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파이어 엠블렘 새벽의 여신)] [목차] == 데인 왕국 == === 새벽단 ===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128px-Micaiahbody.png]] * [[미카야(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미카야]] Micaiah 빛나는 은빛 머리가 특징인 광마도사. 클래스는 [ruby(광마도사, ruby=라이트 메이지)]→[ruby(빛의 현자, ruby=라이트 세이지)]→[ruby(무녀, ruby=샤먼)]. [[파일:SotheFE10p.png]] * [[소더]] Sothe 데인 왕도 네바사의 뒷골목 출신으로 미카야의 의동생. 클래스는 [ruby(도적, ruby=로그)]→[ruby(밀정, ruby=에스피온)] [[파일:EdwardFE10p.png]] * [[에디(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에디]] Edward 새벽단의 일원. 클래스는 [ruby(검사, ruby=블레이드)]→[ruby(검호, ruby=소드 마스터)]→[ruby(검성, ruby=소드 에스카토스)] [[파일:LeonardoFE10p.png]] * [[레오나르도(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레오나르도]] Leonardo 새벽단의 일원. 에디와는 친구 사이다. 클래스는 [ruby(궁사, ruby=아처)]→[ruby(저격수, ruby=스나이퍼)]→[ruby(신사수, ruby=사지타리)] [[파일:NolanFE10p.png]] * [[노이스(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노이스]] Nolan 새벽단의 우두머리격 존재. 클래스는 [ruby(전사, ruby=파이터)]→[ruby(용사, ruby=워리어)]→[ruby(도끼 웅사, ruby=액스 브레이브)] === 데인 해방군 === * [[이즈카(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이즈카]] Izuka [[파일:FERD_Izuka.png|width=200]] 데인 해방군의 참모. 클래스는 [ruby(소환사, ruby=서머너)]. 전작에서는 28장에서 적장으로 등장하는 단역이었지만 새벽에서는 페레아스를 옆에서 보좌하는 충신으로 비중이 급상승. 참모 역으로 페레아스를 보좌하는 듯 보이지만 실상은 찌질이에 악인으로 아슈나드의 옆에 붙어 라그즈를 실험체로 써먹던 전작의 행적에서 전혀 달라진 바 없이 라그즈를 전투노예로 만드는 등 온갖 나쁜 짓을 자행하고 다녔으며, 베그니온 원로원이 데인에 뿌려 놓은 앞잡이로서 페레아스도 이용해먹었음이 밝혀진다. 도중에 폴카에게 납치당해 정보를 토해내던 중 자력으로 탈출하고 후반에 적으로 나와 어그로를 끌지만 패배하고 사망. 이름의 유래는 아트워크 인력으로 참여한 일러스트레이터 이즈카 다이스케. * [[타우로니오(파이어 엠블렘 시리즈)|타우로니오]] Tauroneo [[파일:FERD_Tauroneo.png|width=230]] 데인 해방군 맴버. 그레일의 지인이자 전 사준이기도 하다. 클래스는 [ruby(창 무장, ruby=글로리 둑스)]→[ruby(장수, ruby=마샬)]. [[파일:JillFE10p.png]] * [[질 피자트]] Jill 데인 해방군 멤버. 클래스는 [ruby(성용기사, ruby=드래곤 마스터)]→[ruby(린드블룸, ruby=신용기사)] [[파일:ZiharkFE10p.png]] * [[지하크]] Zihark 데인 해방군 맴버. 클래스는 [ruby(검호, ruby=소드 마스터)]→[ruby(검성, ruby=소드 에스카토스)]. * [[메그(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메그]] Meg [[파일:FERD_Meg.png|width=230]] 챕의 차녀로 아버지처럼 성격은 온순하다. 클래스는 [ruby(검 중보병, ruby=소드 아머)]→[ruby(검 무장, ruby=블레이드 둑스)]→[ruby(장수, ruby=마샬)]. * [[프리다(파이어 엠블렘 시리즈)|프리다]] Tauroneo 전 사준 람비가의 딸로 현 마라드 영주.영지를 지키기 위해 베그니온 주둔군에 협력하고 있었지만 베그니온 주둔군이 민간인을 인질로 삼자 데인 해방군에 합류한다. 클래스는 [ruby(창 기사, ruby=랜스 나이트)]→[ruby(창 기장, ruby=글로리 나이트)]→[ruby(백은기장, ruby=실버 나이트)]. [[파일:BKnightFE10p.png]] * [[칠흑의 기사]] 광왕의 전쟁에서 전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미카야를 보호한다는 목적으로 다시 등장. 데인 해방군에 참여하다가 데인 해방이 끝나자 나가버린다. === 왕궁 === [[파일:PelleasFE10p.png]] * [[페레아스(파이어 엠블렘 시리즈)|페레아스]] Pellas 데인 해방군을 이끄는 수장이자 [[아슈나드]]의 아들이라 여겨지는 인물. 클래스는 [ruby(어둠의 현자, ruby=다크 세이지)]→[ruby(대현자, ruby=아크 세이지)]. [[파일:Portrait_almedha_veiled_fe10.png]] * [[암리타(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암리타]] Almehda 전 데인의 왕 아슈나드의 처이자, 페레아스의 모친. === 여행 행상대 === [[파일:IlyanaFE10p.png]] * [[이레이스]] Ilyana 상인으로 각지를 팔며 다니다 상인들과 함께 여행하는 마법사. [[파일:Muston_shop.png]] * 무스톤 Muston 여행 행상대의 멤버로 "무기점"을 경영한다. [[파일:DanielFE10.png]] * 다니엘 Daniel 여행 행상대의 멤버로 "연성점"을 경영한다. [[파일:Portrait_jorge_02_fe10.png]] * 조지 Jorge 여행 행상대의 멤버로 "고물상(무기·도구를 판다)"을 경영한다. [[파일:AimeeFE10.png]] * 라라벨 Aimee 여행 행상대의 멤버로 "도구점"을 경영한다. === 일반인 === [[파일:LauraFE10p.png]] * [[로라(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로라]] Laura 데인 출신의 상냥한 시스터. 항목 참조. [[파일:AranFE10p.png]] * [[브래드(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브래드]] Aran 로라의 소꿉친구 청년. 항목 참조. [[파일:Portrait_nico_fe10.png]] * 니코 Nico 데인의 수도 네바사에 사는 일반 시민 소년. 미카야가 기적의 힘을 대중 앞에서 사용하는 계기가 된다. == 크리미아 왕국 == === 왕궁 === [[파일:ElinciaFE10p.png]] * [[에린시아]] Elincia 크리미아 왕국의 여왕이자, 새벽 제2부의 주인공. 클래스는 최상위직 [ruby(여왕, ruby=퀸)]. * [[레닝]] Renning [[파일:FE10_Renning_Artwork.webp|width=300]] 선대 크리미아 왕 라몬의 동생이자 에린시아의 삼촌. 아슈나드에게 죽은 줄 알았으나 전작에서 등장한 베우포레스였음이 밝혀진다. 이즈카의 약으로 노예가 되었던 것. 이 때문에 율리시스는 레닝을 구하기 위해 나라를 잠시 떠났다. 이즈카를 심문해도 별 다른 수확은 없었으나 류시온의 노래로 원래대로 돌아와 아군에 복귀한다. === 군·왕궁 기사단 === [[파일:LuciaFE10p.png]] * [[루키노(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루키노]] Lucia 에린시아의 호위 대장. 클래스는 [ruby(검호, ruby=소드 마스터)]→[ruby(검성, ruby=소드 에스카토스)] [[파일:GeoffreyFE10p.png]] * [[제프리(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제프리]] Geoffrey 크리미아 귀족 델브레 백작가의 혈통으로, 크리미아 왕국 기사단장. 루키노의 동생이다. 클래스는 [ruby(창 기장, ruby=글로리 나이트)]→[ruby(백은 기장, ruby=실버 나이트)] * [[유리시즈(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유리시즈]] Bastian 크리미아 왕국의 유력 귀족. 클래스는 [ruby(대현자, ruby=아크 세이지)]. [[파일:MarciaFE10p.png]] * [[마샤(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마샤]] Marcia 베그니온 신사 친위대 출신이었지만, 광왕의 전쟁 이후로 크리미아 왕궁 기사단에 합류한다. 클래스는 [ruby(성천마기사, ruby=팔콘 나이트)]→[ruby(신천마기사, ruby=엔릴 나이트)]. [[파일:HarrFE10p.png]] * [[하르(파이어 엠블렘 시리즈)|하르]] Haar 광왕의 전쟁 이후 용으로 물류배송 일을 하고 있다가 크리미아 기사단에 고용된다. 클래스는 [ruby(성용기사, ruby=드래곤 마스터)]→[ruby(신용기사, ruby=린드블룸)]. [[파일:KieranFE10p.png]] * [[케빈(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케빈]] Kieran 크리미아 왕궁 기사단 소속으로 제프리의 부하. 클래스는 [ruby(황금 기장, ruby=골드 나이트)]. [[파일:MakalovFE10p.png]] * [[마카로프(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마카로프]] Makalov 베그니온 출신이자 마샤의 오빠. 마샤와 마찬가지로 왕궁 기사단에 합류. [[파일:AstridFE10p.png]] * [[스텔라(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스텔라]] Astrid 베그니온 제국의 디어멜 백작가 아가씨. 마카로프를 따라 왕궁 기사단에 합류. [[파일:VolkeFE10p.png]] * [[폴카(파이어 엠블렘 시리즈)|폴카]] Volke 왕궁 기사단은 아니지만 유리시즈의 의뢰로 크리미아 왕국에 필요한 정보를 주는 정보원 역할을 한다. * [[우하라다(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우하라다]] Danved 클래스는 [ruby(창투사, ruby=할바티아)]→[ruby(성창사, ruby=홀리 랜서)]. 크리미아의 번성 점 임대 상점 라르고의 친구. 광왕의 전쟁 이후 왕궁 기사단에 합류. 전작의 다라하우와는 다른 인물... 이라고 주장한다. === 귀족 === 상당수가 현 여왕 에린시아의 정치에 불만을 품어 반기를 든다. [[파일:Portrait_ludveck_fe10.png]] * [[루드벡(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루드벡]] Ludveck 클래스는 도끼 무장(그레이트 둑스). 크리미아의 유력 귀족으로 크리미아 왕가의 친척인 페리레 공작. 2부의 최종보스. [[파일:Yeardley.png]] * 야드리 Yeardley 클래스는 창 무장(글로리 둑스). [[파일:Maraj.png]] * 마죠 Maraj 클래스는 바람의 현자(윈드 세이지). 페리레 공작의 종자. [[파일:Tashoria.png]] * 타시요리아 Tashoria 클래스는 검호(소드 마스터). 페리레 공작의 종자. * 사로네 크리미아 왕국의 유력 귀족. 분명 이름이 있는데도 공용 포트레이트와 공용 '귀족' 표기를 사용하는 희귀한 인물. === 평민 === [[파일:Brom.png]] * [[챕(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챕]] Brom 크리미아 왕국의 시골인 오마 마을의 농부. 클래스는 도끼 무장(그레이트 둑스)→장수(마샬). [[파일:NepheneeFE10p.png]] * [[네페니]] Nephenee 크리미아 왕국의 시골인 오마 마을의 출신의 여성. [[파일:HeatherFE10p.png]] * [[헤더(파이어 엠블렘 시리즈)|헤더]] Heather 여자 도적. [[파일:Calill_FE10.png]] * [[카릴(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카릴]] Calil 클래스는 불꽃의 현자(파이어 세이지)→대현자(아크 세이지) [[파일:LargoFE10Portrait.png]] * [[라르고(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라르고]] Largo 창염에서는 플레이어블 유닛이지만, 새벽에서는 싸움에서 손을 뗐기 때문에 플레이어블에서 짤렸다. [[파일:Portrait_amy_fe10.png]] * 에이미 Amy 카릴과 라르고의 양녀. == 그레일 용병단 == [[파일:IkeFE10p.png]] * [[아이크(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아이크]] Ike 그레일 용병단의 단장. 클래스는 [ruby(용자, ruby=브레이브)]→[ruby(신장, ruby=뱅가드)]. [[파일:MistFE10p.png]] * [[미스트(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미스트]] Mist 아이크의 여동생. 클래스는 [ruby(지팡이 사용자, ruby=클레릭)]→[ruby(전을녀, ruby=발큐리아)]. [[파일:SorenFE10p.png]] * [[세네리오]] Soren 그레일 용병단의 참모. 클래스는 [ruby(바람의 현자, ruby=윈드 세이지)]→[ruby(대현자, ruby=아크 세이지)]. [[파일:TitaniaFE10p.png]] * [[티아마트(파이어 엠블렘 시리즈)|티아마트]] Titania 그레일 용병단의 부단장. 클래스는 [ruby(도끼 기장, ruby=그레이트 나이트)]→[ruby(황금 기장, ruby=골드 나이트)]. [[파일:OscarFE10p.png]] * [[오스카(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오스카]] Oscar 오스카&보레&요파 삼형제의 장남. 클래스는 [ruby(창 기장, ruby=글로리 나이트)]→[ruby(백은 기장, ruby=실버 나이트)]. [[파일:BoydFE10p.png]] * [[보레(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보레]] Boyd 오스카&보레&요파 삼형제의 차남. 클래스는 [ruby(용사, ruby=워리어)]→[ruby(도끼 웅사, ruby=액스 브레이브)]. [[파일:RolfFE10p.png]] * [[요파(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요파]] Rolf 오스카&보레&요파 삼형제의 막내. 클래스는 [ruby(저격수, ruby=스나이퍼)]→[ruby(신사수, ruby=사지타리)]. [[파일:RhysFE10p.png]] * [[킬로이(파이어 엠블렘 시리즈)|킬로이]] Rhys 상냥하고 배려심 있는 온화한 성격의 사제. 클래스는 [ruby(사제, ruby=비숍)]→[ruby(성자, ruby=세인트)]. [[파일:ShinonFE10p.png]] * [[시논(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시논]] Shinon 그레일 용병단의 고참 저격수. 클래스는 [ruby(저격수, ruby=스나이퍼)]→[ruby(신사수, ruby=사지타리)]. [[파일:GatrieFE10p.png]] * [[가트리(파이어 엠블렘 시리즈)|가트리]] Gatrie 그레일 용병단의 중기사. 여자를 많이 밝힌다. 클래스는 [ruby(창 무장, ruby=랜스 제너럴)]→[ruby(장수, ruby=마샬)]. [[파일:MiaFE10p.png]] * [[와유(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와유]] Mia 광왕의 전쟁 이후 용병단에 공식적으로 합류한다. 클래스는 [ruby(검호, ruby=소드 마스터)]→[ruby(검성, ruby=소드 에스카토스)]. == [[라그즈]] == === 갈리아 왕국 === * [[카이네기스(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카이네기스]] Caineghis [[파일:FERD_Caineghis.png|width=300]] 갈리아 왕국의 왕. 클래스는 사자왕(킹 라이온). * [[지프카(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지프카]] Giffca * [[스크리밀(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스크리밀]] Skrimir 현 국왕 카이네기스의 조카. 게임 내에 최고의 트롤. 클래스는 수아족(비스트 드라이브)/사자(라이온). [[파일:RanulfFE10p.png]] * [[라이(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라이]] Ranulf 갈리아 왕국의 장군. 클래스는 수아족(비스트 드라이브)/고양이(캣). [[파일:LetheFE10p.png]] * [[레테(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레테]] Lethe 긍지 높은 여전사. 클래스는 수아족(비스트 드라이브)/고양이(캣). [[파일:MordecaiFE10p.png]] * [[모우디(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모우디]] Mordecai 레테의 부하. 클래스는 수아족(비스트 드라이브)/호랑이(타이거). * [[리레(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리레]] Lyre 라이와 키사의 부하로 레테의 쌍둥이 동생. 클래스는 수아족(비스트 드라이브)/고양이(캣). * [[키사(파이어 엠블렘 시리즈)|키사]] Kyza 라이의 유능한 부하로 리레의 상관. 클래스는 수아족(비스트 드라이브)/호랑이(타이거). * 케지다 Kezhda 갈리아 군부 대장, 외눈의 검은 고양이. 클래스는 수아족(비스트 드라이브)/고양이(캣). === 페니키스 왕국 === [[파일:TibarnFE10p.png]] * [[티반(파이어 엠블렘 시리즈)|티반]] Tibarn 페니키스 왕국의 왕. 클래스는 매왕(킹 호크). * [[우르키(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우르키]] Ulki 클래스는 조익족(버드 드라이브)/매(호크). * [[야나프(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야나프]] Janaff 클래스는 조익족(버드 드라이브)/매(호크). === 키르바스 왕국 === [[파일:NaesalaFE10p.png]] * [[네사라(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네사라]] Naesala 키르바스 왕국의 왕. 클래스는 까마귀 왕(킹 크로우). * [[니아루치(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니아루치]] Nealuchi 조익족 중의 최연장. 클래스는 조익족(버드 드라이브)/까마귀(크로우). * 초대 키르바스 국왕 === 구 세리노스 왕국 === * [[라피엘(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라피엘]] Rafiel 제국에 의해 멸망당한 세리노스 왕국의 제1왕자로 류시온과 리아네의 형/오빠. 클래스는 백로 왕자(프린스 이그렛). [[파일:ReysonFE10p.png]] * [[류시온(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류시온]] Reyson 망국 세리노스의 왕자. 세리노스 대학살의 몇 안되는 생존자이다. [[파일:LeanneFE10p.png]] * [[리아네(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리아네]] Leanne 망국 세리노스의 공주. 세리노스 대학살의 몇 안되는 생존자이다. * 로라이제 Lorazieh 망국 세리노스 왕국의 왕으로 라피엘, 류시온, 리아네, 리리아의 친부. * [[에를란(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에를란]] Lehran 검은 날개를 가진 백로 민족. 삼웅의 일각 오르티나의 남편. === 고르드아 왕국 === * [[데긴헨저]] Dheginsea 고르드아 왕국의 왕. 라자이온, 암리타, 쿠르트나가의 아버지. 클래스는 흑룡왕(킹 블랙 드래곤). 과거 먼 옛날 손, 에를란, 올티나와 함께 부의 여신 윤느를 봉인한 전설의 영웅. 하지만 본편에서는 어째선지 직접 개입하지 않고 중립을 지향하고 있다. 그가 여태껏 개입하지 않은 이유는 새벽의 여신 최종장에서 [[세페란|밝혀진다.]] * [[쿠르트나가(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쿠르트나가]] Kurthnaga [[파일:FERD_Kurthnaga.png|width=180]] 흑룡왕 데긴헨저의 아들. 클래스는 용왕자(프린스 드래곤). 이름의 유래는 참으로 심플한데, [[성전의 계보]]의 쿠르트 왕자와 그가 사용한 무기인 나가를 붙여서 지었다(...). [[파일:NasirFE10p.png]] * [[나시르(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나시르]] Nasir 이나의 조부. 클래스는 용린족(드래곤 드라이브)/백린(화이트). * [[고트(파이어 엠블렘 시리즈)|고트]] Gareth 클래스는 용린족(드래곤 드라이브)/적린(레드). [[파일:Portrait_ena_fe10.png]] * [[이나(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이나]] Ena 나실의 손녀로 적룡과 백룡의 혼혈. 클래스는 용린족(드래곤 드라이브)/적린(레드). === 하타리 왕국 === [[파일:NailahFE10p.png]] * [[니케(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니케]] Nailah 클래스는 [ruby(늑대 여왕, ruby=퀸 울프)]. * [[올그(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올그]] Volug 니케를 따라다니는 하타리의 수아 전사. 클래스는 수아족(비스트 드라이브)/늑대(울프). == 베그니온 제국 == === 군주 === [[파일:SanakiFE10p.png]] * [[사나키(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사나키]] Sanaki 베그니온 제국의 제37대 황제로 클래스는 황제(카이사르). * 미사하 Misaha 베그니온 제국의 제36대 황제로 선대 신사였던 여성. 사나키의 할머니. 고인. * [[오르티나]] Altina === 원로원 === [[파일:SephiranFE10p.png]] * [[세페란]] Sephiran 페르시스 공작. 제국 원로원 의장이자 재상이다. [[파일:FE10_Lekain.png]] * 루칸 Lekain 가두스 공작이자 제국 원로원의 부의장. 반황제파의 수장격 인물. 클래스는 성자(세인트). [[파일:Valtome.png]] * 발테로메 Valtome 클래스는 사제(비숍). 크루베어 공작. 루칸과 함께 원로원을 좌우하는 남자. [[파일:Hetzel2.png]] * 헷첼 Hetzel 클래스는 사제(비숍). 암니스 공작으로, 선량한 성격이지만 겁이 매우 많아 루칸을 거스르지 못한다. 과거 세리노스를 몰래 지원한 적이 있어 세리노스 왕가는 그에게만은 존중을 표한다. [[파일:OliverFE10p.png]] * [[올리버(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올리버]] Oliver 클래스는 성자(세인트). [[파일:Numida2.PNG.png]] * 누미다 Numida 클래스는 사제(비숍). 데인 주둔군 총 사령관. === 제국군 === [[파일:ZelgiusFE10p.png]] * [[제르기우스(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제르기우스]] Zelgius 베그니온 제국군 중앙군 사령관이자 제국 최강의 장군. [[파일:SigrunFE10p.png]] * [[시그룬(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시그룬]] Sigrun 성천마기사 단장을 겸임하는 신사 친위대 대장. [[파일:Tanith_FE10.png]] * [[타니스(파이어 엠블렘 시리즈)|타니스]] Tanith 신사 친위대 부대장. [[파일:Levail.png]] * 루벨 Levail 클래스는 성창사(홀리 랜서). 카두스 공작군의 장군. [[파일:Zeffren.png]] * 제프렌 Zeffren 클래스는 성용기사(드래곤 마스터). 베그니온 제국군의 성 용기사단의 부대장. [[파일:Septimus.png]] * 노즈 Septimus 클래스는 창무장(글로리 둑스) [[파일:Silvano.png]] * 시지오우 Silvano 클래스는 저격수(스나이퍼) [[파일:Rommit.png]] * 로미타나 Rommit 클래스는 창투사(할바티아) [[파일:Istvan.png]] * 이토시 Istvan 클래스는 성용기사(드래곤 마스터). 베그니온 제국군의 귀족 연합군 지휘관. [[파일:Veyona.png]] * 베요나 Veyona 클래스는 주술사(드루이드). 베그니온 제국군의 주술사. [[파일:Callum.png]] * 카지사 Callum 클래스는 검 무장(블레이드 둑스). 제국 중앙 군의 무장. [[파일:Lombroso.png]] * 롬브로조 Lombroso 클래스는 도끼 기장(그레이트 나이트). 코헨 가 차기 공작. [[파일:Roark.png]] * 라오 Roark 클래스는 창투사(할바티아). 발테로메의 부하. 크리미아에서 강제 물자차출을 하기 위해 크리미아에 방문한다. [[파일:Sergei.png]] * 세르게이 Sergei 클래스는 궁기장(애로우 나이트). 크루베아 공작 발테로메의 부하. === 데인 주둔군 === [[파일:JarodFE10p.png]] * [[젤드(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젤드]] Jarod 클래스는 창투사(할바티아). 제국의 주둔군 소속 장군. 1부의 최종보스이다. [[파일:Alder.png]] * 알더 Alder 젤드의 부관. [[파일:Isaiya.png]] * 이사이어 Isaiya 클래스는 검사(블레이드). 제국의 주둔 군 소속으로 네바사 경비 대장의 용병. [[파일:Zaitan.png]] * 자이탄 Zaitan 클래스는 창중보병(랜스 아머). [[파일:Burton.png]] * 보나드 Burton 클래스는 검기사(소드 나이트). 제국의 주둔군 소속으로 그라이브 감옥의 간수. [[파일:Wystan.png]] * 와제카카 Wystan 클래스는 염마도사(파이어 메이지). 제국의 주둔군 소속 마도사. [[파일:Laverton.png]] * 라벨튼 Laverton 클래스는 창기사(랜스 나이트). [[파일:Djur.png]] * 주르 Djur 클래스는 검중보병(소드 아머). 제국의 주둔군 소속으로 움노 포로 수용소 간수. [[파일:Radmin.png]] * 라드밈 Radmin 클래스는 번개의 현자(선더 메이지). 제국의 주둔군 소속 지휘관. === 평민 === [[파일:Rolf'sMother.png]] * 요파의 어머니 오스카와 보레에겐 계모가 되는 인물이다. 남편에 비해 상당히 젊었던 듯하며, 본래 크리미아 사람이었으나 남편이 병에 걸리자 어린 나이에 두 아이와[* 오스카는 크리미아군에 들어가 있었다.] 병든 남편을 보살피는 생활을 버티지 못해 다른 남자와 함께 베그니온으로 도망갔다. 얼마 지나지 않아 형제들의 아버지는 죽었고 오스카가 조기 제대하여 가족들을 보살피게 되었다. 보레는 친아들이 아닌 자신을 버린 건 이해할 수 있지만 요파까지 버렸다는 점에 대해 크게 분노했다. 다만 자식들에게 정은 남아있는 듯. 3부 1장의 민가에서 등장하며, 오스카와 보레로 방문할 경우 라그즈라 생각하고 겁을 먹으나 잠시 후 둘을 알아보며 반가워하지만 기분이 언짢아진 오스카와 보레는 나가 버린다. 요파로 방문할 경우 마찬가지로 라그즈인 줄 착각하지만 요파의 라그즈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자신은 어른이면서도 겁이 많다는 자학을 한다. 그리고 서로 어디서 본 것 같다며 어렴풋이 알아보고, 요파는 잠시만 기다리라는 외침을 뿌리치고 떠나 버린다. 3부 2장의 거점회화에서 요파를 데려가고 싶다며 형제들을 찾아오나 매몰차게 거절당하고, 요파 본인에게도 '''"얼굴도 기억 안 나니 남이나 다름없다. 민폐니까 다시는 찾아오지 말았으면 좋겠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후 등장은 없다. == 신 == [[파일:Portrait_ashera_fe10.png]] * [[아스타르테(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아스타르테]] Ashera 아스타튜느에서 떨어져 나온 정의 여신. * [[윤느(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윤느]] Yune [[파일:FERD_Yune_01.png|width=300]] 아스타튜느에서 떨어져 나온 부의 여신. 전작부터 언급된 '사신'이다. [[파일:Ashunera.png]] * 아스타튜느 Ashunera 과거 테리우스 대륙의 유일한 신이었던 인물. 자신의 실수로 재앙이 일어나자 자신을 둘로 나누었다. === 정의 사도 === [[파일:Yuma.png]] * 유마 클래스는 검기장(블레이드 나이트). 정의 여신 아스타르테에 선택된 정의 사도 중 1명. [[파일:Catalena.png]] * 카히타리노 Catalena 클래스는 성천마기사(팔콘 나이트). 정의 여신 아스타르테에 선택된 정의 사도 중 1명.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라그즈, version=51)]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파이어 엠블렘 창염의 궤적/등장인물, version=87)] [[분류: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등장인물]]