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width=50]] }}} || ||<-2> [[파일:팀 신간선.jpg|width=100%]] || ||<-2> '''{{{#fff {{{+1 팀 신간선}}} [br]Team Shinkansen / チーム新幹線[br]}}}''' || || '''{{{#fff 이름}}}'''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팀 불렛 트레인 / Team Bullet Train[br][[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열차삼형제 || [목차] == 개요 == [youtube(Vvn7Pv3z-oM)] [[트랜스포머 카로봇]]에 등장하는 집단. 미국에서의 팀명은 '''팀 불렛 트레인'''(Bullet Trains)[* 불렛 트레인은 영미권에서 일본의 신칸센을 칭하는 말이다. 그러니까 일본판의 팀명을 그대로 번역만 한 셈.], 한국판은 '''열차삼형제'''. 일본판 및 한국판의 이름은 실제 비클에서 따온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 특징 == 이름 그대로 신간선에서 변형하는 대형 트랜스포머들이다. 이들의 특징은 모델이 된 신칸센이 [[신칸센 300계 전동차|300계]]나 [[신칸센 E1계 전동차|E1계]], 그리고 [[신칸센 400계 전동차|400계]]와 같은 신칸센도 아닌 당시엔 데뷔한지 얼마 되지않은 당시 기준으로는 신형 신칸센들이라는 것이다. 열차라 그런지 10화에서 인디히트를 찾기 위해 레이스에 참가할 때 [[아이(트랜스포머 카로봇)|아이]]가 [[파이어 콘보이]], [[카로보 3형제]]와 [[스파이 체인저]]만 언급하고 팀 신간선을 쏙 빼놓자 반발했으나 [[파이어 콘보이]]가 허락해 '''참가'''하는 황당한 해프닝이 있다. 이걸 본 [[아이(트랜스포머 카로봇)|아이]]가 '기차가 왜 자동차 경주에...?'라고 하자 유우키의 대답도 가관이었다. "열차도 바퀴가 달렸으니." 팀 신간선의 완구는 완구는 당시 [[JR그룹]]과 협의하여 실제 모델이 되는 차량에 붙어있는 데칼이 완구에 그대로 붙어 있다.[* 트랜스포머 시리즈에서는 비클의 정식 라이센스를 받은 최초의 사례이다.] 본작의 제품들 중 일본 타카라제와 북미 하스브로제의 차이가 가장 큰데, 하스브로판 완구는 클리어파츠가 대거 삭제되고 부분 도색도 일부 달라졌다. 손오공제 한국 정발판은 일본판 타카라제 완구를 그대로 들여왔으며, 당연히 실제 차량의 그것을 재현한 데칼도 그대로 붙어있다. == 구성원 == === 음속참모 J-파이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width=50]] }}} || ||<-2> [[파일:external/tfwiki.net/Secret_of_the_Ruins_Railspike.jpg|width=100%]] || ||<-2> '''{{{#fff {{{+1 J-파이브}}} [br]J-Five / ジェイファイブ}}}''' || || '''{{{#fff 이름}}}'''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레일스파이크 / Railspike[br][[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J-파이브 || || '''{{{#fff 비클}}}''' ||[[신칸센 500계 전동차]] || || '''{{{#fff 소속}}}''' ||[[오토봇|사이버트론 / 오토봇]] || || '''{{{#fff 성우}}}'''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마이크 레이놀즈[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이즈미 히사시[br][[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사성웅]] || 카로봇 넘버는 C-012. [[신칸센 500계 전동차]]에서 변형한다[* 방영 당시 기준으로 신칸센 최신식 모델이었다. 참고로 일본이나 한국 기준으론 500계 전동차의 사실상 첫 로봇 형태의 의미를 보여줬다.]. 팀 신간선의 리더로 리더답게 성실한 성격으로 승객을 태우고 다니는 것에 큰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완구는 리더보정(....)으로 혼자만 발광기믹이 들어있으나, 유일하게 미사일 사출 기능이 없다. 그리고 제이파이브 단신으로는 수직 뿐만 아니라 수평으로도 다리관절 기믹을 느낄 수 있는데 합체 시 상체 중 양팔이 되는 덕분이다. 주무장은 어깨에서 미사일을 발사하는 '''숄더 마인''', 그리고 빔 라이플인 '''레이저 빔 건'''이 있다. === 음속공안관 J-세븐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width=50]] }}} || ||<-2> [[파일:external/tfwiki.net/Landfill_Rapidrunballgame.jpg|width=100%]] || ||<-2> '''{{{#fff {{{+1 J-세븐}}} [br]J-Seven / ジェイセブン}}}''' || || '''{{{#fff 이름}}}'''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래피드 런 / Rapid Run[br][[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J-세븐 || || '''{{{#fff 비클}}}''' ||[[신칸센 700계 전동차]] || || '''{{{#fff 소속}}}''' ||[[오토봇|사이버트론 / 오토봇]] || || '''{{{#fff 성우}}}'''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키스 다이아몬드[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타케모토 에이지]][br][[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성완경]] || 카로봇 넘버는 C-013. [[신칸센 700계 전동차]]에서 변형한다. 정확히는 E편성(7000번대) 히카리 레일스타용. 밝고 명랑한 청년으로 팀 내의 분위기 메이커이지만 의외로 지능적인 모습도 부각된다. 주무장은 거대한 방패인 '''세븐 실드''', 그리고 세븐 실드에서 미사일을 발사하는 '''실드 보우건'''이 있다. === 음속공안관 J-포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width=50]] }}} || ||<-2> [[파일:external/tfwiki.net/Secret_of_the_Ruins_Midnight_Express.jpg|width=100%]] || ||<-2> '''{{{#fff {{{+1 J-포}}} [br]J-Four / ジェイフォー}}}''' || || '''{{{#fff 이름}}}'''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미드나이트 익스프레스 / Midnight Express[br][[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J-포 || || '''{{{#fff 비클}}}''' ||[[신칸센 E4계 전동차]] || || '''{{{#fff 소속}}}''' ||[[오토봇|사이버트론 / 오토봇]] || || '''{{{#fff 성우}}}'''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데이비드 롯지[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마타무라 나오미[br][[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이윤선]] || 카로봇 넘버는 C-014. [[신칸센 E4계 전동차]]에서 변형한다.[* 가끔 [[신칸센 400계 전동차|400계]]로 착각하는 일도 있는데 400과 E4는 색깔도 모양도 완전히 다르다. [[신칸센 400계 전동차|400계]]의 경우는 [[용자특급 마이트가인]]에 나오는 마이트윙이나 [[용자지령 다그온]]의 다그 윙의 모티브다. 또한 2022년 기준 유일하게 정식 운용에서 퇴역한 모델이다.] 온화하고 상냥한 성격으로 순박한 청년 타입. 일본판에서는 여자 성우지만 한국판과 미국판에서는 남자 성우라 분위기가 많이 다르다. 다만 한국판은 남성 성우이면서도 순박한 캐릭터성을 살렸으나[* 평상시 목소리 톤은 이윤선 성우의 대표작인 [[푸|곰돌이 푸]]와 비슷하다. 변신 뱅크신이나 기술명을 외칠 때에는 힘주어 말하는 편.] 미국판은 전형적인 청년 목소리로 캐릭터성이 잘 드러나지 않는 편. 주무장은 빔건인 '''E4 라이플'''이 있다. == 3체합체공안관 JRX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width=50]] }}} || ||<-2> [[파일:external/tfwiki.net/Maximus_Emerges_Rail_Racer.jpg|width=100%]] || ||<-2> '''{{{#fff {{{+1 JRX}}}}}}''' || || '''{{{#fff 이름}}}'''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레일 레이서 / Rail Racer[br][[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J.R.X || || '''{{{#fff 소속}}}''' ||[[오토봇|사이버트론 / 오토봇]] || || '''{{{#fff 성우}}}'''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이즈미 히사시[* J-파이브의 성우.][br][[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데이비드 롯지[* 미드나잇 익스프레스(J-포)의 성우.][br][[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사성웅]](초반), [[성완경]](후반) || [youtube(r8dz2YCU4C0)] 팀 신간선의 3인이 합체한 [[컴바이너]]. 카로봇 넘버는 C-015. 상당한 거체에도 불구하고 빠른 스피드를 자랑으로 여긴다. 합체 구호는 '''3체합체'''. 시동어는 본작의 모든 합체가 그렇듯 '''트랜스폼'''. 한국판에서는 합체 시동어를 '''제이.알.엑스 합체!'''로 바꾸고 합체 구호를 '''3대의 힘으로! JRX!'''로 바뀌었다. 미국판의 구호는 '''블릿 퓨전 모드'''(Bullet Fusion Mode). [[컴뱃트론]]부대가 합체한 벌디가스가 라이벌시하는 존재는 [[빌드 마스터|빌드킹]]보다도 JRX쪽이 가깝다고 할 수 있겠다. 주무장은 J-파이브와 J-포의 무장을 결합한 '''J-레이저 라이플'''이 있다. 이름은 '''J'''apan '''R'''ail e'''X'''press의 약자라고 한다. 하지만 단순히 이름만으로는 이게 연상되기 어렵고 어린이들이 저 약자를 알 리 만무했기 때문에 국내 더빙판에서도 그대로 JRX로 나왔다. 사실 JRX의 기술 중에서 등의 부스터 백팩을 점화해 초고속으로 돌격하는 'J-대시'라는 기술이 있기에 모르고 보면 Jet의 약자로 보이기도 한다. 참고로 한국판에서는 중반부터 어째서인지 제이 세븐의 성우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어투는 제이 세븐의 밝은 말투가 아닌 제이 파이브의 침착한 어투가 되어 있다. 북미판은 또 다르게 미드나잇 익스프레스(제이 포)의 성우가 합체형태를 맡았다. 여담으로 본작에서 유일하게 '''처음 등장한 회차에 합체한''' 컴바이너다. 빌드 킹이나 벌디가스는 처음 구성원이 등장한 다음 화에 첫 합체가 나왔으며 심지어는 슈퍼 파이어 콘보이의 합체도 2화, 갓 파이어 콘보이의 합체도 갓 매그너스가 등장한 다음 화에 처음 등장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카로봇 오토봇)] [[분류:트랜스포머 카로봇/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