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파리 이터널)] [include(틀:베이거스 이터널/역대 시즌)] [목차] == 창단 로스터 == || '''역할군''' || '''이전 팀''' || '''선수''' || ||<|4>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width=40]] || [[필라델피아 퓨전|[[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40]]]] || '''ShaDowBurn[br][[게오르기 구샤]]''' || || [[LA 발리언트|[[파일:LA 발리언트 로고 1.svg|height=40]]]] || '''SoOn[br][[트랑스 타를리에]]''' || || [[파일:Eagle_Gaming_logo_std.png|width=40]] || '''NiCOgdh[br][[니콜라 모레]]''' || || [[파일:600px-Copenhagen_Flames_2018.png|height=40]] || '''danye[br][[카롤 슈체시니악]]''' || ||<|3>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width=40]] || [[파일:600px-Mayhem_Academy.png|height=40]] || '''LhCloudy[br][[로니 티이호넨]]''' || || [[파일:Young_and_Beautiful.png|height=40]] || '''BenBest[br][[뱅자맹 듀라페]]''' || || [[LA 발리언트|[[파일:LA 발리언트 로고 1.svg|height=40]]]] || '''Finnsi[br][[핀비욘 요나손]]''' || ||<|3>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width=40]] || [[파일:Eagle_Gaming_logo_std.png|width=40]] || '''HyP[br][[데미안 소빌]]''' || || [[파일:Toronto_Esports_Logo.png|height=40]] || '''Kruise[br][[해리슨 폰드]]''' || || [[파일:GGEA.png|height=40]] || '''Greyy[br][[루이스 페르스트렐루]]''' || == 정규시즌 == ||<-4> {{{#ffaa1c '''파리 이터널 스테이지별 성적'''}}} || || 스테이지 || 승-패 || 순위 || 세트 득실 || || 스테이지 1 || '''{{{#008600 3-4}}}''' || 17 || -8 || || 스테이지 2 || '''{{{#eb0000 2-5}}}''' || 16 || -8 || || 스테이지 3 || '''{{{#006800 3-4}}}''' || 12 || -1 || || 스테이지 4 || '''{{{#006800 3-4}}}''' || 14 || -4 || '''{{{#0000eb 파란 글씨}}}'''는 승리가 많을 경우, '''{{{#eb0000 빨간 글씨}}}'''는 패배가 많을 경우, '''{{{#008600 초록 글씨}}}'''는 승과 패의 차이가 2 이하일 경우다. === 스테이지 1 === 주전 선수 목록은 딜러를 NiCOgdh, SoOn, 탱커를 BenBest, Finnsi, 힐러를 Kruise, HyP 조합으로 계속 출전 중이다. [[밴쿠버 타이탄즈]] 경기 이후로 순과 쉐도우번이 번갈아서 출전을 하고있다. 리그 출신을 여럿 영입하고 컨텐에서 33메타를 잘 다루는 선수들만 모아놨기 때문에 1스테이지 한정 상위권이라고 평가를 받았으나, 상위권팀 상대로는 줄줄이 패배하고 중하위권으로 마무리한 팀한테만 승리를 따내는 전형적인 중위권팀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점점 경기력이 올라오는 다른 팀과는 달리 점점 서로 역할분배를 제대로 못하는 경기를 보여주었다. 특히 [[워싱턴 저스티스]]와의 경기에서 기묘한 장면(특히 3경기)을 보여주면서 이상한 경기력까지 보여주었다. 결국 같은 비한국인팀인 [[청두 헌터즈]]와 같은 16위로 마무리했다. === 스테이지 2 === 지난 스테이지에서 기대 이상의 평가를 받았지만 기대 이하의 성적을 내면서 지난 스테이지 때 출전하지 않던 [[카롤 슈체시니악|3명의]] [[로니 티이호넨|선수]][[루이스 페르스트렐루|들이]] 모두 출전을 하고 팀합을 맞추었다. 4월 5일 4:0으로 [[광저우 차지]]한테 승리를 했다. 4월 7일 [[청두 헌터즈]]와의 경기에서는 공시메와 같은 변칙적인 조합과 난전을 유도하는 딜러 조합에 흔들리며 4대0으로 압도적으로 패배한다. 4월 12일 [[플로리다 메이헴]]과의 경기는 3대1로 승리를 거둔다. 4월 15일 [[댈러스 퓨얼]]에게 2대1로 패한다. 4주차 댈러스 홈스탠드 주간부터 Finnsi 대신 NiCOgdh가 출전해서 디바를 들었다. [[런던 스핏파이어]]에게 4대0, [[항저우 스파크]]에게 3대2로 패하며 2패에 승점관리도 실패하며 지난 스테이지에 이어 플레이오프는 또 한 번 멀어지게 되었다. 특히 [[트랑스 타를리에|SoOn]]은 두 경기 내내 자탄을 썼다 하면 매트릭스에 먹히고 런던전에서는 [[박준영(프로게이머)|Profit]], [[홍재희|Gesture]]에게 위도우로 서열정리[* 특히 제스쳐는 경기 시작하자마자 잠깐 꺼내서 딱 한 발 쏘고 바꿨는데 Soon의 헤드를] 까지 당하는 등 굴욕만 한껏 당하며 상처뿐인 댈러스 원정을 마쳤다. 마지막 경기인 [[토론토 디파이언트]]한테 4:0으로 패배했다. === 스테이지 3 === 초반에 승리를 했으나 점점 떨어지는 폼때문에 로스터 내에서 나름대로 3탱3힐로 로스터를 정리하고 BenBest, Danye, NiCOgdh가 고정 출전을 했다. 토론토 전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시작은 좋았으나 계속 경기를 해보니 딱히 특출난 점도 없고 보스턴과의 리매치때 패패승승승으로 역스윕을 당하면서 보스턴한테 승리를 내주었고 스테이지 마지막 경기인 서울 다이너스티와의 경기에서 패배하면서 또한번 스테이지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했다. === 스테이지 4 === 222 고정이후 리그에서 뛰어난 기량을 보였던 SoOn, ShaDowBurn이 딜듀오로 출전하고 LHCloudy가 오리사를 들면서 출전을 했다. 필라델피아 퓨전과의 대결에서 패패승승승으로 역스윕으로 승리를 거두어서 시즌 플레이오프 진출할 가능성이 생겼으나 LA 발리언트가 보스턴 업라이징과의 대결에서 승리를 해서 시즌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2019 시즌 마지막 경기인 워싱턴 저스티스와의 경기에서 패배하면서 확인 사살되었다. 이후 남은 스테이지서도 3승 4패씩 하는 아쉬운 성적으로 첫 시즌을 11승 17패 14위의 중하위권으로 마무리했다. [[분류:베이거스 이터널]]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파리 이터널, version=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