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일반 마법 카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8204_1.jpg]] || 한글판 명칭 ||||||||'''파이어 소울'''|| || 일어판 명칭 ||||||||'''ファイヤー・ソウル'''|| || 영어판 명칭 ||||||||'''Soul of Fire'''|| |||||||||| 일반 마법 || ||||||||||상대는 자신의 덱에서 카드를 1장 드로우한다. 플레이어는 자신의 덱에서 화염족 몬스터 1장을 게임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제외한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의 절반 수치의 데미지[*듀얼링크스 듀얼링크스에서도 한국판 텍스트는 절반 수치의 데미지라고 적혀 있지만 실제로는 1/4만 적용된다. 일본판은 제대로 1/4 적용으로 표기되어 있다.]를 상대의 라이프에 준다. 이 효과를 사용한 턴, 플레이어는 공격 선언을 할 수 없다.|| 1개의 확실한 메리트 효과와 그 자체만으로는 메리트인지 아닌지 뭔가 애매한(…) 효과 1개, 그리고 디메리트 효과 2개를 가지고 있는 이래저래 미묘한 카드. 번 효과를 쓰는데 [[비트 다운]]에나 쓰일 법한 고공격력의 몬스터를 요구한다는 점에서 풀 번 덱보다는 비트 번 형식의 화염족 덱에서 채용할 만한 카드다. 원작 사용자 건도 있고 해서 아무래도 같이 나온 비트 번 계열 카드군인 [[볼캐닉]]을 노리고 나온 듯한 카드지만, 일단 효과 범위는 화염족 전체에 미친다. 비트 번 카드답게 되도록이면 볼캐닉 어태커의 번 효과를 썼을 때나 선공 1턴째 등 애초에 공격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쓰면서 공격 불가 디메리트를 경감하는 것이 좋다. 상대가 드로우하는 디메리트의 경우는 답이 없지만, 일단 이쪽도 나란히 덱을 1장 줄였으니 제외 존에 서치해둔 몬스터를 어떻게든 써먹을 방법을 마련해두는 식으로 최소한 뒤쳐지지는 않도록 하자. [[차원합성사]]와 조합하면 전용 서치 수단이 별로 없는 화염족을 위해 그 쪽으로도 이용할 수는 있다. [[라바르]] 몬스터의 경우 [[라바르 캐논]]으로 바로 필드 위에 데려오는 것도 가능. 줄 수 있는 데미지의 기대치가 제법 크므로 피니시를 날릴 때라면 마음 편히 발동할 수 있다. 줄 수 있는 최고 데미지는 [[볼캐닉 엠페러]]를 제외해 주는 1550. 이런 용도로 쓰기엔 아까운 몬스터지만 제외라는 키워드가 겹치기 때문에 최소한의 연계 가능성이 있다. 그 다음은 [[볼캐닉 데블]]이나 [[서브테러|서브테러마리스 바레스애시]], [[사염 제왕 테스탈로스]]를 제외해서 주는 1500으로, 테스탈로스가 가장 섞어 쓰기 무난하다. [[유희왕 GX]]의 [[오스틴 오브라이언]]이 [[헬프레임 엠페러]]를 제외해 사용. [[유희왕 ZEXAL]]에서는 엑스트라 꼬맹이가 어린 시절의 [[츠쿠모 유마]]에게 데미지를 주는데 사용했다. 당시 데미지가 1500이었으니 공격력 3000짜리를 제외했다는 건데, 제알 당시 카드 풀에서 해당되는 몬스터는 과거 주연의 에이스 카드인 볼캐닉 데블 밖에 없다. [[카오스엔드 룰러 -개벽과 종언의 지배자-|카오스엔드 룰러]] 같은 것도 있으니 애니메이션의 카드 풀이 현실의 카드 풀과 동일하다고 볼 수는 없지만 빈약한 현실의 화염족을 생각하면 대체 어떤 카드였을지 이래저래 궁금해지는 부분.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파괴자의 힘]] || FOTB-KR031 || [[슈퍼 레어]][br][[얼티밋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파괴자의 힘|FORCE OF THE BREAKER]] || FOTB-JP031 || [[슈퍼 레어]][br][[얼티밋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파괴자의 힘|Force of the Breaker]] || FOTB-EN031 || [[슈퍼 레어]][br][[얼티밋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볼캐닉, version=9, paragraph=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