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신세기 GPX 사이버 포뮬러/머신)] [목차] == 개요 == [[신세기 GPX 사이버 포뮬러]] TV판과 더블원에 등장하는 머신. [[파일:attachment/파이어 스페리온/m02b.jpg]] ||Length: 4752mm Width: 2284mm Height: 975mm Weight: 738kg Maximum power: 1750 horse-power, 24000 rpm Maximum torque: 145kgm, 15000 rpm Maximum speed: 501km/h + alpha Engine: 5000cc, Cyber Cyclo-engine V-12 ver. III Structure: C.T.S.6WDS Body material: C.F.R.P Transmission: 6 speed 1 reverse|| == 설명 == [[아오이 쿄코]]가 [[슈퍼 아스라다]]를 의식해 본사에 급히 연락해 급조한 머신. 전체적으로 구 [[스페리온]]에 비해서 기능이 크게 향상되어 있으나 디자인적으로는 명확할 정도의 큰 차이가 없어 국내팬들 중에선 구 스페리온과 구별하지 못하는 이들도 일부 존재. 부스터를 전개하는 모드를 피닉스 윙(KBS판에선 불사조날개로 번역)이라 하며, 불길이 불사조처럼 피어오르는 연출의 파워풀함은 TV판에 등장한 머신들 중에서도 최고. 노르웨이 그랑프리에서는 첫 데뷔한 란돌에게 가리는 것처럼 보이면서도 [[슈퍼 아스라다]]나 [[이슈자크]]에 결코 뒤지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며 1위를 달리게 되었지만, 하필 경기 도중 앞서 다른 차량들의 사고로 일어난 화재에 눈이 녹은 구간에서 미끄러지는 불운이 겹치는 바람에 3위권 내에 입상하는데 실패했다. 그리고 이 시점에서 [[신죠 나오키]]에 대한 기대가 저하되어 가는 것과 동시에 위기감을 느낀 쿄코가 [[브리드 카가]]를 영입하여 [[신죠 나오키]]의 아오이 포뮬러를 서브팀으로 내리고 실력이 떨어지는 정비진들을 넣어버린 탓에 베스트 컨디션으로 드라이빙이 힘들어졌다. 허나 옛날에 [[죠노우치 미키]]를 통해 F3시절 자신의 모습을 기억해낸 신죠의 부스트 오버 커스터마이즈로 아프리카 그랑프리 2전에서 최하위에서 1위까지 올라가는 기염을 토했다. 그러나 오버 커스터마이즈의 후유증으로 수소엔진의 연료가 다 떨어져서 골 직전에 멈추게 된다. 그리고 신죠는 이 때 머신을 밀어서 가까스로 5위로 골인, 관중들의 응원과 격려를 받게 되고 이 때부터 신죠의 재비상이 시작되었다. 결국 후반기에 우승도 할 정도의 컨디션으로 돌아와 월드 챔피언 후보가 되어 마지막까지 우승을 다투다 종합 2위의 영광을 얻게 된다. 그리고 랠리가 없어진 올서킷의 다음 시즌에서 파이어 스페리온 GTO 15-B로 새로이 개수되어 투입된다. [[파일:attachment/파이어 스페리온/GTO_15B.jpg]] ||Length: 4827mm Width: 2291mm Height: 966mm Weight: 501kg Maximum power: 1880 horse-power, 19800 rpm Maximum torque: 165kgm, 15300 rpm Maximum speed 598km/h + alpha Engine: 5000cc, Cyber Cyclo-engine V-12 ver. IV Structure: C.T.S.6WDS Body material: C.F.R.P Transmission: 6 speed 1 reverse|| 기존의 육각형의 드라이버 룸이 라운드 형으로 바뀌었고 바디라인도 다소 에어로 다이나믹하게 바뀌어 최대 속도가 90km나 빨라져 슈퍼 아스라다 01보다도 훨씬 빠르게 되었지만, 간단한 버전업만으로는 레이스에 통하지 않는다는 판단으로 인해 [[엑스페리온]]에게 자리를 내주게 된다. [[분류:신세기 GPX 사이버 포뮬러/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