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 리딩 사이어)] [include(틀:일본 리딩 브루드메어 사이어)]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rtholon.png|width=100%]]}}}|| || 이름 || Partholon[br]パーソロン || || 출생 || [[1960년]]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 || 죽음 || [[1985년]] [[10월 5일]] (25세) || || 성별 || 수컷 || || 아비 || 밀레시안 (Milesian) || || 어미 || 팔레오 (Paleo) || || 외조부 || 파리스 (Pharis) || || 성적 || 14전 2승 || || 총상금 || 13,251 파운드 || || 주요 우승 || 내셔널 스테이크스(1962)[br]이보어 핸디캡(1963) || || 주요 수상 || 1971, 1976년 일본 리딩 사이어[br]1987~1989년 일본 리딩 브루드메어 사이어[* 중앙경마만 집계한 결과. 지방경마를 포함할 경우 1991년 리딩 BMS도 파르홀론이다.] || || [[#s-3.1|주요 자마]] || [[메지로 아사마]](1966)[br]토코 엘자(1971)[br]사쿠라 쇼리(1975)[br][[심볼리 루돌프]](1981)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일랜드의 [[경주마]]. 부마의 이름이 Milesian([[밀레시안]])인 것을 보면 이름은 아일랜드의 [[파르홀론]]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서는 th 발음을 サ 행으로 표기하기 때문에 파솔론(パーソロン)으로 불렸다. 이 문서 역시 파솔론으로 들어올 수 있다. 현역 시절에는 14전 2승의 성적을 거뒀으나 일본에서 종마로 성공하여 [[메지로 아사마]], [[심볼리 루돌프]] 등의 경주마를 낳았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Milesian[br]{{{-2 1953}}}||<|2>My Babu[br]{{{-2 1945}}}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Djebel'''[br]{{{-2 1937}}}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Perfume[br]{{{-2 1938}}}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2>Oatflake[br]{{{-2 1942}}}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Coup De Lyon[br]{{{-2 1930}}}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Avena[br]{{{-2 1936}}}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4>Paleo[br]{{{-2 1953}}}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2>Pharis[br]{{{-2 1936}}}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Pharos'''[br]{{{-2 1920}}}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Carissima[br]{{{-2 1923}}}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2>Calonice[br]{{{-2 1940}}}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Abjer[br]{{{-2 1933}}}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Coronis[br]{{{-2 1935}}}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3>* Pharos 5×3 15.625%[br]* Tourbillon 4×4 12.5%[br]* Blandford 5×4 9.375%|| 파르홀론이 일본에서 종마로 성공하면서 전형제들도 일본에 수입되었는데 미스테리(Mystery,1959)는 1980년 국화상 우승마 노스 거스트의 BMS, 더 페일(The Pale,1968)은 [[아부쿠마 포로]]의 BMS다. == 생애 == 현역 시대는 14전 2승으로 내셔널 스테이크스[* 현 Vincent O'Brien Stakes, 아일랜드 G1]와 이보어 핸디캡[* Ebor Handicap 영국 C2]에 우승했고 2착이 5회, 아이리시 더비 6착, 아이리시 세인트 레저 4착을 기록했다. [[심볼리 목장]]의 2대 대표 와다 토모히로는 파르홀론을 눈여겨보고 있었고 현역이 끝나기 전에 심볼리 목장의 와다 토모히로와 [[메지로 목장]]의 키타노 토요키치가 공동으로 구입해 3세 시즌이 끝나고 1964년 일본에 종마로 수입되었다. === 종마 생활 === 유럽의 아호누라와 함께 20세기 후반의 대표적인 헤로드계(시조 바이얼리 터크) 씨수말로, 경마계에서 [[이클립스(말)|이클립스]]계(시조 달리 아라비안)와 매첨계(시조 고돌핀 아라비안)에 밀려 일류 경마 시행국에서는 거의 사라져가던 헤로드계의 일대 부흥을 이끌었다. 1964년은 바로 [[신잔]]이 3관을 이룬 해로 신잔의 부마인 [[힌도스탄]]이 리딩 사이어인 [[세인트 사이먼]]계의 시대였기 때문에 당시에도 모험적인 시도였다. 하지만 이후 [[노던 댄서]]계의 [[노던 테이스트]]와 [[선데이 사일런스]]가 씨숫말로써 높은 성과를 내며 일본 경마계를 장악해가는 중에 자손인 [[메지로 맥퀸]], [[토카이 테이오]] 등은 후계를 이을 만한 수말을 생산하는 데 실패하면서 파르홀론 직계의 명맥은 사실상 끊기기 직전이다. 유럽의 아호누라계도 상황이 썩 좋지는 않지만 파르홀론계에 비하면 양반이다. 심볼리 루돌프, [[시리우스 심볼리]][* 파르홀론의 외손자.] 등의 경주마를 배출한 히다카 심볼리 목장(홋카이도 히다카초 소재)에는 파르홀론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 주요 산구 목록 === * 1965년 * 야마토 타케 - 케이세이배 3세 스테이크스 * 1966년 * [[메지로 아사마]] - '''천황상(가을)''', 야스다 기념, 아메리칸 자키 클럽 컵, 아르헨티나 자키 클럽 컵, 할리우드 터프 클럽상, 하코다테 기념 * 글로브 터프 - 아이치배 * 1967년 * 하버 게임 - 야스다 기념, [[후추 암말 스테이크스|암말 도쿄 타임즈배]], 퀸 스테이크스 * 토쇼 핏 - 나카야마 기념, 세키야 기념, 쿠모하타 기념 * 1968년 * 카네 히무로 - [[우준 빈마|오크스]] (1971) * 나스노 카오리 - [[오카상]], 4세 암말 특별 * 메지로 겟코 - 야요이상, 스프링 스테이크스 * 미네랄 심볼리 - 일본 단파상 * 타니노 카츠히메 - [[전일본 2세 우준|전일본 3세 우준]], 관동 오크스, 오카상, 우라와 기념, 평화상 * 1969년 * 타케 후부키 - [[우준 빈마|오크스]](1972) * 토쿠 자쿠라 - [[아사히배 퓨처리티 스테이크스|아사히배 3세 스테이크스]], 암말 도쿄 타임즈 컵, 더비 경 챌린지 트로피, 케이세이배 3세 스테이크스, 니가타 3세 스테이크스 * 노보루 토코 - 스프린터스 스테이크스, 고쿠라대상전, 세키야 기념, 후쿠시마 기념, 타나바타상 * 1970년 * 나스노 치구사 - [[우준 빈마|오크스]](1973), 케이오배(가을) 핸디캡(1975), 니가타 기념(1974) * 야마부키 오 - 나카야마 기념, 케이오 컵 스프링 핸디캡, 킨코상, 주쿄 기념, 더비 경 챌린지 트로피, 하코다테 기념 * 마치카네 하치로 - 마일러즈 컵 * 스피드 리치 - 도쿄 4세 스테이크스 * 1971년 * 토코 엘자 - [[우준 빈마|오크스]](1974), 빅토리아 컵(1974), 퀸 스테이크스(1974) * 커널 심볼리 - 메구로 기념(봄), 야요이상, 도쿄 4세 스테이크스, 케이세이배 3세 스테이크스, 홋카이도 3세 스테이크스 * 1973년 * 스쿼시 솔론 - 야스다 기념, 한신 4세 암말 특별 * 볼드 심볼리 - 아사히배 3세 스테이크스 * 마치카네 타이테이 - 케이한배 * 무사시다케 - 워닝 그랑프리 컵 * 1975년 * 사쿠라 쇼리 - '''[[도쿄 우준|일본 더비]](1978)''', [[타카라즈카 기념]](1979), 아메리칸 자키 클럽 컵(1979), 메구로 기념(봄)(1979), 세인트 라이트 기념(1978), 도쿄 4세 스테이크스(1978) * 아그네스 호프 - 마이니치 컵 * 1977년산 * 심볼리 프렌드 - 케이오배 스프링 핸디캡 * 스위트 네이티브 - 야스다 기념, 타나바타상, 암말 도쿄 타임즈 컵 * 타케노 해피 - 퀸 스테이크스, 더비 경 챌린지 트로피 * 1978년 * [[산에이 솔론]] - 스프링 스테이크스, NHK배, 교토신문배, 오사카배 * 1979년 * 스위트 카슨 - 올커머, 후쿠시마 기념 * 심볼리 요크 - 도쿄신문배 * 사쿠라 심볼리 - 엡섬 컵 * 1980년 * 사쿠라 가이센 - 아메리칸 자키 클럽 컵 * 윈저 노트 - 하코다테 기념 2회 * 1981년 * [[심볼리 루돌프]] - '''1984년 무패 클래식 삼관^^([[사츠키상]], [[도쿄 우준|일본 더비]], [[킷카상]])^^, [[아리마 기념]](1984, 1985), [[천황상|천황상(봄)]](1985), [[재팬 컵]](1985)''', 닛케이상(1984), 야요이상(1984), 세인트 라이트 기념(1984) * 다이애나 솔론 - '''[[오카상]]'''(1984), 사파이어 스테이크스(1984) * 1982년 * 사쿠라 서니 오 - 아르헨티나 공화국배, 케이세이배 * 아사쿠사 스케일 - 퀸 스테이크스 * 1984년 * [[마테리얼]] - 스프링 스테이크스(1987), 케이오배 어텀 핸디캡(1989) * 1985년 * 키리 파워 - 메구로 기념 ==== Broodmare Sire(BMS)산구 ==== * '''굵게''' 표시된 것은 '''GI/JpnI''' 경주. * 디아만테(아버지 토피오) - 엘리자베스 여왕배, 후쿠시마 기념 * [[카네 미노부]](아버지 바바) - [[아리마 기념]], 아르헨티나 공화국배, 니혼게이자이상, 메구로 기념(봄), 마이니치 왕관 * 빙고 가루(아버지 듀얼) - [[사츠키상]], 아사히배 3세 스테이크스, 케이오배(가을) 핸디캡, 세인트 라이트 기념 * [[시리우스 심볼리]](아버지 모가미) - [[도쿄 우준|일본 더비]] * 라이트 컬러(아버지 야마닌스키) - [[우준 빈마|오크스]] * 심볼리 크리엔스(아버지 모가미) - 나카야마 대장해(봄)·(가을), 도쿄 장애 특별(봄)·(가을) * 카네 유타카 오(아버지 [[카츠라노 하이세이코]]) - 도치기 삼관 * 폴레르(아버지 에브로스) - 나카야마 대장해(봄) 2회·(가을), 도쿄 장해 특별(봄), 한신 장해 스테이크스(가을) * [[메지로 도베르]](아버지 [[메지로 라이언]]) - '''[[오크스(일본)|오크스]](1997), [[슈카상]](1997), [[엘리자베스 여왕배]](1998, 1999), [[한신 쥬브나일 필리즈|한신 3세 암말 스테이크스]](1996)''', 올커머(1997), 후추 암말 스테이크스(1998) * 아인 브라이드(아버지 Commander in Chief ) - '''한신 3세 암말 스테이크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파르홀론, version=64, paragraph=3)] [[분류:경주마/영국 생산]][[분류:경주마/아일랜드 조교]][[분류:종마/일본]][[분류:죽은 경주마]][[분류:1960년 출생/경주마]][[분류:1985년 죽은 동물]][[분류:파르홀론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