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란의 세계유산)] [[파일:파사르가다에 이란.jpg]] 주요 궁전 부분 [[파일:이란 파사르가다에 1.jpg]] [[키루스 2세]] 영묘 ||<-3> '''[[유네스코|{{{#fff 유네스코}}}]] [[세계유산|{{{#fff 세계유산}}}]]''' || ||<-3>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width=160]] || ||<|4> 이름 || 한국어 || 파사르가대 || || 영어 || Pasargadae || || 아랍어 || بازارقادش || || 프랑스어 || Pasargades || |||| 국가·위치 || [[이란]] [[파르스]] 주 || ||<-3> [include(틀:지도,장소=Pasargadae, 너비=100%, 높이=224px)] || |||| 등재유형 || [[세계유산#s-3.1|문화유산]] || |||| 등재연도 || [[2012년]] || |||| 등재기준 || (i)[* 인간의 창의성으로 빚어진 걸작을 대표할 것], (ii)[*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할 것], (iii)[*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 (iv)[*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 || |||| 지정번호 || [[https://whc.unesco.org/en/list/1106|1106]] || [목차] [clearfix] == 개요 == [[페르시아어]]: پاسارگاد [[영어]]: Pasargadae [[아케메네스 페르시아|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의 첫 번째 수도. 현재 [[이란]]의 [[파르스]] 주에 있다. 유적지의 넓이는 1.6 제곱킬로미터이고 유적지에는 페르시아 왕궁과 정원, 마우솔레움, 그리고 [[키루스 2세]]의 무덤 등이 있다. 200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지정되었다. 기원전 546년 [[키루스 2세]]에 의해 세워지기 시작했다. 키루스가 전투에서 전사하여 키루스 생전에는 완공되지 못했고 기원전 529년이 되어서 완공되었다. 한동안 페르시아의 수도였지만 키루스의 아들인 [[캄비세스 2세]]가 수도를 [[수사#s-2.1|수사]]로 옮겨 수도로서의 지위를 상실했다. 첫번째 수도라는 역사적 사실 덕분에 한국의 경주, 일본의 교토처럼 의례적, 상징적 수도의 지위를 누릴 수 있었지만[* 키루스 이후 페르시아의 황제들은 처음 즉위하고 나면 파사르가다에에서 특별한 의식을 치러야 했다.], 그 규모는 나머지 4대 수도([[페르세폴리스]], [[바빌론]], [[엑바타나]], [[수사]])에 비해 상당히 작았고, 중요도도 낮은 편이었다. 그래서 보통 아케메네스 왕조의 다중 수도 체계를 언급할때 파사르가다에는 빠지는 경우가 많다. 여담으로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 3세]]가 키루스 2세의 무덤을 방문한 적 있다. 자세한 내용은 [[키루스 2세#s-4]] 참고. 이후 1905년 독일 고고학자 에른스트 에밀 헤르츠펠트(Ernst Emil Herzfeld , 1879 ~ 1948)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1928년 에른스트 헤르츠펠드에 의해 최초로 발굴되었고 1949년 이란 연구팀에 의해 다시 발굴되었다. 1960년대에는 영국 연구팀에 의해 발굴되었는데, 이 때 금과 보석으로 뒤덮인 보물이 발견되기도 했다. 유적지에서 발굴된 미술품, 도자기 등은 프리어 미술관과 [[스미소니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고 보물은 이란 국립박물관과 대영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Cyrus_the_Great_Day|키루스 대제의 날]][* [[2000년대]] 초반 이후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만들어진 전통]]이다. 이란 이슬람 정권이나 국제기구로부터 그 어떤 인정도 받지 못하는 기념일이다.]인 페르시아력 어번 7일(그레고리력 10월 29일)이 되면 이 곳에 민족주의자들이 모여 이슬람화 이전의 이란을 기리고는 한다. 2016년 집회는 [[이란 시위|큰 시위]]로 번지기도 했다. 2021년에도 키루스 대제의 날을 전후해 사람들이 영묘를 방문하는 걸 막고 있었다고 하니, 10월 말에는 사실상 방문 자체가 어려울 것이다. == 구조 == [[파일:파사르가데 이란.jpg]] * 중심 궁전. [[다리우스 1세]] 시기에 세워졌다. 대리석 기둥의 기단부가 고대 그리스 건축과 유사하다. [[파일:이란 타크트 톨레.jpg]] [[파일:이란 파사르가다에.jpg]] * 톨레 타크트. 유적의 북쪽에 위치한 일종의 피난성. 고구려의 [[국내성]]-[[환도성]], [[안학궁]]-[[대성산성]] 관계와 같다. [[분류:이란의 옛 수도]][[분류:이란의 세계유산]][[분류:이란의 유적]][[분류:파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