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PowerBalance-OW.png]] || 한글판 명칭 ||||||||'''파워 밸런스'''|| || 일어판 명칭 ||||||||'''パワーバランス'''|| || 영어판 명칭 ||||||||'''Power Balance'''|| |||||||||| 일반 함정 || ||||||||||패가 0장일 때 발동 가능. 상대는 패의 카드의 수가 절반이 되도록 카드를 버린다. 그리고 그 카드의 수 만큼 카드를 드로우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의 [[카이바 세토]]가 배틀 시티 준결승전 [[어둠의 유우기]]와의 듀얼에서 사용해, 유우기의 [[오시리스의 천공룡]]의 공격력을 절반으로 줄였다. '''OCG화 안 된 이유가 당연한 사기 카드.''' 그 강력한 효과에 비해 코스트도 없고 발동 조건도 간단하다. 다만 같은 시기에 사용되던 더더욱 초사기 카드 [[하늘의 선물]]은 '''엄청 하향'''되어 아니 하니만 못하게 OCG화 되어버린지라 어찌보면 같은 시기에 OCG화 되지 않은 게 차라리 다행. OCG화 된다면 패 소모가 격렬한 덱에서는 반드시 들어갈 듯 하다. 패 0장이라는 조건은 [[인페르니티]]를 떠올리기 쉽지만 인페르니티는 드로우가 많으면 오히려 약간 불편하다. 상대가 [[암흑계]]나 [[마굉신]]이라면 쓰기 힘들고, 오히려 이 두 덱에서 패 보충 겸 상대 패 견제용으로 꼭 들어갈 듯 하다. 세월이 꽤 지난 시점에서 봐도 '''그대로 나오면 안 될 카드.''' 아무리 세월이 지나고 강력한 카드가 많이 나와도 지나치게 강력한 카드는 거의 대폭 하향된다. [[엑시즈 소환]] 시대에 [[오리컬코스의 결계]]나 [[해피 레이디 -봉황의 진-]]이 얼마나 하향되었는지 생각해보자. 물론 그래도 [[하늘의 선물]]은 조금 특별하다 생각될 정도로 하향되었다만... [[4Kids]]에서 제작한 북미 더빙판에서는 배틀 시티에서 유우기와 카이바의 듀얼 중 카이바가 "'''You triggered my TRAP CARD!'''"라고 외치는 [[밈(인터넷 용어)|밈]]이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파워 밸런스,version=22)] [[분류:유희왕/OCG화 되지 않은 카드/일반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