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1px" ||
개발년도 || 국가 || 명칭 || 최대 사거리 (km) || 비고 || 상태 || || 1955년 || [[파일:소련 국기.svg|width=22]] 소련 || R-11FM[br](SS-N-1 스커드A'''^^[1]^^''') || 150 || 세계 최초의 SLBM'''^^[2]^^''' || 퇴역 || || 1955년 || [[파일:소련 국기.svg|width=22]] 소련 || R-13[br](SS-N-4 사크) || 600 || || 퇴역 || || 1961년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미국[br]([[파일:영국 국기.svg|width=22]] 영국) || [[UGM-27 폴라리스]] || 4,600 || 세계 최초의 해저 발사 SLBM || 퇴역 || || 1963년 || [[파일:소련 국기.svg|width=22]] 소련 || R-21[br](SS-N-5 사크/서브) || 1,300-1,650 || || 퇴역 || || 1963년 || [[파일:소련 국기.svg|width=22]] 소련 || R-27[br](SS-N-6 서브) || 2,400 || || 퇴역 || || 1971년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미국 || [[UGM-73 포세이돈]] || 4,600-5,400 || || 퇴역 || || 1972년 || [[파일:소련 국기.svg|width=22]] 소련 || R-27U(RSM-25) || 3,000 || || 퇴역 || || 1974년 || [[파일:소련 국기.svg|width=22]] 소련[br]([[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2]] 러시아) || R-29 비소타[br](SS-N-18 스팅레이) || 7,700 || || 퇴역 || || 1976년'''^^[3]^^''' || [[파일:소련 국기.svg|width=22]] 소련[br]([[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2]] 러시아) || R-31(RSM-45)[br](SS-N-17 스나이프) || ≧4,500 || || 퇴역 || || 1978년 || [[파일:소련 국기.svg|width=22]] 소련[br]([[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2]] 러시아) || R-29R/RL || 6,500-9,000 || || 퇴역 || || 1979년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미국 || [[UGM-96 트라이던트 I]] || ≧7,400 || || 퇴역 || || 1982년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2]] 중국 || [[JL-1|쥐랑 I]][br](JL-1/CSS-N-3) || 1,770-2,500 || || 퇴역 || || 1983년 || [[파일:소련 국기.svg|width=22]] 소련[br]([[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2]] 러시아) || [[R-39]] 리프(RSM-52)[br](SS-N-20 스터전) || 8,300 || || 퇴역 || || 1986년 || [[파일:소련 국기.svg|width=22]] 소련[br]([[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2]] 러시아) || R-29RM 쉬틸[br](SS-N-23 스키프) || ≧8,300 || || 퇴역 || || 1985년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2]] 프랑스 || [[M4 미사일|M4]] || 5,000 || || 퇴역 || || 1990년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미국[br]([[파일:영국 국기.svg|width=22]] 영국) || [[UGM-133 트라이던트 II]] || ≧12,000 || || 운용 || || 1996년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2]] 프랑스 || [[M45]] || ≧6,000 || || 운용 || || 2007년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2]] 러시아 || R-29RMU 시네바[br](SS-N-23A 스키프) || ≧11,547 || || 운용 || || 2009년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2]] 중국 || [[JL-2|쥐랑 II]][br](JL-2/CSS-N-14) || ≧7,200 || || 운용 || || 2010년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2]] 프랑스 || [[M51 미사일|M51]] || 11,000 || || 운용 || || 2013년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2]] 러시아 || [[RSM-56 불라바|Р-30 불라바]](RSM-56)[br](SS-N-32/SS-NX-30) || ≧10,500 || || 운용 || || 2013년 || [[파일:인도 국기.svg|width=22]] 인도 || K-15 사가리카 || ≧750'''^^[4]^^''' || || 운용 || || 2016년 || [[파일:북한 국기.svg|width=22]] 북한 || [[북극성(미사일)|북극성]](KN-11) || 1,300 || || 시험완료 || || 2018년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2]] 중국 || [[JL-3|쥐랑 III]][br](JL-3) || 12,000 || || 개발중 || || 2019년 || [[파일:북한 국기.svg|width=22]] 북한 || [[북극성-3]](KN-26) || ≧2,000 || || 시험완료 || || 2020년 || [[파일:북한 국기.svg|width=22]] 북한 || [[북극성-4|북극성-4ㅅ]] || 불명 || || 개발중 || || 2020년 || [[파일:인도 국기.svg|width=22]] 인도 || K-4 || ≧3,500 || || 개발중 || || 2021년 || [[파일:북한 국기.svg|width=22]] 북한 || [[북극성-5]] || 불명 || || 개발중 || || 2021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대한민국 || [[현무-IV-4]]'''^^[5]^^''' || ≧500 || 재래식 탄두용 SLBM || 시험완료 || || 2021년 || [[파일:북한 국기.svg|width=22]] 북한 || [[화성-11ㅅ]] || ≧600 || || 시험완료 || || 2021년 || [[파일:북한 국기.svg|width=22]] 북한 || [[조선인민군 2022년 공개 SLBM|2022년 공개 SLBM]] || 미상 || || 개발중 || ||<-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틀 내 각주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1]''' [[스커드 미사일|R-11 제믈랴(SS-1B 스커드A)]] 미사일을 [[줄루급 잠수함]]에서 발사할 수 있도록 개량한 버전. '''[2]''' Wade, Mark. "R-11". Encyclopedia Astronautica. '''[3]''' 개발이 시작된 연도는 1971년. '''[4]''' 탄두중량 1t(1,000 kg)일 때의 사거리 기준. '''[5]''' 북한에서 [[북극성 미사일]]이 개발되자 [[KSS-III]]에 탑재하기 위한 연구 개발을 시작했고, 2021년 9월 SLBM 잠수함 수중 발사에 성공하여 SLBM 보유국이 되었다.}}} ||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version=229)] [[분류:SLB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