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틀 설명 문서/리듬 게임]][[분류:vivid/stasis]] [include(틀:설명문서)]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여 곡 정보 작성 시 틀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또한, 해당 예시는 [[grode]]를 예시로 작성되었습니다. [[grode#s-2|예시 확인]] || 정보 || 변수 || 비고 || || 곡이름 || {{{곡이름=grode}}} || || || 오리지널 여부 || {{{오리지널=}}} || 만약 이 곡이 오리지널 곡이라면, {{{오리지널=ORIGINAL}}}로 표기합니다.[br]Boundary Shatter의 경우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 || 자켓 || {{{자켓=vs_grode.png}}} || 자켓이 없는 경우 기본 상태인 vs_logo3.0.0.png를 유지합니다.[br]'''파일명만 작성합니다.''' {{{파일:}}}을 제외한 부분만 작성해야 합니다. || || 작곡가 (문서가 없는 경우) || {{{작곡가=dandelion}}} || 문서가 없는 경우 표기합니다. || || 작곡가 (문서가 있는 경우) || {{{작곡가=, 작곡가문서명=dandelion, 작곡가문서=dandelion}}} || 문서가 있는 경우 표기합니다.[br]'''작곡가 변수는 비워야 합니다.''' || || 작곡가가 2명인 경우 || {{{작곡가=dandelion, 작곡가표기=vs, 작곡가2=dandelion}}} || 예시는 문서가 없는 경우입니다.[br]문서가 있는 작곡가의 경우 위를 참고하시면 됩니다.[br]2번째 작곡가의 경우: {{{작곡가2=, 작곡가문서명2=dandelion, 작곡가문서2=dandelion}}} || || BPM || {{{BPM=140}}} || 변속이 있는 경우라도 인게임 표기를 따릅니다. || || 자켓 디자이너 || {{{자켓디자이너=AriaL}}} || || || 카테고리 || {{{카테고리=Chapter 1}}} || 챕터에 소속된 곡의 경우 'Chapter (숫자)'와 같이 표기합니다.[br]Boundary Shatter의 경우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br]목록: {{{Chapter 0, Chapter 1, Chapter 2, Chapter 3, Single Collection, Collaboration Chapter}}} || || 해금 조건 || {{{해금조건=기본 수록곡}}} || 기본적으로 게임을 시작하자마자 플레이할 수 있는 곡은 {{{기본 수록곡}}}으로 표기합니다.[br]Song Shop에서 포인트로 구매해야 하는 곡은 {{{Song Shop에서 구매}}}로 표기합니다.[br]Node Flowchart에서 해금해야하는 곡은 {{{Node Flowchart에서 해금}}}으로 표기합니다.[br]FINAL LANDING에서 해금해야하는 곡은 {{{FINAL LANDING}}}으로 표기합니다.[br]스토리 진행 중 해금되는 히든곡의 경우 {{{문서 참조}}}로 표기합니다.[br]FINAL LANDING과 문서 참조로 표시한 경우 추가 문단을 통해 해금 방법을 서술합니다.[br]Boundary Shatter의 경우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 || 해금 비용 || {{{해금포인트=1234}}} / {{{해금배터리=123}}} / {{{해금보석=12}}} || 곡이 요구하는 포인트, 배터리, 혹은 보석의 양을 표기합니다.[br]표기가 필요없는 곡의 경우 {{{해금포인트=}}}와 같이 뒤를 비웁니다. || || 난이도 || OP난이도=1, MD난이도=6, FN난이도=8, EN난이도=11 || 순서대로 OPENING, MIDDLE, FINALE, ENCORE 순입니다.[br]Encore가 없는 경우에는 =의 뒤를 비웁니다.[br]Boundary Shatter의 경우 앞의 표기가 없어지고, 직접 난이도명을 지정해야합니다. {{{예시: 난이도명=Shatter, 난이도=-1024}}} || || 세부난이도 || OP세부=, MD세부=, FN세부=, EN세부=11.0 || 해당 난이도의 세부 난이도를 작성합니다.[br]세부 난이도를 알 수 없거나 난이도가 8 이하인 경우에는 예시와 같이 =의 뒤를 비웁니다.[br]Boundary Shatter의 경우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 || 노트 수 || OP노트수=343, MD노트수=499, FN노트수=566, EN노트수=882 || Boundary Shatter의 경우 앞의 표기가 없습니다. {{{노트수=}}} || || 차트 디자이너 || OP차터=Stelli, MD차터=Stelli, FN차터=Tari, EN차터=Stelli || Boundary Shatter의 경우 앞의 표기가 없습니다. {{{차터=}}} || 이를 이용한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include(틀:vivid/stasis 수록곡, 곡이름=grode, 자켓=vs_grode.png, 작곡가=dandelion, BPM=140, 자켓디자이너=AriaL, 카테고리=Chapter 1, 해금조건=기본 수록곡, OP난이도=1, MD난이도=6, FN난이도=8, EN난이도=11, EN세부=11.0, OP노트수=343, MD노트수=499, FN노트수=566, EN노트수=882, OP차터=Stelli, MD차터=Stelli, FN차터=Tari, EN차터=Stelli)]}}}|| 곡 정보를 넣은 뒤에는 아래에 수록곡 틀 및 다음과 같은 채보 영상 테이블을 추가해야 합니다. ||<#00FF21> Opening ||<#00C4FF> Middl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P)]}}}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D)]}}} || ||<#FF0001> Finale ||<#B200FF> Encor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N))]}}}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