판타지]], [[로맨스]], [[멜로]], [[액션]]|| ||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판씨네마]]|| ||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px]] [[서밋 엔터테인먼트]], 템플 힐 엔터테인먼트, 매버릭 필름 ||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px]] [[서밋 엔터테인먼트]][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px]] [[2008년]] [[11월 2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2008년]] [[12월 1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2009년]] [[2월 26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2018년]] [[12월 12일]][* 10주년 기념 재개봉]|| || '''촬영''' ||엘리엇 데이비스|| || '''음악''' ||[[카터 버웰]]|| || '''편집''' ||낸시 리차드슨|| || '''상영 시간''' ||121분|| || '''제작비''' ||'''3,700만 달러''' || || '''북미 박스오피스''' ||'''$192,769,854'''[* [[https://www.boxofficemojo.com/release/rl58099201/|출처]]]|| || '''월드 박스오피스''' ||'''$407,187,715'''|| || '''총 관객수''' ||'''1,376,760명 (최종)'''|| || '''[[영상물 등급 제도|{{{#fffb42 국내 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4]]]]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fff 12세 이상 관람가}}}]]'''|| [목차] [clearfix] == 개요 == 소설가 [[스테파니 메이어]]가 지은 동명 소설 원작의 2008년 미국 영화. == 제작과정 == 처음으로 소설의 판권을 구매한 곳은 [[파라마운트 픽처스]]였다. 약 3년 간 영화화를 준비했지만[* 트와일라잇이 정식 출간되기 전인 2004년에, 원고를 보고 판권을 구매했다고 한다.], 진행 과정에서 각본이 원작과 상당 부분 달라지게 되면서 제작이 무산된다.[[https://www.filmstories.co.uk/features/how-paramount-missed-out-on-making-twilight/|#]] 2007년 4월, [[서밋 엔터테인먼트]]라는 중소 배급사[* 원작이 꽤 베스트셀러였기에 많은 사람들이 [[할리우드]] 메이저 대기업들이 판권을 사고 확보하리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는데, 예상을 뒤엎고 중소업체가 제작, 배급을 맡아 더 화제였다.]에서 트와일라잇 판권을 구매하며 다시 본격적으로 제작이 시작된다. 2007년 중반, 캐서린 하드윅 감독, 각본가 멜리사 로젠버그를 영입했다. 로젠버그는 8월 말까지 대략적인 각본을 완성하고 이후 하드윅 감독과 함께 각본을 완성해나갔다. 원작 소설의 작가인 메이어에게 촬영장 방문을 요청해가며 원작을 최대한 살리면서도 영화화를 위해 몇몇 등장인물들은 삭제하며 각색 작업을 진행했다. 메이어에게 영화화 시에 반드시 바꿔서는 안되는 사항들을 리스트업 해줄 것을 요청했고, '송곳니와 관이 등장해서는 안될 것', '책에서 죽지 않는 인물이 영화에서 사망 금지' 등과 같은 사항들을 적었다고 한다. 2007년 11월, 서밋 엔터테인먼트는 [[크리스틴 스튜어트]]가 이사벨라 스완을 맡는다고 발표하였다. 캐서린 하드윅 감독이 영화 [[인투 더 와일드]]의 크리스틴 스튜어트를 보고서, 당시 스튜어트가 촬영 중이던 영화 [[어드벤처랜드]] 촬영장으로 직접 찾아가 비공식 스크린 테스트를 진행, 가장 먼저 캐스팅한다. 반면에 에드워드 역은 캐스팅하는 데에 난항을 겪었다. 수천 명의 남자 배우들이 오디션에 지원했고, 최종적으로 실로 페르난데즈, [[잭슨 라스본]][* [[재스퍼 헤일]] 역으로 캐스팅], [[벤 반스]], [[로버트 패틴슨]]이 후보에 올랐다. [[LA]]에서 스튜어트와 스크린 테스트를 진행한 끝에[* 네 명의 최종 후보가 모두 스튜어트오아너ㅓ난 스크린 테스트를 진행했고, 남자 주인공 캐스팅에 스튜어트의 추천이 크게 작용했다고 한다.], 패틴슨이 에드워드 컬렌 역에 캐스팅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vte6NmV3Ic|하드윅 감독이 말하는 캐스팅]] 촬영은 주로 미국의 [[오리건 주]]의 [[포틀랜드]]에서 진행되었다. 8월에 [[캘리포니아]]에서 재촬영을 한 끝에[* 48일이라는 비교적 짧은 시간에 촬영을 마쳤다.] 모든 촬영이 마무리 되었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AE-V_1-aa4)]}}}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8lynTVeKYU)]}}} || || {{{#fffb42 '''공식 예고편'''}}} || {{{#fffb42 '''재개봉 예고편'''}}} || == 시놉시스 == >'''얼음보다 차갑고 빛보다 빠른 그가 온다!''' > >17세의 평범한 고등학생 소녀 ‘벨라’는 집안 사정으로 >워싱턴 주 포크스에 있는 아빠의 집으로 이사를 온다. >전학 첫날, ‘벨라’는 냉담하지만 자신을 무장 해제시킬 정도로 >잘생긴 ‘에드워드’와 마주치고, 전율과 두려움 넘치는 인생의 전환을 맞이한다. > >‘에드워드’와 돌이킬 수 없는 사랑에 빠져든 ‘벨라’. >하지만 ‘에드워드’와 그의 가족이 뱀파이어 일족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고, 예기치 못한 운명에 빠져든다. > >'''2018. 12. 12 판타지 로맨스의 신화가 다시 시작된다!''' > ----- > [[https://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44829|다음 영화]] == 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트와일라잇 시리즈/등장인물)] * [[크리스틴 스튜어트]] - [[벨라 스완]] 역 * [[로버트 패틴슨]] - [[에드워드 컬렌]] 역 * 피터 파시넬리 - [[칼라일 컬렌]] 역 * 엘리자베스 리저 - [[에스미 컬렌]] 역 * [[켈란 루츠]] - [[에밋 컬렌]] 역 * [[니키 리드]] - [[로잘리 헤일]] 역 * [[애슐리 그린]] - [[앨리스 컬렌]] 역 * [[잭슨 라스본]] - [[재스퍼 헤일]] 역 * [[테일러 로트너]] - [[제이콥 블랙]] 역 * [[캠 지간뎃]] - [[제임스]] 역 == OST == ||<-3> '''[[파일:트와일라잇_로고.png|width=80]] OST'''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트와일라잇_OST.jpg|width=100%]]}}} || ||<-3> '''2008. 08. 16. 발매''' || || '''트랙''' || '''제목''' || '''가수''' || || 01 || Supermassive Black Hole || [[Muse]] || || 02 || Decode || [[Paramore]] || || 03 || Full Moon || The Black Ghosts || || 04 || Leave Out All The Rest || [[Linkin Park]] || || 05 || Spotlight (Twilight Mix) || Mutemath || || 06 || Go All The Way (Into The Twilight) || Perry Farrell || || 07 || Tremble For My Beloved || Collective Soul || || 08 || I Caught Myself || [[Paramore]] || || 09 || Eyes On Fire || Blue Foundation || || 10 || Never Think || Rob Pattinson || || 11 || Flightless Bird, American Mouth || Iron & Wine || || 12 || [[카터 버웰#s-3.1|Bella's Lullaby]] || [[카터 버웰|Carter Burwell]] || || 13 || Love Is Worth The Fall || O.A.R || || 14 || Decode (acoustic ver.) || [[Paramore]] || || 15 || Flightless Bird, American Mouth (live ver.) || Iron & Wine || || 16 || Spotlight (Son Lux Remix) || Mute Math || || 17 || Full Moon (Appleblim And Komonazmuk Remix) || The Black Ghosts || ||<-4> '''[[파일:트와일라잇_로고.png|width=80]] OST'''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트와일라잇_카터버웰.jpg|width=100%]]}}} || ||<-4> '''2008. 10. 30. 발매''' || || '''트랙''' || '''제목''' || '''작곡''' || '''링크''' || || 01 || How I Would Die ||<|21> [[카터 버웰]] || [[https://youtu.be/rP8GhUIRog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02 || Who Are They? || [[https://youtu.be/rUAgEeGK07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03 || Treaty || [[https://youtu.be/8XdN9Mf6qo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04 || Phascination Phase || [[https://youtu.be/dutQeqaR-v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05 || Humans Are Predators Too || [[https://youtu.be/_TTibck2kE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06 || I Dreamt Of Edward || [[https://youtu.be/efFFQHlQ1p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07 || I Know What You Are || [[https://youtu.be/seYICrKnAE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08 || The Most Dangerous Predator || [[https://youtu.be/mC5dN3NlJq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09 || The Skin Of A Killer || [[https://youtu.be/_VmCPixy9G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0 || The Lion Fell In Love With The Lamb || [[https://youtu.be/oMVwEmFsvu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1 || Complications || [[https://youtu.be/QyOa_lxN8S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2 || Dinner With His Family || [[https://youtu.be/lwzVzfQEQ9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3 || I Would Be The Meal || [[https://youtu.be/WLTyuo4PjZ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4 || [[카터 버웰#s-3.1|Bella's Lullaby]] || [[https://youtu.be/z1xgUJJC_w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5 || Nomads || [[https://youtu.be/dJNZyrbITc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6 || Stuck Here Like Mom || [[https://youtu.be/8XFZLh2Jru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7 || Bella Is Part Of The Family || [[https://youtu.be/6EZJ8sxzS7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8 || Tracking || [[https://youtu.be/hRFGB4y6Mz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9 || In Place Of Someone You Love || [[https://youtu.be/G-c8YWGsgJ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0 || Showdown In The Ballet Studio || [[https://youtu.be/_aEJLis2fm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1 || Edward At Her Bed || [[https://youtu.be/TctCQc0Gcg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twilight, critic=56, user=4.9)]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twilight, tomato=49, popcorn=73)] [include(틀:평가/IMDb, code=tt1099212, user=5.2)]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wilight-2008, user=3.0)]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131377, presse=3.1, spectateurs=2.6)]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32281, user=3.64)]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74158, user=7.3)]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2268359, user=7.5)] [include(틀:평가/왓챠, code=myWqyBW, user=3.6)]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40180, light=55.01)]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47229, expert=5.86, audience=9.61, user=7.92)]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44829, expert=5.8, user=7.9)] [include(틀:평가/CGV, code=38374, egg=95)] == 흥행 == 원작이 베스트셀러였지만 평가가 갈리는 작품이었기에, 세계적인 흥행을 대부분 예상하지 못했다. 서밋 엔터테인먼트라는 낯선 중소 배급사가 제작을 맡고, 독립 영화 위주로 활동해온 감독, 비교적 인지도가 낮은 어린 배우를 주연으로 내세운다는 점에서도 우려가 많았다. 제작비도 비교적 저렴한 3,700만 달러였다.[* 하지만 이게 망한다면 서밋은 위기일 정도로 거액이었다고 한다.][* [[청바지 돌려입기]]의 흥행을 목표로 삼고 그에 맞춰 제작비를 책정했다고 한다.[[https://www.hollywoodreporter.com/news/general-news/twilight-at-10-director-catherine-hardwicke-talks-film-cast-1155944/|#]]] 그러나 트와일라잇은 예상을 뒤엎고, 개봉주 박스오피스 1위에 올라 6,964만 달러의 오프닝 스코어를 올린다. 여성 감독 연출, 여성 배우 주연 영화 중 최고의 오프닝 성적이었다. '관객층이 10대 여성팬들로 한정되어 있어 주목할만한 성적을 거두긴 역부족일 것', '운이 아주 좋아야 6천만달러 정도 수입을 올릴 것'이라던 전문가들의 예측을 뒤집는 대이변이었고, 트와일라잇의 성공 요인을 분석하는 기사들이 쏟아져 나왔다.[[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54318|#]] 2008년 북미 흥행 7위를 기록했는데, 50위 권의 영화 중 메이저 배급망을 타지 않은 작품으로는 유일했고, 흥행 10위 안에 든 작품들 중엔 8,500만 달러의 제작비가 든 10위의 《호튼》[* 애니메이션 영화]을 제외하면 1억 달러 이하의 제작비가 든 유일한 영화였다.[[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dragirl90&logNo=90157483406|#]] 북미 1억 9,200만 달러, 해외 1억 9,984만 달러, 총 3억 9천만 달러 이상을 벌어들이며 제작비 10배를 넘게 버는 초대박을 거둔다. == 여담 == * 2008년 12월 12일 개봉 예정이었으나, [[해리 포터와 혼혈 왕자(영화)|해리포터]]와 비슷한 시기에 개봉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11월 21일로 개봉일이 변경되었다. * 캐서린 하드윅 감독은 뱀파이어의 차가움, 작중 배경인 포크스의 흐린 분위기를 표현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파란색 색감으로 연출하였다. [[https://zazieebeetz.tumblr.com/tagged/twilight+chapters|참고]] 다만, 하드윅 감독이 하차한 2편 《뉴 문》부터는 이런 연출이 사라졌다. * 프롬 씬에 삽입된 "Flightless Bird, American Mouth"는 크리스틴 스튜어트가 직접 선곡한 노래다.[* 주인공이 직접 선곡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Iron&Wine은 버프를 엄청나게 받았다. 본래 인디 레이블에서 활동하였으나, 2011년엔 메이저 진출에 빌보드 2위까지 하는 위엄을 달성하기도.] 해당 곡은 3년 후 《브레이킹 던 part1》 결혼식 장면에 다시 삽입되었다. * 에드워드가 벨라에게 'Bella's Lullaby'를 들려주는 장면에서 로버트 패틴슨이 실제로 피아노를 연주했다. 'Bella's Lullaby'의 작곡 비하인드는 [[카터 버웰#s-3.1|항목 참고]] * 원작 소설의 작가인 스테파니 메이어가 집필 당시 [[뮤즈(밴드)|뮤즈]]의 음악을 많이 들었기 때문에 OST에 뮤즈의 곡이 수록되었다. * 크리스틴 스튜어트의 원래 눈동자 색은 초록색인데, 원작 벨라의 설정에 맞추기 위해 갈색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고 촬영했다. * 벨라가 떨어뜨린 사과를 에드워드가 주워주는 장면은 [[:파일:트와일라잇 북미판 커버.jpg|원작 표지]]를 재현한 것이다. * 로버트 패틴슨은 원작 소설에 대해 전혀 몰랐다. 그가 오디션에 참가한 건 단지 《인투 더 와일드》에서 크리스틴 스튜어트의 연기를 좋아했기 때문이었다고. * 크리스틴 스튜어트는 트와일라잇 촬영장에서 18살 생일을 맞아 생일 선물로 밤샘 촬영을 받았다. [* 미국에서 미성년자는 촬영장에 보호자가 동행해야하며, 밤샘 촬영이 불가능하다.] * 2023년 12월 19일에 발표한 [[레고 아이디어]] 2023 첫 번째 심사에서 이 영화를 소재로 한 창작품이 최종 선정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트와일라잇 시리즈, version=605)] [[분류:트와일라잇 시리즈]][[분류:2008년 영화]][[분류:미국의 판타지 영화]][[분류:미국의 로맨스 영화]][[분류:미국의 액션 영화]][[분류:뱀파이어 영화]][[분류:소설 원작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