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중국의 동영상 플랫폼 어플리케이션, rd1=TikTok)] [include(틀:모바일 메신저)] [목차] == 개요 == TicToc 2016년 5월 서비스 종료된 대한민국의 [[모바일 메신저]].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1604059484I|#]] 2011년 7월 매드스마트라는 신생 회사에서 출시했고, 2012년 4월 [[SK플래닛]]이 인수해서 운영했다. PC판도 있었다. 처음 나왔을 때는 5개월 만에 1천만 다운로드를 돌파하는 등 꽤 잘 나갔고, 당시 최적화가 덜 되고 서버가 불안정했던 [[카카오톡]]에 비해 가볍고 서버도 안정적[* 당시 '카톡보다 빠른 틱톡'이라는 문구로 광고 했었다.]이라 잘 나갔지만, 그 이후 카카오톡이 '겁나 빠른 황소 프로젝트'를 기점으로 국내 메신저 시장을 평정해 버리면서 명맥만 유지하게 되었다. == 여담 == * 해외에서는 [[튀르키예]]에서 많이 사용했으며, 그 덕분인지 [[한국어]], [[영어]] 이외에 [[튀르키예어]]도 지원하고 있었다. * 카카오톡이나 [[라인(메신저)|라인]]과 달리 [[서버]]에 대화 기록을 남기지 않는다. 관계자의 말로는 [[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192265|서버 살 돈이 없다]]고...거기다 가입 시 개인정보도 별로 요구 안 하고, 탈퇴하면 대화방에는 "알 수 없는 사용자"로 뜨면서 누군지 모르는 상태가 되어 버린다. 이 익명성 때문인지 [[성매매]]나 [[불륜]] 등의 어두운 쪽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한국 문화 특성상 가급적 정체를 숨겨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게이]]들의 [[원나잇]] 만남 용도 등으로도 많이 사용하는 편. 단, 암호화 전송은 하지 않기 때문에 [[텔레그램]]의 비밀 대화보다는 당연히 보안성이 떨어진다. * 2011년에는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1604059484I|해외를 포함한 전체 가입자]]는 약 2,000만 명에 달하기도 했으나. 점차 [[카카오톡]]과 [[라인(메신저)|라인]]에 밀리더니 결국 2016년 5월 13일 강세지역인 [[튀르키예]]를 제외하고 출시한지 4년 10개월 만에 서비스 종료를 공지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18&aid=0003515724&sid1=001|기사]], [[https://blog.naver.com/978kim/220694716496|글]] == 관련 문서 == * [[메신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틱톡, version=64)] [[분류:모바일 메신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