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계사 전경 문화재청.jpg|width=100%]]}}} || || 파계사(把溪寺) 전경 || [목차] == 개요 == [[대구광역시]] [[동구(대구)|동구]] [[파계로]] 741 ([[공산동#s-4.12|중대동]] 7) [[팔공산]] 국립공원 서쪽 기슭에 위치한 [[절(불교)|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 [[동화사]]의 말사이다. 이름의 유래는 '시냇물을 잡다([[把]][[溪]])'라는 뜻이다. == 역사 == [[804년]] 심지(心地)가 창건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고 [[1605년]] 중창되었다가 1695년 삼창하였다. 이 절에는 [[영조]]의 출생과 관계되는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숙종(조선)|숙종]]의 부탁을 받은 현응은 농산과 함께 백일[[기도(종교)|기도]]를 하였고 기도가 끝나는 날 농산이 [[숙빈 최씨]]의 [[꿈]]에 나타났다. 이렇게 태어난 아들이 후일의 영조였다는 것이다. 숙종은 이에 대한 보답으로 파계사 주변 40리 이내의 [[조세]]를 받아 쓰라고 하였으나, 현응은 이를 거절하고 선대의 [[위패]]를 모시기를 청하였다. 이는 지방 유림(儒林)의 행패를 막으려는 것이었다. 당시에도 [[사대부]]들에 의한 [[불교]] 탄압이 극심하였다. [[1979년]] [[관음보살]]상을 개금(蓋金)[* [[금]]을 덮어 씌우는 것을 말한다.]할 때 [[불상]]에서 나온 영조의 [[어의]](御衣)는 이 설화의 신빙성을 더해 준다. [[파일:hscsqDy.jpg]] [[파일:vWkOg5Fr.jpg]] == 건물 == 현존하는 건물로 2층 누각인 진동루(鎭洞樓), 법당인 원통전(圓通殿), 적묵당(寂默堂) 등이 있다. 부속암자로 현니암(玄尼庵), 성전암(聖殿庵), 금당암(金堂庵) 등이 있다. 성전암은 경북 3대 도량 중의 하나로 [[성철(승려)|성철]] 스님이 한 때 [[수도]]했던 곳이다. [[문화재]]로 [[대한민국의 보물|보물]] 제1214호 파계사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가 있다. == 주요 문화재 == === 보물 === * 992호 - 건칠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 1214호 - 영산회상도 * 1850호 - 원통전 ==== 건칠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 1989년 4월 10일 보물 제992호로 지정되었다. ==== 영산회상도 ==== 1995년 1월 10일 보물 제1214호로 지정되었다. ==== 원통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계사 원통전 문화재청.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계사 원통전 편액 2015년 문화재청.jpg|width=100%]]}}}|| || 파계사 원통전 || 1984년 7월 25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가 2014년 12월 29일 보물 제1850호로 승격되었다. === 국가민속문화재 === ==== 영조대왕의 도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조대왕의 도포1 문화재청.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조대왕의 도포2 문화재청.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조대왕의 도포 명문 문화재청 수정.jpg|width=100%]]}}}|| || 영조대왕의 도포 || ===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 * 73호 - 원통전 수미단 * 74호 - 왕실 원당 관련 고문서 일괄 ==== 원통전 수미단 ==== 2015년 5월 11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3호로 지정되었다. ==== 왕실 원당 관련 고문서 일괄 ==== 2015년 5월 11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4호로 지정되었다.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 * 7호 - 설선당 * 8호 - 산령각 * 9호 - 적묵당 * 10호 - 진동루 * 11호 - 기영각 * 52호 - 아미타삼존도 * 53호 - 신중도 및 복장유물 일괄 * 54호 - 소장 책판 일괄 ==== 설선당 ==== 1984년 7월 25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7호로 지정되었다. ==== 산령각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계사 산령각 2015년 문화재청.jpg|width=100%]]}}}|| || 파계사 산령각 || 1984년 7월 25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8호로 지정되었다. ==== 적묵당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계사 적묵당 전경 2015년 문화재청.jpg|width=100%]]}}}|| || 파계사 적묵당 || 1984년 7월 25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9호로 지정되었다. ==== 진동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계사 진동루 측면 2015년 문화재청.jpg|width=100%]]}}}|| || 파계사 진동루 측면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계사 진동루 계단 2015년 문화재청.jpg|width=100%]]}}}|| || 파계사 진동루 계단 || 1715년 지어진 문으로 1984년 7월 25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0호로 지정되었다. ==== 기영각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계사 기영각 2015년 문화재청.jpg|width=100%]]}}}|| || 파계사 기영각 || 1984년 7월 25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1호로 지정되었다. ==== 아미타삼존도 ==== 2015년 5월 11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2호로 지정되었다. ==== 신중도 및 복장유물 일괄 ==== 2015년 5월 11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3호로 지정되었다. ==== 소장 책판 일괄 ==== 2015년 5월 11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4호로 지정되었다. === 도난문화재 === * 삼장탱화 - 1707년 만들어진 불화이다. * 나한탱화 - 1867년 만들어진 불화이다. 둘 다 1991년 10월 12일에 도난되었다. == 교통 == [[시내버스]]는 [[간선버스]]로 [[대구 버스 101, 101-1|101(-1)번]]이 유일하며 종점이기도 하다. 시내버스 종점은 파계삼거리에 있는 파계사 주차장에 있으므로 사찰로 가려면 종점 주차장에서 내린 후 좀 더 들어가야 한다. [[지선버스]]는 [[대구 버스 칠곡3|칠곡3번]] 파계사 방면, [[대구 버스 팔공3|팔공3번]]이 있으며, 모두 파계사 서쪽의 [[칠곡군]] 동명면에서 온다. 그러나 [[대구 버스 칠곡3|칠곡3번]]은 1일 2회만 운행하고, [[대구 버스 팔공3|팔공3번]]은 [[주말]], [[공휴일]] 한정으로 50분 간격으로 다니며 그것도 12월부터 2월까지는 운행하지 않는다. == 기타 ==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으로 [[군위군]]과 가장 가까운 곳이 되었으나 군위와 바로 연결되는 등산로는 일반인들의 출입이 통제되어 있다. 파계삼거리로 올라가는 길부터 파계사에 이르기까지, 주변에 많은 카페와 식당 등이 형성되어 있다. 산 속에 위치하면서도 도로가 잘 되어 있고, 분위기 좋은 카페와 식당이 많아 팔공산으로 드라이브 오는 사람들이 많이 찾고 있다. 2023년 11월 19일 오후 5시 50분경 동구 [[신용동(대구)|신용동]] [[팔공산로]] [[파계사]]에서 [[동화사]]로 가는 방면 내리막길에서 [[드라이브]] 중이던 [[i30]] 차량이 [[연석]]을 들이받고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낙엽]]에 미끄러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 인해 10대 여학생 1명이 현장에서 사망했으며 또다른 10대 여학생은 인근 대학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치료를 받던 중 사망했다. 20대 운전자도 [[심정지]] 상태로 [[대구파티마병원]]에 실려 갔으나 11월 20일 오전 결국 사망했다. 함께 동승한 10대 남학생 2명도 중상을 입고 인근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이들은 각기 연인과 지인 사이로 확인됐다. [[https://v.daum.net/v/20231120061232382|#1]] [[https://v.daum.net/v/20231120152028932|#2]] [[분류:대한불교조계종 말사]][[분류: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분류:팔공산]][[분류:동구(대구)]][[분류:한국의 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