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D7CBA 0%, #0755A1 30%, #0755A1 70%, #3D7CBA)" {{{#ffffff '''파비오 리베라니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folding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10d28 0%, #b10d28)" {{{#ffffff '''칼리아리 칼초 역대 감독'''}}}}}} || || [[발테르 마차리]][br]{{{-1 (2021~2022)}}} || {{{+1 →}}} || '''{{{#fff 파비오 리베라니[br]{{{-1 (2022)}}}}}}''' || {{{+1 →}}} || [[클라우디오 라니에리]][br]{{{-1 (2023~ )}}}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4d8f8 0%, #84d8f8 20%, #84d8f8 80%, #84d8f8);" {{{#003976 ''' SS 라치오 주장 ''' }}} }}} || || [[세자르]][br]{{{-1 (2004~2005) }}} || {{{+1 {{{#003976 ▶ }}} }}} || '''{{{#003976 파비오 리베라니[br]{{{-1 (2005~2006)}}}}}}''' || {{{+1 {{{#003976 ▶ }}} }}} || [[마시모 오도]][br]{{{-1 (2006~2007)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이탈리아의 축구감독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en.jpg|width=100%]]}}} || ||<-2> {{{#000000,#e5e5e5 ''' 이름 ''' }}} || {{{+1 '''파비오 리베라니'''}}}[br]'''Fabio Liverani''' || ||<-2> {{{#000000 ''' 출생 ''' }}} ||[[1976년]] [[4월 29일]] ([age(1976-04-29)]세) / [br] {{{-1 [[이탈리아]] [[라치오|라치오주]] [[로마]]}}} || ||<-2> {{{#000000 ''' 국적 '''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이탈리아]] || ||<-2> {{{#000000 ''' 신체 ''' }}} ||[[키(신체)|키]] 175cm || ||<-2> {{{#000000 ''' 직업 ''' }}} ||축구선수([[중앙 미드필더]] / ^^은퇴^^)[br][[축구 감독]] || ||<|2> {{{#000000 ''' 소속 ''' }}} || {{{#000000 ''' 선수 ''' }}} ||[[US 팔레르모]] (1994~1995 / ^^유스^^)[br][[SSC 나폴리]] (1995~1996 / ^^유스^^)[br][[칼리아리 칼초]] (1996 / ^^유스^^)[br]ASD 노체리나 (1996)[br]비테르베세 카스트렌세 (1997~2000)[br][[AC 페루자]] (2000~2001)[br]'''[[SS 라치오]] (2001~2006)'''[br][[ACF 피오렌티나]] (2006~2008)[br][[US 팔레르모]] (2008~2011)[br][[FC 루가노]] (2011) || || {{{#000000 ''' 감독 ''' }}} ||[[제노아 CFC|제노아 CFC 유스]] (2011~2013)[br][[제노아 CFC]] (2013)[br][[레이턴 오리엔트 FC]] (2014~2015)[br][[테르나나 칼초]] (2017)[br]'''[[US 레체]] (2017~2020)'''[br][[파르마 칼초 1913]] (2020~2021)[br][[칼리아리 칼초]] (2022) || ||<-2> {{{#000000 ''' 국가대표 ''' }}} ||3경기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 2001~2006)^^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탈리아의 축구선수 출신 감독. == 선수 경력 == 현역 시절 주력과 체력 및 피지컬과 수비적 능력은 평균 이하였으나 번뜩이는 센스와 넓은 시야, 정확하고도 창의적인 왼발 패스로 이름난 플레이메이커였다. 주로 중앙 미드필더나 레지스타로 뛰며 경기 전체를 조율했고, 경기장 안 뿐만 아니라 밖에서도 빛을 발하는 탁월한 리더였다. 1976년 소말리아인 어머니와 이탈리아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고, 1996년 프로에 데뷔했다. 오래 된 축구 팬들은 리베라니가 2000년부터 1년간 페루자에서 뛰며 [[안정환]]과 호흡을 맞추었던 모습을 기억한다. 2001년부터 2006년까지 라치오에서 전성기를 보냈으며 국가대표팀에 몇차례 소집되어[* 리베라니는 아주리 최초의 흑인 혼혈 선수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상대로 데뷔전을 치르기도 했다. 2006년 피오렌티나로 이적해 팀의 챔피언스리그 진출을 이끌었고, 2008년에는 팔레르모로 적을 옮겨 팀의 새로운 주장으로 선임된다. 팔레르모에서의 첫 시즌 리그 33경기에 나서 세리에 A 최다 패스 1위 타이틀을 차지한다. 2009년 5월에는 큰 부상을 당하며 장기간 공백이 불가피해졌고, 주장 완장도 파브리치오 미콜리에게 넘겨주게 되었다. 이후 제 기량을 회복하지 못한 채 2011년 8월 스위스의 루가노로 이적하나 한경기도 뛰지 못하고 3개월 뒤 은퇴를 선언한다. == 감독 경력 == 은퇴 직후 제노아 유소년팀의 감독을 지내다가 2013년 다비데 발라르디니의 경질 이후 1군팀 감독으로 급히 투입되나 7경기에서 1승밖에 올리지 못하자 금세 쫓겨난다. 2014년 12월 잉글랜드 3부리그의 레이튼 오리엔트에 부임하지만 팀이 강등되자 시즌 종료 뒤 사임하고, 2017년 간만에 복귀해 테르나나의 사령탑을 잡은 뒤 팀의 강등권 탈출을 이끌어내면서 감독 커리어의 첫 성공을 맛본다. 2017년 9월 17일 레체의 새 감독으로 부임해 첫시즌 세리에 B 승격, 두번째 시즌 세리에 A 승격을 이뤄내며 팀을 7년만에 1부리그에 올려놓았고, 현재 이탈리아에서 가장 주목받는 감독 중 한 명이 되었다. 19-20시즌 레체의 강등을 막지 못했고 2020년 8월 19일 팀을 떠났다. 그리고 2020년 8월 23일 [[파르마 칼초 1913]]에 부임했다. 이후 2021년 1월 6일 아탈란타 전 패배 이후로 경질되었다. 현지 시각 2022년 6월 8일, 칼리아리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이후 2022년 12월 20일에 경질되었다.[[https://www.cagliaricalcio.com/news/ultimissime/22465/comunicato-della-societa-fabio-liverani-sollevato-dal-suo-incarico|#]] [[분류:1976년 출생]][[분류:이탈리아의 축구선수]][[분류:미드필더]][[분류:이탈리아의 축구감독]][[분류:AC 페루자 칼초/은퇴, 이적]][[분류:SS 라치오/은퇴, 이적]][[분류:ACF 피오렌티나/은퇴, 이적]][[분류:팔레르모 FC/은퇴, 이적]][[분류:FC 루가노/은퇴, 이적]][[분류:제노아 CFC/역대 감독]][[분류:레이턴 오리엔트 FC/역대 감독]][[분류:테르나나 칼초/역대 감독]][[분류:US 레체/역대 감독]][[분류:파르마 칼초 1913/역대 감독]][[분류:칼리아리 칼초/역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