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한국교육과정평가원 CI.svg|width=140px]]}}}||{{{#!wiki style="margin: -5px 0" {{{+1 {{{#000000,#e5e5e5 [[대학수학능력시험/역사|'''{{{#098fd2 대학수학능력시험}}}{{{#5da928 의[br]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098fd2 50%, #5da928 5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ddd,#444> 도입 이전 ||<#ddd,#444> [[199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1994]] ||<#ddd,#444> [[199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1995]] ||<#ddd,#444> [[199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1996]] || ||<-1><#ddeed7> {{{#!wiki style="margin: -3px 0" [[4차 교육과정|{{{-2 {{{#000 4차 ~ 5차}}}}}}]]}}} ||<-4><#ddeed7> {{{#!wiki style="margin: -3px 0" [[5차 교육과정|{{{-2 {{{#000 5차}}}}}}]]}}} || ||{{{-2 ▣ 1차 실험평가(1990년)[br]▣ 2, 3, 4차 실험평가(1991년)[br]▣ 5, 6, 7차 실험평가(1992년)}}} ||{{{-2 ▣ 2회 시행[br]8. 20.(금), 11. 16.(화)}}} ||{{{-2 ▣ 첫 수요일 수능[br]▣ 인문·자연·예체능 구분 도입}}} ||{{{-2 ▣ 본고사 시행 마지막 해}}} || ||<#ddd,#444> [[199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1997]] ||<#ddd,#444> [[199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1998]] ||<#ddd,#444> [[199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1999]] ||<#ddd,#444> [[200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00]] || ||<-2><#ddeed7> {{{#!wiki style="margin: -3px 0" [[5차 교육과정|{{{-2 {{{#000 5차}}}}}}]]}}} ||<-4><#bcdeb0> {{{#!wiki style="margin: -3px 0" [[6차 교육과정|{{{-2 {{{#000 6차}}}}}}]]}}} || ||{{{-2 ▣ 수리 영역 주관식 도입[br]▣ 수능 만점 200점→400점[br]▣ [[오나타]] 사건}}} ||{{{-2 ▣ ([[수시]] 모집 첫 시행)}}} ||{{{-2 ▣ 선택과목·표준점수 도입[br]▣ 첫 수능 만점자 배출}}} ||{{{-2 ▣ 응시 인원 최다}}} || ||<#ddd,#444> [[200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01]] ||<#ddd,#444>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02]] ||<#ddd,#444>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03]] ||<#ddd,#444> [[200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04]] || ||<-4><#bcdeb0> {{{#!wiki style="margin: -3px 0" [[6차 교육과정|{{{-2 {{{#000 6차}}}}}}]]}}} || ||{{{-2 ▣ 제2외국어 영역 신설[br] ▣ 전 과목 만점자 수 최다(66명)[br] ▣ 듣기 방송 미디어 포맷이 EBS FM에서 카세트 테이프로 변경}}} ||{{{-2 ▣ 성적표 등급 표기 첫 시행[br]▣ ‘수리 · 탐구 영역 ( I )’은 ‘수리 영역’으로 명칭 변경, ‘수리 · 탐구 영역 (II)’는 ‘사회탐구 영역’과 ‘과학탐구 영역’으로 분리 [br] ▣ (정시 라군 폐지)[br]▣ (특차 전형 폐지)[br]▣ ([[이해찬 세대|수시 제도 30% 확대]])}}} ||{{{-2 ▣ 9월 모의평가 도입([[2002년]] [[9월 3일]])[br]▣ 소수점 배점 반올림 성적표 지급 소송 사태 발생}}} ||{{{-2 ▣ 6월 모의평가 도입([[2003년]] [[6월 11일]])[br]▣ 소수점 배점 전면 폐지, 정수 배점 전환[br]▣ [[2004학년도 수능 언어 영역 복수정답 사태|첫 복수 정답 인정]]}}} || ||<#ddd,#444>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05]] ||<#ddd,#444> [[200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06]] ||<#ddd,#444>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07]] ||<#ddd,#444> [[200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08]] || ||<-5><#99cd89> {{{#!wiki style="margin: -3px 0" [[7차 교육과정|{{{-2 {{{#000 7차}}}}}}]]}}} || ||{{{-2 ▣ 첫 예비평가 실시([[2003년]] [[12월 4일]])[br]▣ 수리 가형 선택 과목 도입[br]▣ 탐구 선택 과목 도입[br]▣ 직업 탐구 도입[br]▣ 제2외국어/한문 영역 명칭 변경[br]▣ 스페인어Ⅰ 명칭 변경[br]▣ 아랍어Ⅰ · 한문 도입[br]▣ 인문 · 자연 · 예체능 구분 폐지[br]▣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휴대전화 부정행위 사건|대규모 휴대전화 부정행위 사건]] 발생}}} ||{{{-2 ▣ 부산 APEC 정상회의로 인한 수능 1주일 연기[br]▣ 시험 시 전자기기 압수 의무화, [[수능 샤프]] 일괄 제공, [[필적확인란 문구]] 도입}}} ||{{{-2 ▣ 시험일 수요일 → 목요일 변경}}} ||{{{-2 ▣ [[수능 등급제|'수능 등급제' 시행 및 논란]][br]▣ [[2008학년도 수능 물리Ⅱ 복수정답 사태]] 논란[br]▣ ([[내신등급제]] 도입)}}} || ||<#ddd,#444> [[200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09]] ||<#ddd,#444> [[201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0]] ||<#ddd,#444> [[201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1]] ||<#ddd,#444> [[201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2]] || ||<-3><#99cd89> {{{#!wiki style="margin: -3px 0" [[7차 교육과정|{{{-2 {{{#000 7차}}}}}}]]}}} ||<-4><#99cd89> {{{#!wiki style="margin: -3px 0" [[2007 개정 교육과정|{{{-2 {{{#000 7차 ~ 2007 개정}}}}}}]]}}} || ||{{{-2 ▣ 수능 등급제 폐지[br]▣ 표준점수 • 백분위 제도 환원}}} ||{{{-2 ▣ 눈으로 미리 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문제지에 겉표지 도입[br] --▣ 수능 연기 ([[2009년 인플루엔자 범유행|신종플루]])--(정상 시행) [br]▣ (수시 1학기 모집 폐지)}}} ||{{{-2 ▣ G20 정상회담으로 인해 수능 1주일 연기[br]▣ EBS 70% 연계 시행 (~2021)[br]▣ 듣기 방송 미디어 포맷이 카세트테이프에서 CD로 변경[br]▣ 필적확인란 문구 사전 유출 사고[br]▣ 중국산 수능 샤프 입찰 비리 논란[br]▣ (수시 공통 지원서 도입)}}} ||{{{-2 ▣ '만점자 1%' 조정 정책 공표[br]▣ 채점 시 이미지 스캐너 도입[br]▣ 수리 영역 문제지 8면에서 12면으로 변경[br]▣ 탐구 선택과목 수를 4과목 → 3과목으로 축소, 과학탐구Ⅱ 과목에 대한 최대 선택 수 제한 폐지}}} || ||<#ddd,#444> [[201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3]] ||<#ddd,#444>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4]] ||<#ddd,#444> [[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5]] ||<#ddd,#444>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 || ||<-1><#99cd89> {{{#!wiki style="margin: -3px 0" [[2007 개정 교육과정|{{{-2 {{{#000 7차 ~ 2007 개정}}}}}}]]}}} ||<-4><#99cd89> {{{#!wiki style="margin: -3px 0" [[2007 개정 교육과정|{{{-2 {{{#000 2007 개정 ~ 2009 개정^^총론^^}}}}}}]]}}} || ||{{{-2 ▣ '만점자 1%' 조정 정책 2년 실시 후 폐지 [br]▣ (수시 모집 지원 6회 제한)}}} ||{{{-2 ▣ 두 번째 예비평가 실시[br]▣ [[언수외]] → [[국수영]] 명칭 변경[br]▣ 국어 · 수학 · 영어 A / B 형 체제 도입 및 언어 영역 듣기 폐지 [br]▣ 탐구 선택과목 수 3과목 → 2과목으로 축소[br]▣ 기초 베트남어 도입[br]▣ 한문 [math(\rightarrow)] 한문 I 으로 명칭 변경[br]▣ [[2014학년도 수능 세계지리 출제 오류 사태|수능 출제오류 관련 소송전 최초 발생]]}}} ||{{{-2 ▣ 영어 A / B 형 체제 1년 실시 후 폐지}}} ||{{{-2 --▣ [[NEAT]]로 영어시험 대체--(무산)}}} || ||<#ddd,#444>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7]] ||<#ddd,#444>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8]] ||<#ddd,#444>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9]] ||<#ddd,#444>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 || ||<-4><#75bc63> {{{#!wiki style="margin: -3px 0" [[2009 개정 교육과정|{{{-2 {{{#000 2009 개정^^각론^^}}}}}}]]}}} || ||{{{-2 ▣ 시험일 11월 셋째 주 목요일로 변경 [br]▣ 스마트 워치 등 전자 시계 착용 금지 [br]▣ 수능 모의평가 실물 정답지 미배부 [br]▣ 국어 A / B형 체제 폐지 [br] ▣ 수학 A / B형 체제 폐지 및 가 · 나형 체제 환원 [br]▣ 수학 영역 세트 문항 폐지[br]▣ 기초 베트남어 [math(\rightarrow)] 베트남어Ⅰ으로 명칭 변경[br]▣ 한국사 절대평가 전환 및 필수 영역화}}} ||{{{-2 ▣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s-5.1|수능 연기(지진)]][br]▣ 영어 절대평가 전환}}} ||{{{-2 ▣ 국어 영역 정오표 지급[br]▣ 국어 영역 난이도 조절 실패 사과}}} ||{{{-2 ▣ 재수생 수능 성적표 사전 유출 파동}}} || ||<#ddd,#444>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1]] ||<#ddd,#444>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2]] ||<#ddd,#444>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3]] ||<#ddd,#444>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4]] || ||<-4><#fff294> {{{#!wiki style="margin: -3px 0" [[2015 개정 교육과정|{{{-2 {{{#000 2015 개정}}}}}}]]}}} || ||{{{-2 ▣ 수능 연기 및 첫 12월 시행([[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br]▣ 자연계 기하·벡터 제외[br]▣ 수능 개편 1년 유예}}}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left" ▣ 2015 개정 체제로 수능 개편 [br]▣ (명목상) 문·이과 통합 수능 체제 [br] ▣ 예비평가 폐지 및 예시문항으로 대체 [br]▣ 국어 2중 1택제 도입(언어와 매체·화법과 작문)[br]▣ 수학 가/나형 폐지 및 3중 1택제 도입(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br]▣ EBS (70%→)50% 연계 및 영어 영역 직접연계 폐지 [br]▣ [[박근혜 정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사태|한국사 영역 2009개정교육과정 유지]] [br]▣ 한국사 영역 답안지 탐구에서 분리 [br]▣ 사회탐구/과학탐구 계열구분 폐지 및 17택2로 전환[br]▣ 제2외국어/한문 영역 절대평가로 전환[br]▣ [[2022학년도 수능 생명과학 II 출제 오류 사태|생명과학 II 영역 소송으로 인한 사상 최초 정답발표 연기]] [br]▣ 평가원장 난이도 조절 실패와 출제오류 사태 사과 및 사퇴}}} }}} [br]▣ 양이 많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정보|문서1]],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견|문서2]],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비판 및 논란|문서3]], [[2022학년도 수능 생명과학 II 출제 오류 사태|문서4]] 참조.}}} ||{{{-2 ▣ [[박근혜 정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사태|한국사 영역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br]▣ (서울 상위권 10개 대학 정시·의약계 지역인재 40% 선발 도입)}}} ||{{{-2 ▣[[윤석열 정부 수능 출제 방침 지시 관련 파문]][br]▣ (수시 비교과 사실상 폐지)}}} || ||<-3><#fff294> {{{#!wiki style="margin: -3px 0" [[2015 개정 교육과정|{{{-2 {{{#000 2015 개정}}}}}}]]}}} ||<-1><#FEE40D> {{{#!wiki style="margin: -3px 0" [[2022 개정 교육과정|{{{-2 {{{#000 2022 개정}}}}}}]]}}} || ||<#ddd,#444>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5]] ||<#ddd,#444>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6]] ||<#ddd,#444> [[202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7]] ||<#ddd,#444>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8]] || ||{{{-2 ▣ 일부 대학교 이공계 미적분·기하 필수 폐지[br]▣ 정시에 학교폭력 이력 반영 대학 증가[br]▣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 ||{{{-2 ▣ 모든 대입 전형에 학교폭력 이력 반영 의무화}}} ||{{{-2 (시행 미정)}}} ||{{{-2 ▣ 선택과목 폐지[br]▣ 탐구 영역 통합사회, 통합과학 공통 응시 체제로 전환[br]▣ (내신 5등급제로 전환)}}} || }}}}}}}}} || [[분류:대학수학능력시험]][[분류:둘러보기 틀/시험]][[분류:둘러보기 틀/한국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